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미디어워치 (국내언론)


배너

네이버 윤영찬 이사, “우리는 언론 아니다” …국감 준비한다며 토론회 불참하더니 무성의한 답변만

신문법 언론중재법 상 언론이라는 해석도 부인… “정보의 독점과 불공정거래” “언론사 탓만한다” 곳곳에서 포털 책임론 쏟아져

지난 17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감장에서 새누리당 이재영 의원은 "현행 신문법의 인터넷 뉴스 정의를 보면 인터넷 뉴스 서비스 인터넷 사업자인 포털을 언론으로 규정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증인으로 출석한 윤영찬 네이버 이사는 "신문법이나 언론중재법을 보면 인터넷 사업자를 언론의 한 테두리로 해석하는 부분도 있지만 어떤 전통적인 방식에서 우리는 언론 분류 상 아직 언론으로 가지 않았다"며, 언론으로 보는 견해를 부인했다.

유수의 학자들은 포털의 뉴스 편집과 배치, 유통행위를 두고 ‘언론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또, 업계 관계자들은 해당 법률 등을 근거로 포털을 언론의 범주에 넣고 있는 추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작 당사자인 포털사는 스스로를 언론이 아니라고 해석하며 빠져나갈 구멍을 찾고 있는 모양새다.

김상민 새누리당 의원은 같은 자리에서 윤영찬 네이버 이사에, "네이버가 어떤 회사냐"고 묻자, 윤 이사는 "검색회사다"라고 답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검색회사를 표방한 정보 유통회사다. 정보를 유통해서 폭리를 취하고 소비자가 원하는 정보를 볼 수 있게 하는 게 아니라 네이버가 주고 싶은 정보를 준다"고 힘주어 설명했다.

김 의원은 “(소비자가) 뉴스를 한 번 클릭하면 (언론사로 돌아가는 금액이) 10원도 안 된다는 얘기가 있다. 알고 있나"라고 묻자 윤 이사는 "산정해 본 적 없다"며, 무성의한 답을 내뱉었다.

네이버 측은 전 날(16일) ‘포털뉴스의 오늘과 내일’ 긴급 토론회를 하루 앞두고, ‘17일 국정감사에 준비’를 이유로 불참을 통보하기도 했다.

김 의원은 또, 뉴스 배치와 관련해 “지난 6개월 동안 네이버에 나온 기사를 살펴보면 연합뉴스와 그 외 기사가 압도적이다. 이게 알고리즘이 만든 것인가. 누가 뉴스를 배치하나. 배치 과정에서 잘못되고 편향된 정보를 소비자에게 마구 던지는 것 아닌가"라고 물었고, 윤 이사는 “(기사 배치를 통해 네이버가) 직접적으로 이익을 얻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윤 이사의 이 같은 발언은 기사를 일일이 배치하면서 수수료를 받는 등 일정 수익을 올리는 것은 아니라는 의미로 해석돼, 뉴스서비스의 편향성 논란과는 무관한 답변으로 보인다.

포털사는 트래픽 수를 기반으로 다양한 사업을 추진 중이며, 뉴스 서비스는 포털사가 이용자를 사이트 내에 머무르도록 하는 주요 컨텐츠 중 하나다. 따라서, 이용자를 머물게 하기 위해 뉴스 편집에 편향성을 보일 수 있다는 해석도 이미 발표된 바 있다.

이와 관련, 김 의원은 “소비자가 원하는 정보를 볼 수 있게 하는 게 아니라, 네이버가 주고 싶은 정보를 주는 곳"이라며, "오리온 초코파이가 먹고 싶은데 자꾸 롯데 초코파이가 앞에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증인으로 출석한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에게 "롯데마트에서도 이렇게 안 하죠?"라고 질문을 던져 국감장을 웃음바다로 만들기도 했다.

김 의원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가장 나쁜 것이 독점과 불공정이다. 네이버 이해진 의장이 황제 경영을 하는 것 아니냐"며, 윤 이사를 질타했다.

김상민 의원은 마지막에 자리에서 일어나서 '불공적 독점자 네이버', '인터넷 재벌 황제 이해진 의장은 증인 출석하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시위를 벌이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한편, 조형래 디지털뉴스본부 취재팀장은 19일 ‘포털, 사이비 언론 병폐 직접 해결하라’ 제하의 칼럼을 통해, “포털들은 자신들을 궁지에 몰아넣고 있는 사회적 논란을 자초한 측면이 크다”며, “우선 국내 포털은 제휴 언론사의 선정과 뉴스 콘텐츠 배치 등에 대한 명확한 기준과 원칙을 한 번도 공개한 적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항상 편향성 논란에 휘말리며, “편집권을 행사하면서도 언론기관으로서의 책임은 회피한다”는 비판이 제기된다는 주장이다.

조 팀장은 또, 어뷰징을 포털이 사실상 방관해 온 것을 더 큰 문제로 꼽았다. 이는 포털의 실시간 검색어 순위에 맞춰 매체들이 같은 기사를 포털에 반복해 올리는 것이라고 설명하면서, “포털은 뉴스를 보내는 언론사 탓만 할 뿐 이를 적극적으로 개선할 의지가 별로 없어 보인다”고 포털을 질책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조 팀장은 뉴스제휴와 어뷰징 해결을 위해 책임을 외부로 미루지 말고 포털 스스로가 결자해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디어내일 박필선 기자 newspspark@gmail.com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