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칼럼은, 일본의 유력 국제 외교안보 싱크탱크 ‘국가기본문제연구소(国家基本問題研究所)’에 2023년 4월 10일자로 게재된, 레이타쿠(麗澤)대학 객원교수 니시오카 쓰토무(西岡力)의 기고문 ‘루머정치 비판받은 한국 야당의 후쿠시마 방문(デマ政治と批判された韓国野党の福島訪問)’를, 니시오카 교수의 허락을 얻어 완역게재한 것입니다. (번역 : 미디어워치 편집부) 루머정치 비판받은 한국 야당의 후쿠시마 방문 (デマ政治と批判された韓国野党の福島訪問) 한국의 좌파 야당인 더불어민주당 의원단이 후쿠시마 원전 처리수 해양 방출에 반대하기 위해 4월 6~8일 일본을 방문했다. 이에 대해 한국내에서도 강한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특히 평소 반일 보도에 앞장섰던 한국 유력 일간지 조선일보가 ‘과학과 사실을 거부 ‘괴담 정치’ 유혹 못 버리는 민주당’ 제하 6일자 사설로 처리수 방출을 위험시하는 야당의 주장에 대해서 과학적 근거를 제대로 제시하면서 반박했다. 이는 오랫동안 일한관계를 지켜봐 온 필자 입장에서는 놀라운 일이었다. 유력지들도 ‘무해’ 강조 조선일보 사설은 야당 의원들의 주장을 “허무맹랑하다”라고 비판하고 처리수 방출이 한국에 일절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다
※ 이번 글은 미국의 수의사이며 근거중심수의학회 회장인 브레넨 맥켄지(Brennen McKenzie)의 글 '중국산 '근거중심의학'의 문제점(Chinese Systematic Reviews of Acupuncture)'를 번역한 것입니다. 황의원 전 과의연 원장이 번역했으며,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의역을 많이 취했음을 양지바랍니다. (원 번역글은 미디어워치에 2014년 11월경에 업로드됐던 것입니다.) 중국산 '근거중심의학'의 문제점(Chinese Systematic Reviews of Acupuncture) 과학중심의학에 불편감을 느끼는 근거중심의학의 지지자들에게는 다소 충격적일 수도 있는 입장을 밝히면서 이 글을 시작하겠다. 나는 근거중심의학(Evidence-Based Medicine, EBM)의 강력한 지지자이며, 현재 근거중심수의학협회(Evidence-Based Veterinary Medicine Association, http://www.ebvma.org)의 회장이기도 하다. 그러나, 나는 한편으로는 과학중심의학(Science-Based Medcine, SBM)의 주창자 중 한 사람인 킴볼 앳우드(Kimball Atwood)의 “사전 개연성(p
혹시 벌새를 직접 본 적이 있는가? 종종 벌새를 목격했다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데 문제는 우리나라에는 벌새가 서식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 일을 어찌 해석해야 할까? 의아하게 들릴지 모르겠지만 이 문제에 대한 고찰을 통해 사기꾼들로부터 자신을 지켜내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먼저, 실제로 아무것도 없는데 벌새를 보았다고 착각했을 수 있다. 정신질환을 앓는 환자들 중에는 아니더라도 이따금 없는 것을 보았다고 믿는 사람들이 있다. 정신이 온전한 사람들도 벽에 모기가 앉아있는 줄 알고 다가갔더니 아무것도 없었던 경험을 한번쯤은 겪어보았을 것이다. 내가 본 것은 진짜 벌새였을까 사실 나도 어렸을 적 벌새를 본 적이 있다. TV에서만 보던 벌새를 시골 들판에서 목격하고 들떠서 잡으려고 쫓아다니다가 끝내 놓친 기억이 있다. 그럼 헛것을 보고 쫓아다녔던 것일까? 내가 헛것을 보는 일은 아주 드물다. 내가 본 물체들 중에 헛것을 보고 착각한 경우는 아무리 많게 잡아도 0.01%도 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내가 본 것이 진짜 벌새일 확률은 99.99%가 넘는다는 의미일까? 진짜 벌새를 목격했을 가능성도 없지는 않다. 우리나라에 벌새가 날아온 적은 없다지만 이따금 우리나라에 서
※ 본 컨텐츠는 '과학중심의학연구원(http://www.i-sbm.org)'이 제공하는 공익컨텐츠입니다. 이번 글은 영국의 저명한 EBM 대체의학 전문가인 에드짜르트 에른스트(Edzard Ernst)의 글 'The risks of manual therapies like chiropractic seem to out-weigh the benefits'를 번역한 것입니다. ‘척추 수기 치료(spinal manipulation)’ 등의 ‘수기(手技, 손기술)’ 치료법이 가진 안전성 문제는 내 블로그(http://www.edzardernst.com)에서 자주 다루는 주제이다. 주로 검증되지 않은 대체의학적 시술법이 중심인 수기 치료법(manual therapy)의 안전성 문제를 판단하려면, 더 양질의 데이터가 필요하다는 데 동의하지 않을 전문가는 거의 없을 것이다. 그런 데이터를 얻기 위해 근거중심의학의 연구방법론 중 하나인 ‘무작위 대조군 임상시험(Randomized Controlled Trial)’을 시행하는 일보다 나은 일은 없을 것이다. 오늘 살펴볼 한 ‘무작위 대조군 임상시험’의 목적은 수기 치료사들 – 카이로프랙틱 시술사(chiropractor), 마사지
이병령 원자력공학 박사가 “사찰·검증을 통한 북한의 비핵화는 불가능하다고 본다”며 ‘PVID(permanent·verifiable·irreversible dismantling, 영구적이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핵 폐기)’에 대한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김정은 체제 붕괴 수준이 되어야 PVID 가 가능할 수 있다는 암시다. ‘한국형 원전의 아버지’라 불리는 카이스트 대학원 이병령 박사는, 지난 12일 제5회차 미디어워치 국가경영포럼에 외부 강사로 참석한 자리에서 “미국이 북한의 핵시설 등을 사찰한다고 가정할 때, 북한이 어떤 물질을 얼마만큼 빼돌려야 다시 핵을 만들 수 있는 지 궁금하다”는 변희재 미디어워치 대표고문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이 박사는 “(북한) 원자 폭탄의 직경이 60cm인데 이것을 못 숨기겠느냐”며 “단순히 말해 아파트에 (숨겨) 놓으면 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 60cm의 원자 폭탄에서도 방사능이 나오긴 하지만 미약하다”며 “현대 기술로는 이처럼 작은 방사능을 찾을 수 없다”고 설명했다. 사찰, 검증이 결코 간단한 일이 아니라는 것. 세계 최고수준의 원전 기술 보유한 한국 이 밖에 이병령 박사는 ‘대한민국의 핵’을 주제로 그간
‘한국형 원전의 아버지’라 불리는 카이스트 대학원 이병령 원자력공학 박사가 안보로서의 원전 개발 및 북한핵시설 해체 문제에 대해 공개 강연을 펼친다. 제5회차 미디어워치 국가경영포럼은 ‘한국의 원전-경제와 안보의 디딤돌’을 주제로 이병령 박사를 강사로 초청한다. 이번 행사는 12일(토), 오후 6시 영등포역 대회의실(3층)에서 개최된다. 이 박사는 1992년 최초의 한국형 원전 설계를 성공으로 이끈 전문가로,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원전사업본부장과 대북 원전 지원팀장을 역임하며 국내 원전 개발에 지대한 공을 세웠다. 그는 이번 행사에서 북한의 비핵화와 관련, 핵물질과 핵시설 폐기 등에 대한 애국우파시민들의 이해를 도울 예정이다. 아울러 얼마전 트럼프 행정부가 언급하고 나선 ‘PVID(permanent·verifiable·irreversible dismantling,영구적이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핵 폐기) 등에 대한 기술적인 설명들도 전달할 예정이다. 미디어워치 이강연 국장은 “한국원자력의 최고 전문가로부터 직접 강연을 들을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미워치 멤버쉽의 많은 참여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번 행사는 미디어워치TV를
‘과학적 회의주의’를 표방하는 교양과학 계간지 한국판 ‘스켑틱(SKEPTIC)’이최순실 건을 계기로 박근혜 대통령 퇴진 길거리 시위를 선동하고 나서 구설에 오르고 있다. ‘스켑틱 코리아’(대표 김인호)는 박근혜 정권 퇴진 3차 궐기대회를 하루 앞둔 11일 오전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 “인구의 3.5퍼센트가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참여한 저항 운동은 실패한 적이 없다”, “도덕적 세계의 궤적은 길지만 결국 정의를 향해 구부러진다”로시작하는 내용의 정치선동성게시물을 올렸다. ‘스켑틱 코리아’는 이어 “멀리 돌아가고 가끔은 퇴보하는 것처럼 보여도, 인류사회는 정의를 향해 꾸준히 나아가고 있습니다”라면서 “절망하거나 냉소하는 대신 우리는 도덕과 정의에 대한 희망을 품고 인류 사회가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일들을 해야 합니다”라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스켑틱 코리아’는“민주주의는 합리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시민들이 가진 가장 고귀한 가치입니다. 지금 민주 시민으로서 우리의 권리는 크게 침해받고 있습니다”라면서 “한갓 스캔들이나 조롱거리로 이 사태를 소비해서는 안 됩니다. 모두가 이 일을 자신의 일로 여기고 명확한 반대의사를 보여야만, 우리는
※ 본 콘텐츠는 '과학중심의학연구원(http://www.i-sbm.org)'이 제공하는 공익콘텐츠입니다. 이 글은 미국에서 가장 저명한 사이비의료 비판 전문가 중 한 사람으로 손꼽히는 가정의학 전문의 해리엇 홀(Harriet A. Hall)이 쓴 ‘Trick or treatment’를 번역한 것입니다. 해리엇 홀은 사이언스베이스드메디슨 블로그에 올라온 자신의 모든 글에 대해서 번역 허락을 해주었습니다. 해리엇 홀 선생님께 이 자리를 빌려 감사 인사드립니다. 본 글은 과학중심의학연구원 황의원 총괄원장이 번역, 편집하였습니다.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부분은 의역 등을 취했음을 알립니다. 똑똑한 사람들이 왜 이상한 것을 믿을까 (Trick or treatment) 사이먼 싱(Simon Singh)과 에드짜르트 에른스트(Edzard Ernst)가 쓴 ‘똑똑한 사람들이 왜 이상한 것을 믿을까 : 대체의학의 진실(원제 : Trick or Treatment: The Undeniable Facts about Alternative Medicine)’을 방금 다 읽었다. 필자는 예전부터 이 책의 출판을 기다려 왔는데, 읽어본 결과 역시 기대 이상이었다. 영국 엑시터 대학
※ 본 콘텐츠는 '과학중심의학연구원(http://www.i-sbm.org)'이 제공하는 공익콘텐츠입니다. 이번 글은 로버트 토드 캐롤(Robert Todd Carrol) 박사의 ‘회의주의자 사전(skeptic's dictionary)’에서 ‘integrative oncology’ 항목을 번역한 것입니다. 과학중심의학연구원 황의원 총괄원장이 번역했으며,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의역을 다소 취했습니다. (2015년 8월판 기준 번역) ‘통합암치료’란 무엇인가 (integrative oncology) “‘대체’의학이나 ‘통합’의학 같은 것은 없다. 오직, 효과와 안전성을 뒷받침하는 확실한 근거를 가진 의학만이 있을 뿐이다.” -- 데이비드 고스키(Dr. David Gorski) '통합암치료(Integrative Oncology, 또는 통합종양학)'란 무엇인가? 이는 누구에게 질문하느냐에 따라 답변이 다르게 나올 것이다. 만약 필자에게 묻는다면, 필자는 과학적 회의주의자로서 통합암치료란 일단 암환자들을 과학중심의학(science-based medicine)에 기반해 치료하는 것이라고 답변할 것이다. 이렇게 필자가 정의하는 통합암치료 과정에서는 환자의 통증과 어지
※ 본 콘텐츠는 '과학중심의학연구원(http://www.i-sbm.org)'이 제공하는 공익콘텐츠입니다. 이번 글은 로버트 토드 캐롤(Robert Todd Carrol) 박사의 ‘회의주의자 사전(skeptic's dictionary)’에서 ‘integrative medicine’ 항목을 번역한 것입니다. 과학중심의학연구원 황의원 총괄원장이 번역했으며,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의역을 다소 취했습니다. (2015년 8월판 기준 번역) ‘통합의학’이란 무엇인가(integrative medicine) “어떤 복잡한 사건의 원인을 추론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과 비공식적 판단 규칙에 의존하게 되면, 고도로 훈련된 전문가들조차도 얼마든지 판단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이는 인간의 판단 오류를 연구하는 심리학 전문가들은 오래전부터 알고 있었던 진실이다.” -- 배리 바이어슈타인(Barry Beyerstein) “미국에서 통합의학(융합의학)을 주창한 의사인 [앤드류] 웨일([Andrew] Weil)에 따르면, 질환의 원인과 치유의 본질에 대한 그의 기본적인 통찰 대부분은 그의 용어로는 이른바 ‘취한 사고(stoned thinking)’에서 나온 것이다. 이것은
※ 본 콘텐츠는 '과학중심의학연구원(http://www.i-sbm.org)'이 제공하는 공익콘텐츠입니다. 이번 글은 로버트 토드 캐롤(Robert Todd Carrol) 박사의 ‘회의주의자 사전(skeptic's dictionary)’에서 ‘"alternative" health practices’ 항목과 ‘complementary medicine’ 항목(아래 번역 하단부)을 합쳐 번역한 것입니다. 과학중심의학연구원 황의원 총괄원장이 번역했으며,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의역을 다소 취했습니다. (2015년 8월판 기준 번역) ‘대체의학’이란 무엇인가 (alternative" health practices) “...넌센스 따위를 연구하는 일이 ‘정치적으로 올바른 척 하는 일(politically correct)’이 되고 있다.” -- 바커 바우셀 (R. Barker Bausell) 보건 또는 의료 문제에 있어서 어떤 시술법과 치료법, 또 이에 대한 지식이 검증되지 않았을 경우, 정통적이지 않을 경우, 그리고 비과학적일 경우에 우리는 그것을 “대체(alternative)"의학이라고 부른다. ”대체“의학이란 형이상학적 믿음에 기반한 경우가 많으며, 대개는 반과학
동의보감에는 치아와 관련된 내용들도 있다. 그 중 충치(치아우식증)에 대한 처방과 빠진 치아가 새로 자라나게 하는 처방을 보자. "충치를 치료할 때는 작은 기와조각 위에 기름에 버무린 구자를 올려놓고 태운다. 이것을 사발에 놓고 깔때기처럼 생긴 것으로 덮는다. 깔때기 입구로 나오는 연기를 충치에 쏘이면 그 속에 있던 바늘처럼 생긴 벌레가 모두 사발 속으로 떨어진다. 여러번 효과를 보았다.""충치로 아픈 것을 치료할 때는 부추를 뿌리까지 깨끗이 씻어 짓찧어서 집 주위 겨우살이의 진과 고루 섞어 아픈 쪽의 뺌에 바르고 종이를 붙인다. 잠시 후 떼어내면 작은 벌레들이 겨우살이 진의 위에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병의 뿌리를 뽑을 수 있다. ""여러 해가 된 충치를 치료할 때는 귀리풀과 고호엽(苦瓠葉) 30개를 씻어서 하룻밤 밖에 둔 것을 쓴다. 아침에 귀리풀을 굽혀서 길이가 2촌, 너비가 1촌, 두께가 5푼이 되게 한다. 고호엽으로 단단하게 한 덩어리로 묶은 뒤 식초에 담가 놓는다. 정오에 2덩어리를 습지에 싸서 아주 뜨겁게 구워 입 속의 치아 겉에 붙여서 찜질한다. 식으면 바꾸어 준다. 구리그릇에 물을 채운 후 묶었던 귀리풀을 풀어놓고 씻는다. 많으면 30-40마
요즘에는 소비가 줄어들긴 했지만 개고기는 여름철 대표적인 보양식으로 여겨져 왔다. 개고기에는 불포화지방산이 많다느니, 콜레스테롤이 적다느니, 아미노산 조성이 인체의 단백질 조성과 비슷하다느니 하는 이야기들이 있지만 개고기를 보양식으로 여기는 가장 핵심적인 이유는 한의학에서 그렇다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 ○○탕…'장금이'의 거부할 수 없는 유혹) 과학적으로는 개고기가 다른 고기에 비해 특별히 건강을 더 좋게 한다고 여길 근거는 거의 없지만 한의학에서는 개고기가 만병통치약에 가까울 정도로 다양한 효능이 있다고 여긴다. 우리나라의 국보이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인 '동의보감'에는 개고기를 비롯해 개의 똥, 개의 침 등 다양한 효능이 나온다. 아래 내용은 동의보감에서 발췌한 것이다. 무술주 (개고기술)보양하는 힘이 강하다.개고기누선색 수컷이 가장 좋고 흰색이나 검은색이 그 다음이다.복통을 치료한다. 혈맥을 보한다.골수를 채운다. 정수를 채운다.허리와 무릎 통증을 멎게 한다.하초를 든든하게 한다.위를 보하고 장위를 두텁게 한다.개의 머리뼈붕루 및 적백대하에 쓴다. 설사와 이질을 멎게 한다.대변이 줄줄 새는 것을 잘 막는다.흰 개의 뼈는 창주, 투유, 옹종을
이전글 : 과학이 한의학에 반대하다 (I) - 국제 의학계, 과학계의 논문들은 한방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가 - 첫번째 6) 침술의 부작용과 위험성 다음은 침술의 부작용에 대한 문헌들입니다. 바로 위는 일본에서 발생한 침술의 여러 부작용 사례 문제를 다루고 있는 논문입니다(Yamashita H. et al., Systematic review of adverse events following acupuncture: the Japanese literature, Complement Ther Med. 2001 Jun;9(2):98-104). 가장 빈번한 사례는 기흉(pneumothorax, 25회)이며 척수손상(18회), B형 급성간염(acute hepatitis B, 11회), 및 은 중독(localized argyria, 10회). 감염으로 인한 사망자가 2명이 있었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침이 부러져서 생긴 사고도 48회 있었는데 그 중 26개는 의도적으로 침을 깊이 찔렀기 때문이었으며, 16개는 사고로 인해 부러진 사례라고 합니다.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비록 통상의 침술 치료에 있어 극심한 부작용 사례는 일반적이지 않다고 나타났던 바 있으나, 부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