[이상로칼럼] 헌재 판결전 태블릿PC 검증만이 내전 상황을 막을 수 있다!

분열은 피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최소화 할 수는 있습니다.

미디어워치 편집부 mediasilkhj@gmail.com 2017.02.11 11:34:34

그동안 박근혜 대통령을 탄핵시키기 위해 일방적인 보도를 해오던 신문들이 2월 11일 아침부터 일제히 ‘국민들은 헌법재판소의 판결 결과에 승복해야한다’고 입을 맞추고 있습니다.

아래에 2월 11일자 주요일간신문의 사설 제목과 내용을 간략하게 살펴봅니다.

<조선일보> '헌재 결정 승복' 공개 약속 않는 대선 주자 퇴출시켜야
“이대로 간다면 헌재가 어느 쪽으로 결론을 내리든 다른 한쪽의 불복과 반발이 불을 보듯 뻔하다. 절대 있어서는 안 되는 최악의 상황 전개다. (중략) 헌재 결정에 승복한다는 것은 대한민국 헌법과 법률, 민주 절차에 따르겠다는 것이다.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중앙일보> 헌재 위협하는 선동 멈추자
“탄핵심판의 시간이 다가오면서 분열과 갈등이 더욱 격해지고 있다. (중략) 나라와 국론이 두 쪽 날 정도로 극한 대립으로 치닫고 있어 걱정이다.(중략) 어떤 결론이 나와도 조건 없이 승복하겠다는 ‘사회적 선언’도 생각해봄 직하다.”

<동아일보>국민은 헌법재판소를 믿는다.
“누구나 탄핵에 찬성하거나 반대하는 의사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다만 그런 의사 표현은 헌재 결정이 나오면 따르겠다는 약속을 전제로 한다. (중략) 시민들도 촛불집회에 참석해 탄핵 촉구를 외치든, 태극기 집회에 참석해 반대를 외치든 헌재 결정을 받아들일 마음의 자세가 돼 있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 국민은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누구나 승복해야한다’는 <조‧중‧동>을 비롯한 주요언론사의 주장은 맞습니다. 또 당연히 그렇게 돼야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그동안 주요언론들은 국민들이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깨끗하게 수용할 수 없을 정도로 심하게 불공정보도를 해왔다는데 있습니다.

이미 우리나라는 헌법재판소가 판결을 내리는 순간 국민들은 두 쪽으로 갈라지게 돼 있습니다. 이것은 피할 수 없는 현실입니다. 이 책임의 99.9%는 언론입니다.

헌법재판소는 “23일 까지 최종의견서를 내라”고 대통령측과 국회측에 통보했습니다. 이것은 헌재의 판결이 빨라질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제 대한민국의 분열을 막을 수 있는 시간은 많이 남아있지 않습니다. 국론분열을 최소화하기 위해 <조‧중‧동>을 비롯한 우리나라 주요언론사가 해야 할 일은 ‘태블릿 PC’를 검증하는 것입니다.

만약 헌법재판소의 판결 전에 태블릿 PC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면 분열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사건은 언론이 태블릿 PC를 들고 나왔기 때문에 시작됐습니다. 그런데 중간에 태블릿 PC는 사라졌습니다.

사라진 태블릿 PC가 다시 등장하여 검증을 받지 않는 한 대한민국의 분열은 막을 수 없습니다.

속담에 결자해지(結者解之)라 했습니다. <조‧중‧동>을 비롯한 주요언론사 중에 누군가는 나서서 이 문제를 해결해야합니다.

지금부터 우리는 누가 양심을 소유한 진정한 언론인지를 지켜볼 것입니다.


2017년 2월 11일
미래미디어포럼


*미래미디어포럼: 바람직한 미디어세상을 연구하는 전·현직 언론인들의 모임입니다. 회장은 이상로(citylovelee@hanmail.net)이며 MBC출신의 대학교수로 <대한민국을 위한 겸손한 제안>의 저자입니다.

미디어워치 편집부 mediasilkhj@gmail.com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








PC버전으로 보기

Copyrights 2006 All Rights Reserved | 대표전화 : 02-720-8828 | FAX : 02-720-8838 | 대표이메일 : mediasilkhj@gmail.com | 사업장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4길 36, 2층 | 등록·발행연월일 2013년 3월 27일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 다08208 , 영등포, 라00483 |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58 | 사업자등록번호((주)미디어실크에이치제이) : 101-86-45323 | 대표이사 : 변희재 | 발행인 : 변희재 | 편집인 : 황의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황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