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기타


배너

29일 오후 광주광역시 5.18 기념문화관 민주홀에서 열린 한나라당 대선 경선후보 정책토론회에서 5명의 대선주자들은 각종 경제 쟁점을 두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다.

특히 여론지지도 1위를 달리고 있는 이명박(李明博) 전 서울시장의 핵심적 정책공약인 한반도 대운하에 대해 나머지 대선주자들은 예외없이 날카로운 공세를 펼쳤고, 이 전 시장은 이를 예상했다는 듯 비교적 차분하게 방어에 나섰다.

본격 상호토론 이전부터 대운하 문제는 논란이 될 조짐을 보였다.

이 전 시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한반도 대운하는 물류만을 위한 목적은 20%에 불과한 것으로 이를 통해 환경이 살아나고 지역이 살아나고 경제가 살아난다"고 강조했다.

그러자 고진화 의원은 "한반도에 왜 땅을 파서 운하를 만들고 뚫린 철길 놔두고 왜 돌아가나"라며 대운하 공약을 비판했고, 이후 열린 상호 토론에서도 한반도 대운하는 최대 논란거리였다.

후보자간 10분 토론에서 한반도 대운하에 대한 언급을 `자제'했던 박 전 대표는 추가 지정토론 시간에 "한반도 대운하를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고 의원의 질문에 답하는 식으로 입장을 피력했다.

박 전 대표는 "21세기에 그런 운하를 파서 국가 경쟁력을 높인다는 게 타당성이 있느냐에 대해 동의하지 않고 있다"면서 "경부운하는 인구 3천만 명의 식수원인 낙동강과 한강을 연결해 운하를 만드는데 거기를 지나가는 화공약품이나 시멘트를 실은 바지선이 사고라도 나면 어떻게 되느냐. 강물이 죽으면 사람도 죽는게 아니냐는 점에서 상당히 문제가 있다"고 비판했다.

홍준표, 고진화 의원은 후보간 상호토론 시간 전체 또는 대부분을 대운하 공격에 집중했다.

홍 의원은 "대운하는 환경 파괴다. 어떻게 4년 안에 할 수 있나"라며 "낙동강에 배가 다니다가 최근 독일처럼 배가 침몰할 경우, 부산 시민들은 한 두달간 생수를 먹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고 의원도 "국민 식수원인 한강과 낙동강을 가둬서 이를 위험하게 하고 썩게 하려고 하느냐"면서 "생명을 파괴하는 분단의 구상을 계속하면 나중에 국민의 엄중한 심판이 예상된다"고 공세를 펼쳤다.

원희룡 의원도 "물류 목적이 20%에 불과한 사업에 그처럼 엄청나게 막대한 돈을 들여 국운을 걸어야 하는가"라고 거들었다.

이 전 시장은 이에 대해 "유럽 운하는 환경 복원을 대전제로 한다. 저도 운하가 환경을 파괴한다든가 환경보호에 반한다면 지금이라도 포기하겠다"고 자신감을 보이고, "정부가 낙동강과 한강 수질개선을 위해 2015년까지 투입할 20조원으로 운하를 만들면 결국 정부 돈 20조원이 절감되고 수질이 개선되는 효과가 나온다. 그런 점에서 근본적 수질대책이 운하라고 생각한다"고 반박했다.

그는 또 "많은 분들이 물을 가둬두면 썩지 않느냐는 기초적 질문을 한다. 이는 맞지 않으며 바이칼호나 소양강댐 물을 보면 알 수 있다"면서 "한강 역시 양쪽 수중보에 가둬둔 물이지만 그 물을 깨끗하다고 하고 있다. 가둬졌다고 썩는 물이고, 흐른다고 맑다는 것은 잘못"이라고 덧붙였다.

이 과정에서 "제가 한강수질 관리하는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이다. 흐르는 물도 어려운데 물을 가둬놓고 일급수 만든다는 발상을 이해하기 힘들다"(홍준표), "초보적으로 생각하면 문제가 있을 수 있다"(이명박) 등 신경전이 연출되기도 했다.

(광주=연합뉴스) south@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