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노조 파업과 관련해 중앙일보사가 며칠 간격으로 발표한 정반대 시각의 여론조사 결과가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하나는 지난 26일 발표된 중앙일보 계열 종편 jtbc 뉴스9의 여론조사 결과로, 철도파업 사태 해법을 묻는 질문에 노조가 먼저 파업을 중단해야 한다는 답변이 46.7%, 사측이 먼저 대화를 시도해야 한다는 답변이 45.7%, 잘 모르겠다는 7.6%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jtbc 뉴스9은 이 조사결과를 놓고 “철도노조의 파업 중단을 해법으로 생각한 응답자들은 정부가 민영화를 하지 않겠다고 발표했고, 국민들이 불편을 느끼고 있는 만큼, 노조의 파업은 더 이상 명분이 없다는 의견을 보였다. 이 응답자들은 적자를 보고 있는 코레일에서, 노조의 월급이 지나치게 많다고 보고 있다”면서 “한편, 사측의 대화시도를 해법으로 생각한 응답자들은, 근본적인 이슈인 민영화에 반대하는 노조의 파업은 정당하며, 지금까지 일방적이었던 정부와 사측에서 소통을 위해 보다 노력해야 한다는 의견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철도노조 파업에 대한 국민 여론이 찬반으로 팽팽히 맞서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킨 것이었다.
하지만 30일 발표한 중앙일보 자체 여론조사 결과에서는 철도노조의 파업에 대해 ‘공감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60.6%였고, '공감한다’는 답변은 38.8%에 그쳐 파업반대 여론이 현격히 우세했다.
또한 정부의 비판 논리에 대해서도 공감하는 비율이 전반적으로 높았다. ‘민영화를 않겠다는데 파업하는 건 명백히 불법’이라는 답변이 59%, ‘파업을 즉각 중단하고 업무에 복귀해야 한다’”는 의견이 71.8%, ‘엄정한 대처를 통해 법치주의를 세워야 한다’는 답변이 62.5%였다.
반면 정부의 철도 정책적 논리에는 공감하지만 파업과정에서 보여준 정부의 대응과 해결 노력에 대해서는 ‘적절하지 못했다’는 평가는 59.2%로 ‘적절했다’는 답변 40.1%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철노노조가 주장하는 핵심 쟁점인 민영화 논란과 관련해서는 ‘민영화가 아니라고 본다’는 의견이 47.4%로 ‘민영화라고 본다’는 41.6%의 의견보다 다소 높아, 정부 측 주장이 노조의 주장보다 조금 더 높긴 했지만 팽팽한 견해 차이를 보였다.
이 여론조사에 따르면 여론은 민영화 논란과 철도노조의 파업을 별개로 보는 경향이 강한데, 앞선 jtbc의 여론조사는 민영화와 철도노조 파업을 묶어 해석해 파업에 대한 국민 찬반 의견이 팽팽히 맞서고 있는 것으로 결론을 도출해 낸 셈이다.
철도노조 파업에 대해 이와 같이 전혀 다른 결론을 낸 중앙일보의 여론조사 결과가 혼란을 부추긴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자유언론인협회 박한명 사무총장은 “jtbc의 여론조사가 철도노조 파업과 민영화를 연계해 해석한 반면, 중앙일보는 파업과 민영화는 구분해 조사했다. jtbc가 민영화 반대라는 철도노조 측 주장을 대변한 방식으로 여론조사를 한 반면, 중앙일보의 조사가 파업과 민영화 찬반 여론을 따로 물어 사실에 근거해 정확한 조사를 실시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면서 “같은 계열 회사인데도 한 이슈에 대해 이런 식의 다른 여론조사 방법과 결과가 나온다는 것은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과 함께 중앙일보사에 대한 불신도 함께 부추길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소훈영 기자 firewinezero@gmail.com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