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한동훈 등 특검제4팀, 그리고 이들의 범죄를 은폐 비호하는데 앞장서고 있는 정성호 장관의 법무부 등은, 태블릿의 결정적 조작 증거를 제출해도 이에 대한 답변을 모두 피해가고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장시호 제출 태블릿 구매 시점과 최서원의 독일 체류기간의 불일치이다. 해당 태블릿은 2015년 8월 15일 출하되었고, 8월 18일에 구매되었다고 삼성전자 측은 사실조회서를 제출했다. 그리고 2015년 8월 18일부터 2015년 9월 9일까지의 웹브라우저 사용기록이 확인되었다. 문제는 이 시기 최서원은 독일에 체류했다 (출입국 기록상 2015. 8. 14.부터 2015. 9. 11.까지). 구체적으로, 8월 14일 독일로 출국한 최서원이 8월 18일, 해당 태블릿을 국내에서 구매할 수도 없었고, 해당 태블릿이 독일로 날아가지 않은 이상, 독일에서 최서원이 사용할 수도 없었다. 당시 특검의 이규철 대변인은 2017년 1월 11일자 국민 브리핑에서 “이메일 송수신 시점 등을 토대로 해당 태블릿PC가 2015년 7월부터 2015년 11월까지 사용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제품이 출시도 되기 전부터 사용했다는 엉터리 거짓 발표를 것이다. 더구나
고 황의원 전 미디어워치 대표를 기리는 추모기념사업회가 구성되고 있다. 장례를 마친 뒤, 평소 황의원 전 대표와 일본, 대만, 미국 보수 네트워크 사업을 함께 했던 류석춘 전 연세대 교수, 양준모 연세대 이승만 연구원 원장, 김병헌 국사교과서 연구소장, 정안기 박사, 박순종 펜앤마이크 객원기자, 이우연 박사, 한정석 전 KBS PD, 변희재 미디어워치 대표 등이 추모사업을 위한 모임을 결성했다. 니시오카 쓰토무 일본 레이타쿠대 객원교수 측이 “평소 황 전 대표와 교류를 해온 일본 측 인사들이 방한, 한일 공동 추모식을 하고 싶다”는 뜻을 전해와, 49제 전후 1월 초에 이 행사를 주최하는 게 급선무다. 추모식 외에도, 황 전 대표가 추진했던 미국, 일본, 대만, 한국의 보수 네트워크 관련 세미나, 그리고 황 전 대표가 목숨을 내던지며 밝혀낸 박근혜 탄핵 태블릿 조작 국민 설명회 등 행사가 기획될 전망이다. 또한 한정석 전 KBS PD가 제안한 범국민적 태블릿 진상규명단 구성도 논의할 예정이다.
최서원씨가, 이제일 변호사와, JTBC 태블릿 조작, 장시호 제출 태블릿 조작, 그리고 특검 등의 조작 발표를 그대로 보도한 언론사 등에 대한 소송 준비에 착수했다. 21일 이제일 변호사가 청주여자교도소를 방문, 소송 위임계약서를 작성했다. 최서원씨는 일단, 100% 조작이 확정된, 장시호 제출 태블릿에 대해 국가, 윤석열, 한동훈, 김영철, 이규철, 박주성, 정민영, 장시호 측 이지훈 변호사 등등에 대해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준비한다. 해당 태블릿 당시 이규철 대변인의 발표 전에 포렌식을 한 기록과 자료도 존재하지 않고, 오히려 서현주 대검 전 수사관이 포렌식을 빙자하여, 조작 증거를 인멸한 기록들이 모두 확인되었다. 더구나 최근 해당 태블릿을 개통한 최서원 측의 안모비서는 “특검에 세 차례 소환되어 최서원 것이 아니라고 진술했지만, 전혀 다른 수사결과를 발표했다”는 자술서를 법원에 제출하기도 했다. 현재 안모비서의 특검 진술조서는 전혀 남아있지 않다. 최서원의 태블릿이라 조작발표한 내용과 정 반대의 근거가 되니 불법 폐기시켜버린 것이다. 다만, 해당 태블릿은 김영철, 박주성 등 한동훈 일당들이 주도하여 조작한 것으로 파악, 윤석열, 이규철, 이지훈 변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