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해남 명현관 전남도의원, “광주은행 지역환원 촉구”

명현관 전남도의회경관문위원장 대표발의 "광주은행을 원래의 주인인 전남·광주 지역민에게 환원하라"


전남도의회 명현관 의원이 대표 결의한 ‘광주은행 지역환원 촉구 결의안’이 10월 10일 전남도의회 제281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채택되었다.

정부는 지난 6월 26일 “우리금융지주 민영화 추진방안”을 발표하고 9월 24일 광주은행 매각을 위한 예비입찰 제안서를 접수한 결과 광주ㆍ전남상공인연합, 전북은행금융지주, 대구은행금융지주, 신한금융지주, 광주은행 우리사주조합, 지구촌영농조합 등 7곳이 참여했다.

매각 절차와 방법은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광주은행 주식을 공개입찰 방식으로 매각하는데 광주은행은 2010년부터 3차에 걸쳐 민영화를 시도하였으나 우리ㆍ경남ㆍ광주은행을 함께 묶는 통매각 방침과 이에 대한 이해관계가 크게 엇갈리면서 중단된 바 있다.

명현관 도의원은 “광주은행은 「1도 1은행」정책에 따라 1968년에 전남ㆍ광주 지역상공인의 자본을 토대로 설립되어 산업의 불모지나 다름없던 낙후된 지역에서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데 향토은행으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고 강조했다.

명 의원은 이어 "전남ㆍ광주지역민들은 1997년 IMF 금융위기라는 국가경제의 총체적인 위기상황이 발생했을 때 당시 광주은행 주가가 2천원을 밑돌고 있는 상황에서도 액면가 5천원으로 발행한 1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등 광주은행은 지역민과 함께 성장해 온 향토은행이라면서 반드시 지역민에게 환원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정부는 이러한 지역정서를 외면한 채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광주은행 주식을 공개경쟁방식의 최고가 원칙으로 매각하겠다는 입장을 반복하며 매각절차를 진행하고 있어 지역민들은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에 도의회는 “광주은행을 원래의 주인인 지역민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지역자본에 우선협상권을 주거나 다양한 인센티브를 부여해 달라”고 정부에 강력히 촉구했다.


'광주은행 지역환원 촉구 결의안'


정부는 지난 6월 26일, “우리금융지주 민영화 추진방안”을 발표하고 9월 24일 광주은행 매각을 위한 예비입찰 제안서 접수 결과, 광주ㆍ전남상공인연합, JB(전북은행)금융지주, BS(대구은행)금융지주, 신한금융지주, 광주은행 우리사주조합, 지구촌영농조합 등 7곳이 참여했다.

매각 절차와 방법은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광주은행 주식 56.97%를 공개입찰 방식으로 매각하는데, 입찰참가자를 대상으로 실사를 통해 11월쯤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하고 연말까지 최종인수자를 결정하여 내년 3월까지는 분할ㆍ합병 작업을 마무리 할 계획으로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2010년부터 3차에 걸쳐 우리금융지주 민영화를 시도했으나 우리ㆍ경남ㆍ광주은행을 함께 묶는 통매각 방침과 이에 대한 이해관계가 크게 엇갈리면서 중단되었다.

광주은행은 1967년 ‘1도 1은행’ 정책에 따라 광주ㆍ전남 지역상공인의 자본(1억5000만원)을 토대로 설립되어 산업의 불모지나 다름없던 낙후된 전남ㆍ광주지역에서 우리 지역민들과 자본력이 취약한 중소상공인들에 대한 금융지원은 물론 고용창출, 지역인재 육성, 지역사회 공헌활동 등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데 향토은행으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왔다.

최근 5년간 중소기업대출 비율을 비교해보면 광주은행이 3%(1조 6000억 증가) 증가한 반면 시중은행의 경우 9.4%(330억 감소) 감소하였고, 사회공헌활동 비중은 광주은행이 11.66%인 반면 시중은행은 2.97%에 그치는 등 그동안 지역경제의 심장이었다.

그리고 전남ㆍ광주지역민들은 1997년 IMF 금융위기라는 국가경제의 총체적인 위기상황이 발생했을 때 당시 광주은행 주가가 2천원을 밑돌고 있는 상황에서도 액면가 5천원으로 발행한 1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에 참여하였을 뿐만 아니라

신주인수권부 사채방식을 통한 15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에도 대거 참여하여 자본금 규모를 1800억원에서 4300억원으로 확대하는 등 광주은행 정상화를 위해 하나가 되어 대동단결해 왔다.

이렇게 광주은행은 45년간을 지역민의 피와 땀으로 성장해 왔기에 정부가 지역정서를 외면한 채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광주은행 주식을 공개경쟁방식의 최고가 원칙으로 매각하겠다는 입장을 반복하며 매각절차를 진행하고 있는 것에 대해 지역민은 큰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에 우리 전남도의회에서는 광주은행이 발전해야 지역경제가 더욱 발전한다는 인식하에 전남도와 함께 기업에게는 “1사 10주 갖기 운동”, 도민에게는 “1세대 1통장 갖기 운동” 등 범도민 참여 운동을 전개할 것을 결의하면서, 시장논리에 의한 매각보다는 국가균형발전이라는 거시적이고도 장기적인 안목에서 광주은행을 지역민에게 환원해 줄 것을 다음과 같이 강력히 촉구한다.

1. 광주은행이 원래의 주인인 전남ㆍ광주 지역민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지역자본에 우선협상권을 주거나 다양한 인센티브를 부여하라.

1.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금융 산업의 균형발전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강구하여 즉시 시행하라.

2013. 10. 10.

전라남도의회 의원 일동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