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자유통일강대국코리아 (역사/외교)


배너

[산케이신문 칼럼] ‘사도의 금산’ 유산 등재의 무대 뒤

“일본은 사도금산를 포함한 모든 조선인 전시동원에 있어서 강제연행, 강제노동은 없었다는 역사적 사실을 홍보해나가야”


※ 본 칼럼은 일본 산케이신문(産経新聞)에 2024년 8월 21일자로 게재된 니시오카 쓰토무(西岡 力) 교수의 ‘사도의 금산’ 유산 등재의 무대 뒤(「佐渡の金山」遺産登録の舞台裏)’ 제하 칼럼을 니시오카 교수의 허락을 얻어 완역게재한 것입니다. (번역 : 미디어워치 편집부)




사도의 금산(佐渡の金山, 니가타현)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한국도 찬성했다.

세계유산 등록 대상은 수작업으로서의 일본 독자 기술로 대량의 금을 채굴하고 있던 에도(江戸) 시대 이전의 시설이다. 메이지 이후의 시설은 서구의 기술이 도입되었기 때문에 대상에서 제외됐었다. 그런데 2022년도의 세계유산 신청시에 한국의 문재인 정권이 사도금산은 조선인 ‘강제노동 피해 현장’이라며 등록에 반대했다.

강제노동’은 없었다

지난 6월 유네스코 자문기구 이코모스(ICOMOS)는 사도의 금산에서 채굴이 이뤄졌던 모든 시기를 통틀어서 자산에 대한 역사 설명과 전시(展示) 전략을 수립하고 시설과 설비 등을 갖추라고 요구했다. 이른바 풀 히스토리 전시다. 한국의 압박이 효과를 본 결과다. 윤석열 정권은 일한(日韓) 관계 개선에 따라 등록 반대 방침을 거두고, 대신 조선인 강제노동을 포함한 ‘풀 히스토리’의 전시를 요구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는 현재 한국도 위원으로 들어가 있다.

일본과 한국 양국 정부는 물밑에서 협의를 계속하고 있었다. 일본은 ‘강제노동’은 없었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또한 당시 국제법의 기준인 ILO조약에서는 전시노동동원은 강제노동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규정되어 있어서 2021년 4월에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내각은 “‘모집’, ‘관 주선(알선)’ 및 ‘징용’에 의한 노무에 대해서는 모두 동 조약상의 ‘강제노동’에는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고 있으며, 이것들을 ‘강제노동’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각의결정을 내렸다.

최종적으로 일본은 ① 사도 시의 아이카와 향토박물관에서 ‘조선반도 출신자를 포함한 광산노동자의 삶’에 관한 전시(설명패널 3매, 2종의 사도광업소 보고서 사진패널 22매)를 실시, ② 매년 모든 노동자의 추도행사를 현지에서 실시, ③ 그리고 등재 당시 일본 정부는 성명을 통해 과거 세계유산결의와 관련하여 “우리의 코미트먼트(인정)에 유의하고... 조선인 노동자를 진심으로 기억하면서... 한국과 긴밀히 협의하여 ’사도섬의 금산‘ 전체의 역사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설명·전시전략 및 시설을 강화하기 위해 계속 노력해 나갈 것이다”라고 말했다.

2015년의 ’메이지의 산업 유산‘ 등재에 즈음해 일본 대표는 “(조선반도 출신자들이) 의사에 반하여 끌려와 어려운 환경 하에서 일하게 되었다(force to work)”라고 말했다. 한국은 이를 강제노동을 인정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래서 한국은 이번에 과거의 인정을 유의하겠다고 일본이 언급해줄 것을 요구했다. 관련해 일본은 합법적인 징용에 대해서 인정을 했던 것이지, 강제노동을 인정했던 것은 아니라고 하면서 기존의 해석을 바꾸지 않은 채 한국의 요구에 응했고, 앞으로도 전시(展示) 문제에 대해 한국과 협의하겠다고 약속했다. 옥충색(玉虫色, 어느 쪽으로도 해석할 수 있는 애매한 표현)의 외교 결판이다.

전시(展示)는 아슬아슬하게 사실을 왜곡하지는 않았다

문제는 박물관의 전시가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고 있는지 여부다. 일본 대표는 전시(展示)에 대해 “한국과의 견해 차이를 우호적으로 해결할 의지를 보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모든 노동자의 가혹한 노동 환경을 설명해, 그 노고를 기억하기 위해서”라고 했다. 역사인식의 차이를 해결한다는 외교적 과제가 강조되면 사실을 제대로 알리는 데 소홀해질 수 있다.

그동안 나는 1차 사료에 기반한 연구의 성과로 사도금산에서는 조선인의 강제노동은 없었다는 견해를 주장해왔다. 그 입장에서 이번 전시를 평가한다면, 오해를 불러일으키기 쉬운 표현이 외교적 배려의 결과로 일부 들어갔지만 아슬아슬하게 사실을 왜곡하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조선반도 출신자를 포함한 노동자들의 출신지‘ ’아이카와(相川) 광산노동자들의 삶‘ ’노동자들의 전시(戦時) 중의 가혹한 노동환경‘이라는 3장의 설명 패널은 1차 사료에 근거해 기술됐으며 그 어디에도 ’강제노동‘이라는 언급은 없다.

한편으로 과제도 있다. “사도광산에서 일했던 조선반도 출신 노동자는 삭암, 지주, 운반 등 위험한 갱내 작업에 종사한 사람의 비율이 높았음을 보여주는 기록이 남아 있다”며 1943년 5월 말의 숫자가 표로 나타나 있는데, 기존에 갱내 작업을 하던 일본 내지의 젊은 남성 상당수는 징병이 되어버렸다는 배경 설명이 없다. 조선인 차별이라는 오해가 생길 수 있다.

관민 협력하여 역사 사실을 홍보해야

또 노동조건에 대해 조선반도 출신의 한 달 평균 가동일수는 28일이었다는 기록이 소개돼 있다. 사도광업소가 만든 ’반도인 노무자에 관한 조사보고‘가 이 기록의 출처인데 거기에는 평균임금 67엔, 최고임금 106엔, 그리고 임금은 내지인과 차별이 없었다는 기술도 있다(당시 도쿄의 공립초등학교 교원 초임은 월 50~60엔). 그런 사실도 소개해 주고, 성과급제 임금 때문에 가동이 늘어나면 임금이 오른다는 설명을 해주면 더욱 이해가 깊어졌을 것이다.

다만 이 조사보고는 전문(全文)이 1차 사료로 사진 패널에 전시되어있어 그것을 읽으면 실태는 이해할 수 있다. 1차 사료를 소개하고 해석은 보는 사람에게 맡긴다는 자세가 전시에 관철돼 있다. 그 점에서 아슬아슬하게 스모 씨름판에서의 라인(土俵)을 밟지는 않았다.

이제 사도금산를 포함한 모든 조선인 전시동원에 있어서 강제연행, 강제노동은 없었다는 역사적 사실을 홍보해 나가는 활동을 관민이 협력해 나가야 한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