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6년 트럼프 당시 공화당 대선후보에 대한 미 연방수사국(FBI)의 수사가 부적절했으며, 조작수사였다는 내용의 ‘더럼 보고서(Durham report)’가 공개되면서 정치중립을 어긴 미국 수사기관에 대한 비판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FBI의 조작수사에 조 바이든 정부와 미 국세청(IRS)까지 관여했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파문은 점차 커지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을 겨냥한 FBI의 조작수사는 2016년~2017년 한국에서의 태블릿 조작수사와도 유사한 부분이 있어 더욱 눈길을 끈다. 미국의 유력 매체인 ‘워싱턴타임즈(Washington Times)’는 22일(현지시간) 뉴트 깅리치(Newt Gingrich) 전 하원의장의 칼럼 “워터게이트보다 심각한 바이든 대통령과 갈랜드 법무장관의 범죄(Criminality of Biden-Garland’s Justice Department bigger than Watergate)”을 게재했다. 깅리치 전 하원의장은 서두에서 “바이든 정부의 불법 행위에 대한 보도를 보면, 워터게이트는 유치원 장난처럼 보인다(The current reports of executive branch illegality make Water
지난 2016년 트럼프 당시 공화당 대선후보에 대한 FBI의 수사가 부적절했다는 내용의 ‘더럼 보고서(Durham report)’로 인한 파문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앞서 존 더럼 특별검사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2016년 FBI의 트럼프 대선 캠프 수사에 대해 “분석되지도 검증되지도 않은 채 수집된 그대로의 첩보에 기반해 착수한 수사”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공화당 소속 데빈 누네스 전 하원 정보위원장은 21일(현지시간) “폭스뉴스(Fox News)”에 출연, 진행자인 마리아 바리트로모(Maria Baritromo)와의 인터뷰에서 존 더럼 특별검사의 보고서에서 발췌한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했다. 누네스 전 정보위원장은 미국이 슬픈 날을 맞이했다고 개탄하면서 더럼 보고서가 미국 사법 시스템의 완전한 붕괴를 상징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법무부는 범죄(조작수사)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라고 덧붙였다. 누네스 전 위원장은 절대적으로 정치중립을 지켜야 할 제임스 코미(James Comey) 전 FBI 국장과 존 브레넌(John Brennan) 당시 CIA 국장 등이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조작수사를 공모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누네스 전
리즈 트러스(Liz Truss) 전 영국 총리는 지난 17일(현지시간) 대만을 방문해 유럽연합 회원국들을 비롯한 전세계 자유진영 국가들에게 중국의 경제적 협박에 대한 대응책으로 ‘경제적 나토’를 구성할 것을 요구했다. 이어 트러스 전 총리는 중국이 제공하는 경제적 이익으로 인해 자유와 민주주의에 대한 그들의 위협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중국 공산당의 위협에 시달리는 대만인들은 리즈 트러스 전 총리의 메시지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대만 언론도 우호적인 입장이다. 전쟁이라는 쉽지 않은 선택을 제외하면 중국이 주변국들을 협박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수단은 경제보복인데, G7 등 전세계 GDP의 절반 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자유진영 국가들이 단합한다면 중국에 효과적으로 맞설 수 있기 때문이다. 대만의 유력 영자신문인 ‘타이페이타임즈(Taipei Times)’는 20일(현지시간) “경제동맹을 통한 억제력(Economic alliance as a deterrent)” 제하의 사설을 게재했다. 사설은 트러스 전 총리의 지난 17일 발언을 설명하면서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임으로써 경제적 탄력성을 창출하는 것과 중국과의 관계에 대한 명확한 입장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대권에 처음 도전했던 2016년부터 전세계 좌파언론으로부터 집요한 음해와 명예훼손을 당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대표적인 음모론 중 하나는 그의 2016년 대선 캠프와 러시아와 유착했다는 의혹이었다. 하지만 당시 ‘러시아 스캔들’에 대한 연방수사국(FBI)의 수사 착수가 부적절했다는 특검의 최종 보고서가 나왔다. 존 더럼 특별검사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2016년 FBI의 트럼프 대선 캠프 수사에 대해 “분석되지도 검증되지도 않은 채 수집된 그대로의 첩보에 기반해 착수한 수사”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미국의 유명한 우파 논객인 그렉 거트펠드(Greg Gutfeld)는 16일 폭스뉴스(Fox News)의 토크쇼인 “The Five” 에 출연, 트럼프에 대한 좌파진영의 무분별한 허위사실 유포와 인격살인에 대해 신랄하게 비판했다. 거트펠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집권하기 직전부터 민주당 지지자들 중 상당수가 “트럼프가 집권할 경우 미국이 망한다”고 선동했다는 사실을 상기시킨 후, 그들을 사기꾼이라고 비판했다. 거트펠트는 민주당 골수 지지자들이 트럼프의 당선을 막기 위해 불법행위와 거짓말을 포함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다 했다면서
20세기 초반부터 미국은 전세계인들에게 기회의 땅이었다. 표현의 자유가 보장받고 식량과 자원이 가득한 곳. 이민자라고 해도 열정과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창업을 해서 성공할 수 있는 곳. 지금까지도 세계 각국의 천재들과 부자들이 미국으로 이민을 가는 배경에는 이런 ‘아메리칸 드림(Ameciran Dream)’이 있다. 그랬던 미국이 경제적-사회적으로 쇠락해가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적지 않다. 코로나 팬데믹 당시 과도한 현금살포 정책으로 인해 구인난이 발생했고, 이것이 살인적인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지면서 미국인들의 삶의 질은 크게 하락했다. 여기에 민주당 바이든 정권의 무분별한 대체에너지 선호 정책으로 인해 에너지 비용까지도 크게 상승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서 미국의 자유보수 우파 매체인 ‘워싱턴이그재미너(Washington Examiner)’는 15일(현지시간) “아메리칸 드림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바이든의 좌파 정책(Liberal policies are making the American dream unaffordable)” 제하의 사설을 게재했다. 사설은 서두에서 BLM(Black Lives Matter) 폭동 이후로 경찰력이 약화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생명
민주당 바이든 정부의 현금살포 정책으로 인해 발생한 살인적인 인플레이션.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eral Reserve Board, FRB)는 과도한 인플레이션을 저지하기 위해 2022년부터 연속적인 금리 인상에 나섰고, 이번에는 그 부작용으로 유동성(liquidity)이 부족해지면서 미국의 은행들이 파산하기 시작했다. 문제는 위기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는 데 있다. 영국의 경제전문지인 ‘파이낸셜 타임즈(Finalcial TImes)’는 12일(현지시간) “신용거품 감소로 위기는 은행 외에까지 번질 수 있다(The deflating credit bubble could hurt more than just the banks)” 제하의 사설에서 은행 뿐 아니라 보험사들까지 유동성 위기를 겪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사설은 서두에서 미국 연방예금보험공사(Federal Deposit Insurance Corporation)가 예금 보호 조치를 했기 때문에 시장에서 패닉의 수준은 다소 떨어졌지만, 은행에서 예금이 서서히 빠져나갈 뿐 아니라 상업용 부동산과 회사채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면서 자금 조달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사설은 투자자들과 정치인들이 주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일가의 부패 의혹이 점차 사실로 밝혀지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의 아들인 헌터 바이든과 제임스 바이든은 조 바이든이 부통령이었던 2010년대 초반부터 우크라이나 등 해외에서 사업상 이익과 이권을 챙기기 위해 조 바이든 대통령의 이름을 팔아서 각종 거래를 해왔다는 의혹을 받아 왔다. 제임스 코머 연방하원 감독위원회(Oversight Committee) 위원장은 최근 조 바이든 일가 의혹에 대한 조사를 위해 내부고발자(whistleblower)에 대한 소환장을 발부한 바 있다. 조사 결과, 바이든 가족의 부패 규모는 예상보다 더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알려진다. 미국의 유력 언론사인 폭스뉴스(Fox News)는 10일(현지시간) 변호사이며 정치평론가인 그렉 제럿(Gregg Jarrett)이 기고한 칼럼 “바이든 가족의 부패에 대한 충격적인 새 증거(The explosive new evidence of Biden family's breathtaking corruption)”를 게재했다. 칼럼은 하원 감독위원회(Oversight Committee)가 폭로한 바이든 가족의 부패 규모에 대해 ‘숨막히는 수준(breathtaking)’이라고 지적하면서
공산당 1당 독재 국가인 중국은 시진핑의 집권 이후로 더욱 폐쇄적인 사회로 전락했다. 공산당의 정책을 비판하는 목소리에 대한 검열과 감시는 마오쩌둥 시절 수준으로 심각해졌으며, 중국령이면서도 자치를 보장받던 홍콩조차도 사실상 중국 공산당의 직할도시가 됐다. 이처럼 깡패국가(rogue state)로 전락한 중국은 이제 대만 침공을 준비하고 있다. 더 심각한 사실은 중국 공산당 지도부 뿐만 아니라 중국 일반인들마저도 대부분 대만에 대한 강제병합을 지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공산당이 독재정치로 획일적인 ‘중화민족주의’ 여론을 조성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서 미국의 외교전문지인 포린어페어스(Foreign Affiars)는 9일(현지시간) 중국 전문가인 통 자오(Tong Zhao) 프린스턴 대학교 방문연구교수가 기고한 칼럼 “중국의 에코체임버는 대만을 어떻게 위협하는가(How China’s Echo Chamber Threatens Taiwan))” 제하의 칼럼을 게재했다. 에코체임버(Echo Chamber)는 비슷한 성향의 사람과 소통한 결과 다른 견해는 불신하고 같은 견해만을 취사선택해서 진실로 믿는 정보 환경을 의미한다. 칼럼은 서두에서 대만해협에서 미국과 중국의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조기 휴전을 지지하는 목소리가 점차 설득력을 얻고 있다. 공화당의 유력한 대선주자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당선되는 즉시 푸틴 러시아 대통령 및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협상을 통해 전쟁을 종식시키겠다고 선언했고, 공화당 지지자들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도 휴전을 지지하는 답변이 우세하다. 현재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비 지원을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미국 민주당 내에서도 휴전을 적극 주장하는 목소리가 있다.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에 출마한 로버트 F. 케네디 변호사로, 그는 미국의 제35대 대통령이었던 존 F. 케네디 전 대통령의 조카다. 케네디 변호사는 지난 5일(현지시간) 유튜브 ‘올인(All-In)’ 팟캐스트 채널과의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에 반대하는 기존 입장을 더 자세히 설명했다. 그는 미국과 서방의 기대와는 달리 러시아인들이 이 전쟁에서 패배하는 것을 상상조차 하고 있지 않다고 주장하면서 빠른 휴전 논의를 촉구했다. 케네디 변호사는 자신도 우크라이나에 대한 인도적 지원에 찬성하는 입장이었다고 강조하면서, 로스쿨에 다니던 자신의 아들이 우크라이나를 위한 의용군으로 참전했다는 사실도 소개했다. 이어…
2024년 대선에서의 핵심 이슈는 인플레이션 문제와 함께 범죄율 문제가 될 가능성이 높다. 2020년 5월부터 시작된 BLM(Black Lives Matter) 폭동을 계기로 민주당이 집권하고 경찰 예산이 대폭 줄어들면서, 미국의 강력범죄율은 대폭 상승했기 때문이다. 미국의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팁인사이츠(TIPP Insights)’는 2일(현지시간) 홈페이지에 “미국의 범죄율 급증은 대선에서 민주당에겐 약점, 공화당에겐 강점(From New York To San Francisco, America's Crime Epidemic Exposes The Democrats' Weakness - A Winning Issue For The GOP)” 제하의 칼럼을 게재했다. 현재까지는 주로 공화당 지지 성향 매체에서 범죄율 급증을 바이든 정권의 실정이라고 지적해 왔는데, 여론조사 전문기관에서도 범죄율 문제와 내년 미국 대선을 연계시켜서 전망한 것은 이례적이다. 칼럼은 서두에서 민주당 소속이며 좌파인 개빈 뉴섬(Gavin Newsom) 캘리포니아 주지사가 최근 캘리포니아 고속도로 순찰대와 주 방위군을 동원해서 마약인 펜타닐(pentanile) 거래를 단속하겠다고 선언한…
올해 3월, 중국 공산당 정권이 앙숙인 사우디와 이란의 국교 정상화를 중재하면서 중동에서의 존재감을 과시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일각에서는 이것이 그간 경제교류에 초점을 맞춰온 중국의 중동 접근 방식에 새로운 변화를 시사하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실제로 미국의 세계 패권의 도전하는 중국이 세계 최대의 석유 매장량을 자랑하는 중동에서 영향력 확대에 나섰다면서 국내외 친중세력은 연일 중국을 칭송하기도 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중동에서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속단하기는 힘들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이런 내용으로 호주국립대학교(ANU) 산하의 동아시아포럼(East Asia Forum)은 4일(현지시간) 브뤼셀 자유대학 거버넌스스쿨(Brussels School of Governance)의 가이 버튼(Guy Burton) 부교수가 기고한 “사우디-이란 협정만으로 중동에서 중국의 적극적인 역할을 속단할 수는 없다(Why the Saudi–Iran agreement doesn’t herald an active role for China in the Gulf)” 제하의 칼럼을 게재했다. 칼럼은 중국이 걸프 지역에서 분쟁 중재자로서 더 중요하고 적극적인 역할을 맡게
대만 총통 선거가 8개월 앞으로 다가오면서 중국 공산당이 도발 수위를 점차 올리고 있다. 대만해협에서 군사적 긴장과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면 총통 선거에서 친중 성향인 국민당(KMT)에게 유리해진다는 분석 때문이다. 대만 내부에서도 국민당을 지지하는 유권자들은 적지 않으며, 지난해 11월 지방선거에서는 친중 노선을 노골적으로 내세운 국민당이 승리했다. 또 국민당 소속인 마잉주 전 총통은 최근 중국을 방문했지만 의전 관련 푸대접 논란이 일기도 했다. 미국의 외교전문지인 디플로맷(The Diplomat)은 1일(현지시간) 대만쑤저우대학 팡유첸(Fang-Yu Chen) 교수와 대만 민족학연구소 웬리우(Wen Liu) 연구원 및 프리랜서 기자인 브라이언 히우(Brian Hioe)가 공동으로 작성한 칼럼 “전쟁 위험 속에서 친중 논리가 판치는 대만(In the Face of War, the Dangers of Pro-China Rhetoric in Taiwan)”을 게재했다. 칼럼은 서두에서 최근 차이잉원 대만 총통이 캘리포니아에서 케빈 매카시 미 하원의장을 만난 후에 마잉주 전 국민당 총재가 중국과 대만 사이의 ‘불가분성’을 강조하며 중국 순방을 마친 사실을 언급하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재선 도전을 선언하면서 2024년 대선에서는 트럼프 전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의 재대결이 성사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높은 인플레이션과 범죄율 급증 등의 문제로 인해 바이든 대통령의 재선이 쉽지 않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만 80세가 된 바이든 대통령의 나이로 인한 인지능력 저하에 대한 우려도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공화당 뿐 아니라 민주당 일각에서도 바이든 대통령이 단독으로 핵무기 관련 결단을 내리게 해서는 안된다는 주장이 나온 바 있다. 미국의 자유보수 우파 성향 매체인 ‘아메리칸스펙테이터(American Spectator)’는 지난 30일(현지시간) 의사인 데이비드 캐트런(David Catron)이 기고한 칼럼 “바이든의 문제는 나이가 아니라 인지능력(Biden’s Age Is Not the Problem Here!)”을 게재했다. 칼럼은 서두에서 바이든 대통령의 이상한 행동에 대해 대부분의 전문가들의 그의 ‘나이’를 문제삼는다고 지적하면서 “하지만 미국인들은 바이든 진정한 문제가 꾸준한 인지능력 저하(cognitive decline)라는 것을 오래전부터 알고 있었다”고 언급했다. 칼럼은 지난 2021년 11월 실시된 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막대한 재정적자로 신음하고 있는 미국이 이번에도 연방 부채 한도를 늘려야 하는 상황에 직면한 가운데, 미국 최대 은행인 JP모건은 최근 미국 국채의 기술적 디폴트(채무불이행) 가능성이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경고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치력을 발휘해서 부채 한도 증액 법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야당을 설득해야 할 조 바이든 대통령은 오히려 이번 위기를 이용해서 야당인 공화당을 압박하려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미국의 경제전문지인 ‘월스트리트저널(Wall Street Journal, 이하 WSJ)’은 27일(현지시간) “디폴트를 인질로 치킨게임을 하는 바이든(Biden Plays Chicken With Default)” 제하의 사설에서 협상이나 타협과는 거리가 먼 바이든 정부의 고압적인 태도를 비판했다. WSJ는 서두에서 하원 다수당인 공화당이 지난 26일에 연방 부채 한도를 올리는 법안을 통과시켰지만, 바이든 대통령은 여전히 그런 일이 없었던 것처럼 행동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대통령이 디폴트 문제를 가지고 장난을 치고 있다”고 비판했다. WSJ는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이 “공화당이 우리 경제를 인질로 잡고 디폴트(채무불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