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자유통일강대국코리아 (역사/외교)


배너

'노동쟁의'가 '항일운동'으로 둔갑하는, 誇張 및 飛躍 사례

해녀들의 요구사항들은 어디까지나 자신들의 권익추구 쪽으로 거의 한정된다. '조선의 독립' 같은 문구는 어디에도 없다.

 ※ 본지는 앞으로 조갑제닷컴(http://www.chogabje.com)의 역사, 외교, 안보 분야의 우수 콘텐츠들을 미디어워치 지면에도 소개하는기회를 갖기로 했습니다. 본 콘텐츠는 조갑제닷컴 회원토론방, 필명 '펀드빌더'님의 글입니다.



유네스코가 11월30일 한국의 '제주 해녀 문화'를 세계무형문화재로 등재한 것과 관련해, 이를 보도한 국내 언론 중에는, 민간차원에서 전개한 제주해녀 홍보 노력을 소개한 경우도 있었다.

“관광차 제주도에 갔다가 1930년대 제주 해녀들의 항일운동 역사를 알게 된 뒤 마음이 움직여 해녀를 주제로 '바다를 담은 소녀'란 곡을 만들었다.”


한 음악가가 제주 해녀를 국제적으로 홍보하는 일에 본격 나서게 된 계기라며 언론이 전한 부분이다. 제주 해녀들이 '1930년대에 항일운동을 했다'고 나오는데, 구체적 내용이 궁금했다.

'제주 해녀 항일운동'을 키워드로 검색을 해 보았더니, '제주 해녀 항일 운동사', '제주 해녀 항일 운동탑' 등의 자료가 검색되었다.


 
검색된 자료 중에서, 금년 8.15 특집으로 도보된 ‘무장한 1500 제주 해녀, 그들은 일본과 이렇게 싸웠다’라는 기사('오마이뉴스')가 상세한 내용을 전하고 있었다. 이 기사 등을 종합해 당시 상황의 핵심을 추리면 이렇다.

¶과거 1920년 4월22일자 동아일보 기사에 따르면, 당시 한국의 해녀는 1만명 정도 존재했고 개인별 연평균 소득은 현재 가치로 환산하면 2천만원 정도이다. 제주 전복과 감태, 우뭇가사리 등이 일본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면서 수요가 늘어나 관련 산업도 발달했다.
  
¶일본의 수탈은 악랄했다. 해녀들이 채취한 수산물을 매집하는 역할을 하는 매집商으로 일본인을 지정해놓았다. 악덕 수집商은 해녀들이 채취한 수산물을 시중가격의 절반도 안되는 헐값으로 사들이며 착취했다.
 
¶해녀들은 수산물 매집 가격을 인상해 줄 것을 요구했으나, 매집상은 이를 거부하며 매집중단으로 맞섰다. 해녀들은 해녀 조합 집행부에게 이 문제를 해결할 것을 요구했지만, 조합장은 일본인이며 당시 제주도 지사까지 겸직했기 때문에 해녀들의 요구는 관철되지 못했다.
  
¶해녀들은 자신들의 주장을 8개 항목으로 정리했다. 1)일체의 지정판매 절대 반대. 2)일체의 계약보증금은 생산자가 보관. 3)미성년과 40세 이상 해녀 조합비 면제 4)질병 등으로 작업을 못한 해녀는 조합비 면제. 5)출가증 무료 급여. 6)총대의원은 里별로 공개선거. 7)조합재정 공개. 8)매집商을 옹호한'마쓰다'(升田) 서기를 즉시 면직.
  
¶이후, 일부 한국인 청년 교사 등이 개입을 하면서 해녀들은 조직적으로 경찰에 대항했다. 신임 도지사가 해녀들에게 포위되고 차량 일부가 파손되는 사건 등이 발생했고, 제주도에 계엄령이 내려졌다.
  
¶배후자로 체포된 청년들을 호송하던 경찰 차량을 해녀들 1500명이 빗창과 돌멩이로 습격하여 청년들을 도피시켰고, 경찰 주재소로 연행된 해녀 100여 명을 도피시키기 위해 500명의 해녀가 경찰서를 빗창과 호미로 습격했다.
  

상식적으로 판단하는 사람이라면 이러한 활동에 대해서는, '노동쟁의'를 우선 떠올릴 것이다. 일본에 대항하는 한국인 청년이 일부 배후로 등장하지만 해녀들의 요구사항들은 어디까지나 자신들의 권익추구 쪽으로 거의 한정된 다. '조선의 독립' 같은 문구는 어디에도 없다. 해녀들이 요구한 8개 항목이라는 것도 자세히 보면, 일본 당국을 향한 요구보다는, 조합 자체 내 갈등 (집행부와 일반조합원) 관련 문제로 거의 채워져 있다.
  
사정(Fact)이 이런데도 오늘날 이 사건은 주로 '제주 해녀 항일운동'이라는 식으로 알려져 있다. 마치 '독립운동'이라도 되는 것 같은 뉘앙스다. 당시 두 달 간 지속된 '노동쟁의'로, 200회 이상의 집회 및 시위가 발생했다. 중간에 계엄령까지 발령되었는데도 해녀들은 격렬한 시위 및 습격 등은 계속 이어졌다. 그런데도, 인명사고(사망자)는 한 건도 없었다. 다소 의외로 느껴지는 부분이다. '잔악한 일제'가 계엄령까지 발령해놓고 습격까지 당한 상황이라면, 오늘날 한국인의 상식으로 볼 때, 당시 일제는 무자비한 진압(탄압)을 전개하여, 다수 해녀가 희생되는 결과가 나왔을 법도 싶은데 전혀 그렇지 않았다. 오늘날 잣대로 보면 '이상하다'는 생각밖에 안 든다 .
  
“일본의 수탈은 악랄했다...악덕 수집商은 해녀들이 채취한 수산물을 시중가격의 절반도 안되는 헐값으로 사들이며 착취했다”고 우리 언론은 보도했다. 당시 해녀들이 바다에서 채집한 전복 등에 대해, 수집商은 대략  시중 가격의 절반 '근접한'('조금 못미치는') 가격으로 사들인 것 같다. 이것을 ‘수탈’이자 ‘착취’라고 한국 언론이 표현한 것이다. 그런데, 금년 9월 한국 언론에는 이런 내용이 보도되었다.


“태백지역 배추 농가에 따르면 올해 포기당 1000원으로 계약이 이루어졌다...한국농수산유통공사에 공시된 9월9일 상품 배추(1킬로) 평균 도 매 가격은 2140원이다. 그런데 평균 소매 가격은 이보다 무려 4배 가까이 높은 8128원이다. 그런데 실제 소매 시장에서는 배추 상태에 따라 1만3000원까지 거래된다. 산지 농가와 비교하면, 8배에서 13배나 비싼 것이다.”

  
제주도의 전복 등 수산물과, 육지의 배추 등 농산물을 동일선상에서 비교할 수는 물론 없다. 하지만, 과거나 지금이나 농수산물의 경우, 산지와 시장 간의 가격 격차는 분명 존재한다. 한국 언론은, 시장가의 절반에 조금 못미치는 가격으로 수산물(제주 전복 등)을 수매한 당시 일본 당국을 향해 ‘악랄한 수탈’ ‘착취’라고 비난했다. 그렇다면, 오늘날 시장가의 8분의 1, 심지어 13분의 1이라는 헐값에 수매하고 있는 한국 당국은 ‘超악랄한 수탈’ 내지 ‘착취의 끝판왕’쯤 되는 것 아닌가?
  
당시 일본이라는 큰 '수산물(전복 등) 소비시장'이 존재하고 있었기 때문에 비로소 1만 명이나 되는 한국의 해녀들이 그때 소득을 올릴 수 있었다는 현실 또한 무시할 수는 없다. 해녀를 하겠다는 사람들이 얼마든지 넘쳐나는 상황이라면, 상품유통의 주도권은 소비시장이나 수집商쪽에서 쥘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이다.
  
과거에 일본이 했던 것은 무조건 ‘수탈’이고 ‘착취’인 것으로만 자동인식하는 非이성적 행태로부터 이제는 탈피해야 한다. 이런 것은, 洗腦에 따른 비정상 사고에 불과하다. '노동쟁의'를 '항일운동'인 것처럼 받아들이는 것 또한 말할 필요도 없다. '노동쟁의'를 '항일운동'으로 둔갑시키는 것은, 誇張에 해당하는 것은 물론, 심하면 역사왜곡에도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한국이 과거에 '항일운동'을 많이 했다는 것으로 알려져야만, 오늘날 한국의 자부심이 더욱 올라가게 되고 체면이 더욱 서게 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더구나 그것이 誇張이나 歪曲에 의한 것이라면 더욱 말할 필요가 없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