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베를린 미테구(區)에 세워진 위안부상의 연장 설치를 저지하기 위해 떠난 한일우호 활동가들이 미테구 구청장에게 보낸 의견서가 공개됐다. 주옥순 엄마부대 대표, 김병헌 국사교과서연구소장, 이우연 낙성대경제연구소 연구위원, 요시다 켄지(한국명 김민석) 등으로 구성된 ‘위안부사기청산연대’(이하 청산연대)는 베를린 현지에서 미테구 구청장 측에 27일자로(현지시간) 거짓의 상징인 위안부 동상을 철거해야 된다는 취지의 의견서를 제출했다. 청산연대는 의견서를 통해 “소녀상 설치를 주도한 코리아협의회는 위안부 여성들을 홀로코스트 희생자와 동일시하며 일본군에게 무참하게 살해당한 전쟁범죄의 피해자로 선전하고 있다”며 “하지만 이와 같은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들은 “1998년 게이 맥두걸 UN인권위 보고서에는 전쟁범죄에 대해 ‘강간을 포함한 성폭력 행위가 국제분쟁이 진행되는 동안 적군이나 점령군에 의해 자행되었을때’라고 정의했다”면서 “하지만 당시 조선은 일본의 점령지가 아닌데다 조선 여인은 일본 국민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위안부 동상에 대해서도 “‘평화의 상’이라는 이름의 소녀상도 거짓이기는 마찬가지”라며 “이 소녀상은 조각가의 그릇된 위안부 인식과
국내 반중·반공 시민단체들이 광주광역시 시내 중심에서 중국 공산당 출신 정율성 동상 철거를 외치면서 대한민국 국민들과 광주 시민들이 중국 공산당에 대해서 경각심을 가질 것을 촉구했다. 지난 11일 낮 12시, ‘공자학원 실체 알리기 운동본부’(이하 공실본)와 ‘중국공산당(CCP) 아웃(개명전 ‘차이나 아웃’)’은 광주광역시 남구 정율성로 소재 정율성 동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단체들은 중공 통일전선공작의 상징인 정율성 동상의 철거와 도로명의 개명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중공 출신 정율성은 6.25전쟁 당시 대한민국에 항적한 자” 정율성은 일정기 조선 출신으로 중국 공산당에 입당, 마오쩌둥을 찬양하는 ‘팔로군 행진곡’ 등을 작곡한 인물이다. 하지만 친중·친공 성향이 강한 국내 좌파들은 정율성이 항일 운동을 했었다는 모호한 경력을 내세워 그를 칭송만 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실본 등은 이날 성명을 통해 “정율성이 중국공산당원으로서 항일투쟁을 했다는 것은 거짓”이라고 지적했다. 단체들은 “정율성은 조국이 아니라 공산주의를 위해 모택동에게 충성했다”며 “정율성이 평생 충성을 바친 중국공산당은 중국인민의 철천지 원수이자 인류 최대의 적”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
위안부 문제와 관련 역사왜곡에 대해서 비판적 목소리를 내오던 한일우호 활동가들이 독일 베를린에 세워진 위안부상(일명 ‘평화의 소녀상’) 철거를 촉구하기 위해 독일 현지로 떠난다. 김병헌 국사교과서연구소 소장, 이우연 낙성대경제연구소 연구위원, 주옥순 엄마부대 대표, 요시다 켄지 씨(한국명 김민석) 등은 이달 25일부터 30일까지 베를린시 미테구(區)에 방문, 구청 관계자들을 만나 현지에 무단설치된 위안부상 철거를 정식 요청할 예정이다. 김 소장 등은 지난해 ‘위안부사기청산연대’를 결성, 정의연(정대협)의 수요집회에 대해서 매주마다 맞불집회를 벌이는 등 위안부상이 상징하는 위안부 문제의 거짓을 폭로해왔다. 앞서 2020년 9월경 재독 종북좌파 시민단체인 ‘코리아협의회(Korea Verband)’는 베를린 미테구 모아비트지역 비르켄가 공공장소에 일방적으로 위안부상을 건립해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당시 미테구청은 위안부상의 비문(碑文)이 일본을 무조건적으로 음해하는 내용인데다가 독일과 일본, 한국의 우호관계를 해치고 공공장소를 도구화한다는 사유로 위안부상이 건립된 직후 철거 명령을 내렸다. 하지만 위안부상은 코리아협의회 등의 거친 반발로 인해 올해 9월까지는 일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