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대선주자인 이명박(李明博) 전 서울시장은 최근 기자실 통폐합 등의 조치와 관련, "국가는 정책을 알리고 국민은 그 정책에 대해 알아야 할 권리가 있다는 민주주의 사회의 등식을 깨뜨리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지난달 31일 제주 롯데호텔에서 열린 편집.보도국장 세미나에 참석, "국정을 잘 해나가는데 언론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긍정적으로 관계를 유지해나가면 좋을 것"이라며 "저는 과거에 전례없는, 정치사에 없는 새로운 룰을 만들겠다. 국정을 잘 수행하기 위한 언론과의 관계를 갖겠다"고 밝혔다.
그는 최근 언론 보도에 대해서는 "우리 언론이 지나치게 균형 보도를 하려다 보니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의 성향에 맞는 건가 걱정이 된다"며 지지율 1위 대선주자로서의 `아쉬움'도 털어놓았다.
자주 지적되는 말실수에 대해서는 "기업인 시절 외국의 CEO(최고경영자)들을 만날 때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위해 유머를 많이 한 다음에 일 이야기를 하는 습관이 있어서 그런 것 같다"면서 "오해의 소지가 있는 부분은 재고해 보겠다"고 덧붙였다.
다음은 이 전 시장과의 일문일답.
--최근 언론상황에 대한 생각은.
▲내가 좋든 싫든 국가 최고지도자는 언론의 자유를 철저히 보장한 상태에서 불공정 보도는 합법적으로 대처해야 하는 것이다. 국가는 알려야 하고 국민은 알아야 할 등식을 깨뜨리려고 하는 것은 굉장히 위험한 것 아닌가. 이는 민주주의 사회에선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이번 조치는 어떤 이유에서든 승복할수 없는 일이다.
1인당 국민소득 2만,3만,4만불로 숫자가 올랐다고 해서 선진국이 되는 것은 아니고 소득 수준에 맞는 여러 가지가 선진국 수준이 돼야 그게 진정한 선진국이다. 대한민국이 열심히 해서 국민소득이 4만불이 됐다고 해도 언론을 이런 식으로 다뤄서 보도의 자유를 제한한다면 선진국으로 나아갈 수 있겠느냐.
--정부가 기자실 통폐합 조치 등을 밀어붙이는 이유는 뭐라고 보나.
▲대선까지 불과 5개월밖에 안 남았는데 왜 이렇게 하는지 놀랍다. (기자실을) 폐쇄해도 그 다음 사람이 원상복귀 시킬지도 모르는데 왜 이렇게 할까. 노무현 대통령이 정권 말기에 언론과 정면 대결하는 것에는 언론과 싸워 언론에서 혹평을 받으면 지지도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라는 나름의 생각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언론자유의 문제는 정치공학적 차원에서 계산해서 할 일은 절대 아니다.
--만약 대통령이 된다면 얼마나 언론과의 접촉기회를 넓게 가질 생각인가.
▲가끔 언론인들을 만나 이런저런 이야기를 해보면 도움되는 것이 참 많다. 어떤 사항을 결심해야 할때, 여러 분야 사람하고 상담해보면 역시 언론인이 굉장히 도움된다는 교훈을 많이 느낀다. 국정을 잘하는데 언론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걸로 보고 긍정적으로 유지해나가면 좋지 않겠느냐. 국정에 도움되는 선의의 비판과 검증을 언론이 해주지 않겠느냐고 본다. 저는 과거 정치사에 전례가 없는 새로운 룰을 만들겠다. 국정을 잘 수행하기 위한 언론과의 관계를 갖겠다.
--최근 대선주자 관련 보도 중 섭섭한 부분은.
▲대체로 언론보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 다만 너무 보도를 공정하게 하려다 보니까 경중을 덜 따진다. 그게 정확한 보도인가. 우리는 지나치게 공정보도를 하려고 균형보도를 하려다 보니까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의 성향에 맞는 건가, 걱정이 든다. 선진국형 보도 방식을 취해주면 좋겠다.
--컨버젼스(융합) 시대에 맞는 언론정책은.
▲가능하면 정부는 원칙적인 것을 정해놓고 그 원칙하에서 자율적으로 가는 게 낫다.이 분야에선 그렇게 생각한다. 융합으로 인해 그때그때 변화할 때마다 규제를 내놓는 것이 아니라 그 변화의 속도엔 자율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것이 맞다.
--기사에 대해 섭섭하다는 표현은 언론에 실질적 위협이 될 수도 있는데.
▲기사에 대해 섭섭하다는 표현은 그런 마음이 좀 있었다는 것일 뿐이지 마음이 상해서 그게 가슴에 남아서 `야, 한번 두고보자' 그런 것은 아니다.
--국정홍보처는 어떻게 할 것인가.
▲국정홍보처는 필요가 없다. 정치적 목적은 절대 금물이다. 해외홍보가 필요하다면 민간에 맡기는게 더 낫다.
--당은 없고 캠프만 있다는 한나라당 사정 때문에 6월 국회에서 기자실 통폐합 조치 철폐 등이 관철될 수 없을 거라는 시각도 있다.
▲6월 국회 때는 사학법과 신문법을 제대로 해야 한다. 미래지향적으로 자율로 맡기고 원칙적으로 되돌아가야 된다. 자꾸 수정되고 그래서는 안된다. 6월 국회에서 캠프 활동 때문에 당이 안된다면 캠프활동을 중지하겠다. 캠프 의원들과 지지하는 사람들 모두 국회에 진출해서 (기자실 통폐합 조치 철폐 활동을) 하도록 하겠다. 신문법과 사학법은 원천적으로 시대에 맞는 기본으로 돌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말실수를 하신다. 장점이 될 수도 있지만 긴 선거 여정에서 나름대로 어려움이 많을 것이다.
▲기업생활 할 때 외국에 가서 주로 많은 일을 했고 외국의 CEO 등 여러 지도자들을 만나면서 말할때 유머를 많이 한다. 자연스럽게 분위기가 좋아지고 난 다음에 일 얘기를 하는 그런 습관이 있다. 외국에서 일을 많이 해서 그런 것 아닌가 생각한다. 그렇게 해서 다 네트워크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과거 정치지도자들은 이렇게 얘기하면 저렇게 알아듣게 되고 그런 식으로 얘기를 했는데, 저는 정치를 할 때 이렇게 이야기하면 이렇게 알아듣고 저렇게 이야기하면 저렇게 알아듣도록 한다는 생각은 확고히 갖고 있다. 다만 오해의 소지가 있는 부분은 재고해 보겠다.
(제주=연합뉴스) south@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