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국익의 우선 순위 배분 현실주의 국제 정치이론을 설파한 한스 모겐소(Hans Joachim Morgenthau)는 국가 의사 결정의 최우선 순위를 1. Security(안보), 2. Power(국방력), 3. Prosperity(경제), 4. Prestige(국격) 순서로 두고 이른바 SPPP이론을 제시했다. SPPP 이론의 핵심은 국가의 최우선 순위가 생존(안보)이라는 것이다. 경제는 3순위로 설정되어 있다. 즉, 국가가 무너지면 그 다음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논리구성이다. FT가 위 기사에서 적시했듯이, 금번 트럼프 대통령의 한미FTA 유예 선언의 본질은 안보(북한 비핵화) 이슈가 경제 이슈(FTA 개정)에 앞선다는 것이다. 본 사태를 단지 트럼프 대통령의 말바꾸기에 초점을 맞추면 문제의 본질을 해독하기 힘들어진다. 즉, 갑작스러운 김정은의 중국 방문에다가 그간 누적되어온 문재인에 대한 신뢰도 하락을 감안하면 트럼프 대통령의 공격적 언행은 급변하는 동북아시아 북핵 안보 사항을 정확히 반영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 정책적인 측면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전략적 행보 또한 명확하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에 발표된 신국가안보 전략(NSS)의 핵심 골격인 '안보는 곧 경제'라는 명제를 미국은 일관성 있게 관철시키고 있다.(관련기사 : WSJ, “잠재적 경쟁국가를 방치않겠다는 트럼프의 신 국가안보전략”) 즉, 앞서 언급한 3. Prosperity(경제)를 1. Security(안보)로 인식해 경제 논리와 안보 논리가 충돌할 경우 안보를 상위 개념으로 설정하고 정책 집행에 들어가는게 현재의 미국이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 지금 미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중국계 기업들에 대한 미국내 투자 구성 요건이 안보적 자격 심사로 계속해서 확대 강화되고 있다는 것을 봐야 한다. 미국에서는 최근 중국의 최대 통신 장비 업체인 화웨이에 대한 규제도 본격화되고 있다. 이런 상황을 순수 자유 시장 경제 관점에서만 접근하면, 해법이 보이지 않는다.(관련기사 : 美 월스트리트저널, “앞으로 중국 자본의 미국 진출 어려워진다”) 대한민국은 어떠한가? 무역과 안보가 투트랙이라고 고집해온 대미 외교 전략 부재는 차치하고라도, 문재인 정권은 국제정치 개론서의 ABC도 모르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오히려 어설픈 ‘민족 공조’만을 표방하며, 후순위 국가 이익인 실체도 없는 ‘4. Prestige(국격)’만 관철시키고 있는 것이다. 곧 죽어도 체면이라는 양반 사대부 문화가 아직도 사라지지 않고 있는 것 아닌가. 물론 트럼프 대통령이 주창하는 아메리카 퍼스트가 절대선은 아니고 한국이 완전히 따라할 수도 없다. 하지만, 어쨌건 미국은 SPPP이론을 치밀하게 ‘구체적으로(point-by-point)’ 실행에 옮기고 있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미국이 주도하는 변화하는 국제 질서에 ‘1. Security(안보)’를 최우선 기준으로 기민하게 적응하는 일본과 호주의 전략적 행보를 통해서 많은 통찰의 실마리를 찾아야 한다. 일본은 그렇다치고 호주는 우리와 경제력 등에서 비슷한 나라다.(관련기사 : 호주,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 대안세력으로 떠오르나) 한가롭게 ‘미국의 고립주의’ 운운하면서 ‘서구 좌파’들의 지적 허세에 끼어드는 것 자체가 낭비이고 망국의 지름길임을 명심해야할 것이다.
|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와 의견을 기다립니다.
전화 가능 시간 : 평일 10:00~18:00
(주말, 공휴일은 쉽니다)
Copyrights 2006 All Rights Reserved | 대표전화 : 02-720-8828 | FAX : 02-720-8838 | 대표이메일 : mediasilkhj@gmail.com | 사업장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4길 36, 2층 | 등록·발행연월일 2013년 3월 27일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 다08208 , 영등포, 라00483 |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58 | 사업자등록번호((주)미디어실크에이치제이) : 101-86-45323 | 대표이사 : 변희재 | 발행인 : 변희재 | 편집인 : 황의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황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