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수업중 위안부 문제와 관련 발언으로 학교밖 반일 언론과 반일 단체로부터 집중적 비난 공세를 받아온 경희대 철학과 최정식 교수(서양철학 전공)가 해명문을 통해 본격적으로 반격에 나섰다. 최 교수는 이번 해명문을 통해 “당당하게 그들에 맞서서 대응하겠다”면서 “(‘강제연행설’과 ‘성노예설’로서의) 위안부 문제는 원래 없었던 문제”라고 단언했다. 최정식 교수는 26일자로 경희대 철학과 학생, 동문, 동료 교수 앞으로 보내는 해명문을 공개했다. 최 교수는 “처음 동문들의 성명서가 붙었을 때 ... 토론하자는 답장을 보냈다”면서 “토론하자는 나의 제안을 무시하고 성명서들이 점점 정치적 색채를 띠더니, 이번에는 드디어 한 시민단체가 나를 고발했다”면서 앞서 불거진 소동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서 최 교수는 “그들이 순수한 마음의 우리 동문들이 아니라 정치적 주장을 하려는 일부 동문들과 외부 단체라는 사실이 분명해졌다”면서 “이왕 이렇게 된 바에는 당당하게 그들에 맞서서 대응하겠다”며 진실투쟁의 각오를 밝혔다. 최 교수는 “이번 사태에 해당하는 강연이 이루어진 것은 2022년 1학기”라며 “‘서양 철학의 기초’라는 강연이었는데, 거기서 서양 철학의 근본 정신이자 출발
※ 본 칼럼은, 일본의 유력 국제 외교안보 싱크탱크 ‘국가기본문제연구소(国家基本問題研究所)’에 2023년 9월 11일자로 게재된, 레이타쿠(麗澤)대학 특임교수 니시오카 쓰토무(西岡力)의 기고문 ‘한국에서 위안부 강제연행 부정 심포지엄 개최(韓国で慰安婦強制連行否定のシンポ開催)’를, 니시오카 교수의 허락을 얻어 완역게재한 것입니다. (번역 : 미디어워치 편집부) 한국에서 위안부 강제연행 부정 심포지엄 개최(韓国で慰安婦強制連行否定のシンポ開催) 9월 5일, 위안부 강제연행-성노예설을 부정하는 일본과 한국 양국의 학자, 활동가들이 모여 서울에서 공동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런 입장의 일·한 심포지엄이 한국에서 열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행사장에는 양국의 국기가 크게 그려진 현수막이 내걸렸고, 개회식에서는 한국의 애국가 제창에 이어 기미가요(君が代) 제창이 있었다. 한국인이 대다수인 100여명의 청중 중에는 큰 소리로 기미가요를 부르는 사람들도 있었다. 재판에서 증거를 제시하지 못하는 검찰 이영훈 전 서울대 교수, 램자이어 하버드대 교수(영상 참여), 스기하라 세이시로(杉原誠四郎) 국제역사논전연구소 회장 등의 축사에 이어 일본 측 3명(필자, 야마모토 유미코(山本優美
위안부 문제의 진실을 파헤쳐온 한국과 일본의 양국 지식인들이 지난 5일, 서울 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제2차 위안부문제 한일 합동 심포지엄’을 열고 ‘위안부 문제의 실태와 한일 교과서 서술’ 문제에 대해 심도있는 논의를 나눴다. 한국에서는 초등학교 교과서에까지 기재된, “위안부는 일본군에 의해 강제연행되어 성노예가 되었다”라는 위안부 문제 관련 기존 통설에 대해서 반론을 제기하는 양국의 전문가들이 한국에서 이러한 심포지엄을 공동으로 개최한 것은 사상 처음이다. ‘자유통일을 위한 국가 대개조 네트워크’가 주최하고 ‘위안부사기 청산연대’가 주관한 이날 행사에는 니시오카 쓰토무(西岡力) 일본 레이타쿠(麗澤)대학 특임교수, 스기하라 세이시로(杉原誠四郎) 국제역사논전연구소 이사장, 야마모토 유미코(山本優美子) 나데시코액션 대표, 마츠키 쿠니토시(松木國俊) 국제역사논전연구소 수석연구원 등 일본 측 위안부 전문가들이 대거 참석했다. 이번 행사에는 한국 측 위안부 전문가들도 이영훈 이승만학당 교장, 류석춘 전 연세대 교수, 이우연 낙성대경제연구소 연구위원, 김병헌 국사교과서연구소 소장, 주옥순 위안부사기 청산연대 대표 등이 함께 하면서 위안부 문제를 주제로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