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환태평양 경제동반자 협정(이하 TPP)’ 복귀는 곧 있을 미-일 정상회담에서도 핵심의제될 것 지난 4월 13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은 ‘일본, 미국 TTP 복귀에 대환영(Japan Cheers U.S. Interest in Trade Deal, but Trump Tweets Caution)’ 제하 기사로 일본이 곧 열리는 미-일 정상회담을 미국의 TPP 재가입을 위한 설득의 장으로 활용할 것이라는 보도를 내놨다. 일본은 미국의 TPP 복귀 검토를 환영하고 있다. 아베 신조 수상이 “TPP를 중국 경제 영향력 공세의 균형추로 활용하고 있었던 시점(Prime Minister Shinzo Abe has pushed as a counterweight)”이라서 일본 입장에서는 뜻밖의 낭보로 인식하고 있는 것. WSJ는 트럼프 대통령이 TPP 복귀에 대해서 신중한 태도 역시 유지하고 있음을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윗을 통해서 “미국은 오바마 행정부 시절에 체결된 협정보다 훨씬 진일보한 TPP 협정일 경우에만 재가입 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으며, “일본 역시 그 동안 미국을 대일무역적자로써 강타했다”라는 입장도 표명한 바 있다. WSJ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TPP 검토 지시 소식이 일본 증권 시장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전했다. 리소나(Resona Bank) 금융지주의 자산운용사 대표인 다카시 히라쓰카는 “니케이 평균 주가 지수(Nikkei Stock Average)가 0.5% 상승했다”면서 “미국의 TPP 재가입이 일본 무역 총 거래량 확대로 연결되기 때문에 빚어진 일로 보인다”고 전했다. TPP에 대해서는 회의론도 만만치 않았다. 히라쓰카 대표는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전략 전반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TPP 지속가능성에 대해서 회의적이다”라고 의문을 표시했다. WSJ는 일본 증권가뿐만 아니라 일본 정부 내에서도 미국의 TPP 재복귀에 대해서 회의론도 역시 만만치 않음을 알렸다. 일본 정부의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TPP 협상은 ‘섬세한 유리 공예(like delicate glasswork)’와 유사하다”면서 “이미 11개국은 재협상을 마무리한 상태인데, 협정의 한 가지 부속 조건을 변경할 시에는 협정 전체를 다시 손 봐야 한다"고 밝히면서 향후 재협상 요청이 있을 경우 난항을 예고했다. 특히, 미국이 요구하는 미국 제약사 보호를 위한 ‘장기 특허권 유지(longer copyright and patent protections)’가 가장 논쟁적인 사안이 될 것이라고 WSJ는 일부 비판론자들의 의견을 실었다. 한편 WSJ는 미국의 TPP 재가입이 쉽지 않은 것과 관련,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정책에 대한 근본적인 철학 문제도 상존하고 있음을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자 무역(multilateral)’ 협정은 ‘양자 무역(bilateral )’ 협정보다 열등하다”라는 인식하에 “이미 미국은 TPP 가입국 중 일본 포함 6개국과 양자 협정을 맺고 있다”라고 밝힌 바 있다. 덧붙여 WSJ는 “사실, 일본은 미국과의 양자 협정을 그 동안 회피해 왔다(Tokyo has resisted entering into talks on a two-way deal with the U.S)”고도 전했다. 마지막으로 WSJ는 “일본 아베 수상은 미국 TPP 참여의 맹렬 주창자로서 다음 주에 개최될 미-일 정상 회담에서도 미국의 TPP 재가입이 핵심 의제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일본은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의 입을 빌려 “일본은 미국의 TPP 재가입이 미국 경제와 고용에 플러스 요인이라는 정당성을 다시 한번 설득 할 것(once again make the case that the TPP is a plus for the U.S. economy and jobs)”이라고 정상회담을 앞둔 포부도 피력했다고 WSJ는 소개하면서 기사를 마무리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TPP 재가입 시사 소식이 전 세계를 강타함와 동시에 동아시아 국가들은 자국 이익에 부합하는 복잡한 국익 계산에 들어갔다. 하지만 한국 정부의 정책담당자는 도대체 뭘 준비하고 있는지 감감 무소식이다. 태평양 지역에서 글로벌 시장 질서가 재편되는 가운데, 한국 정부의 행보는 도무지 읽을 수 가 없는 실정이라는 것이다. 동아시아 안보 질서 재편에 이어 시장 질서 재편도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100년전 상황처럼 한국만 세계 문명 질서와 소외와 배제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