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미디어워치 (국내언론)


배너

‘발정 난 XXX’…인터넷 혐오표현에 방심위 엄정대응

인터넷상 ‘차별•비하’등 혐오 표현에 시정 조치

방송통신심의위원회(위원장 박효종, 이하 방심위)는 지난 8일 인터넷 상에서 ‘차별•비하’ 등 이른바 노골적인 혐오 표현의 표현 수위가 격화되고 있다며 엄정대응 방침을 밝혔다.

방심위가 올해 11월까지 인터넷 상의 ‘차별•비하’ 등 혐오표현에 대해 시정 요구한 건수는 총 833건으로, 전년(705건) 대비 약 20% 증가했다. 방심위는 이 같은 사례가 최근 3년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인터넷상의 ‘차별․비하’등 혐오표현이란, 합리적인 근거 없이 인종, 성별, 출신지역, 장애 등을이유로 특정 개인이나 집단에 대해 경멸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배척하거나, 일방적으로 사회적 편견을 조장하는 내용의 정보다.

방심위가 시정을 요구했던 주요 사례들을 보면, ▲“발정난 암캐년” “국제창녀” “군대갔다 온 남자는 상폐남에다가 걸레창놈” “전쟁나면 개목줄 채워서 총알받이해야 한다”와 같이 비속어나 저속한 성적표현을 사용해 남성․여성을 비하하는 인터넷 커뮤니티 게시글, ▲ “장애인 같다” “사람 대접을 해줘야 하는 거냐”와 같이 장애인을 비하하는 BJ의 발언을 포함한 인터넷 개인방송 ▲“늙었으면 뒈져” “걍 집에 쳐박혀서 죽음을 기다리지”와 같이 노인을 비하하는 게시글 ▲“조선족은 평균 인성 자체가 금수 수준” “짱꼴라는 미개한 바퀴벌레 종족”과 같이 외국인에 대한 무차별적 비하․혐오 표현 등이다.

방심위는 인터넷에서의 혐오 프레임 확산으로 불필요한 사회적 갈등이 조장되고 있다고 판단, 무분별한 혐오 표현을 생산하고 있는 일부 커뮤니티 사이트들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시정조치할 계획이다.

방심위 측은 “네티즌들 스스로도 이러한 혐오 표현이「정보통신에 관한 심의규정」에 따른 시정요구 대상임을 숙지하고, 혐오표현의 위험과 해악을 바르게 인식하고 자제하는 등 사이버 공간을 성숙하게 정화해나가는 노력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미디어내일 박필선 기자 newspspark@gmail.com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