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은 지난 2월11일 복무기간 연장 지침 발표에 따른 후속 조치로 미군 장병들의 배치 기간을 1년씩 연장한 바 있다. 미군은 배우자나 자녀 등 가족과 함께 입국한 미군 장병의 복무기간은 기존 2년에서 3년으로 늘리고, 동반 가족이 없는 경우에는 기존 1년에서 2년으로 연장한다는 방침을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서 미국의 국방 전문지인 디펜스뉴스(Defense News)는 미군 장병들의 주둔기간 연장이 한반도 남쪽의 기지부터 예정대로 진행 중이며, 단계적으로 적용 중이라고 보도했다.
매체는 지난 15일 “한국 주둔 미군, 장기 주둔 단계적 시행 예정(Army Korea’s move to longer duty tours to come in stages, general says)” 제하의 기사에서 한국에 주둔 중인 미8군이 지난 10월 1일부터 시행된 새로운 ‘순환 근무 정상화’ 체계에 따라 이미 병력 이동을 수용하고 있지만, 국내 모든 기지가 장기간 복무를 위한 병사 및 가족들의 수용 준비를 마친 것은 아니라고 소개했다.
매체는 윌리엄 D. 행크 테일러 미8군 소장과의 인터뷰를 소개하면서 캠프 험프리스를 포함한 남부의 기지들이 북부 기지들보다 먼저 복무기간 정상화를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미군의 이러한 조치가 이 지역에서 구축하고자 하는 군사 역량에 부합하는 안정성(stability)을 높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매체는 최전방 지역의 소규모 기지와 전초기지가 가족 수용 준비를 완료하는 데 최대 4년이 소요될 것이라고 소개하면서 미군 가족들에게 약속한 학교, 병원 등의 필요한 인프라도 구축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또 매체는 윌리엄 파커 주한미군 공군 대령과의 인터뷰 내용을 인용하면서 “떠날 때면 항상 공백이 생기기 마련이기에 우리는 그런 공백을 최대한 메우고 있다”며 “장기 복무를 통해 병사들이 임무와 보유 장비에 대해 더 숙지한다면 불안정성을 줄여서 준비 태세를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정부에서 주한미군의 전력이 약화될 것이라는 국내 일부 세력의 전망 및 바램과는 달리 미국은 주한미군의 역량을 강화시키는 길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사실상 한미군사동맹 해체를 의미하는 ‘전시작전권 환수’와 ‘자주국방’을 부르짖으면서 반미·친중세력에 동조하고 있는 이재명 정권이 어떻게 대응할지도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