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자유통일강대국코리아 (역사/외교)


배너

[이승만TV 강제징용의 진실①] 조총련 학자가 선동한 ‘강제징용‘이라는 허상...사진도 가짜

실증주의 경제사학자 이우연 “‘강제연행‘은 조총련계 박경식이 한일 국교정상화 저지 위해 선동”

실증주의 경제사학자인 이우연 낙성대 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이 조선인 강제연행’이라는 희대의 거짓말을 역사적 사료를 들어 바로잡는 방송을 시작해 화제다.

이우연 연구위원은 지난 16일, 유튜브채널 ‘이승만TV’에 출연해 ‘위기 한국의 근원 : 반일 종족주의’ 시리즈 4 - 강제연행의 신화’를 주제로 공개 강의를 시작했다. 이 연구위원의 강연은 풍부하고 객관적인 역사적 사료를 바탕으로 하고 있어 특히 돋보인다.    



‘강제연행’ 역사왜곡은 조총련계 조선대학의 교원 박경식이 출발점

현재 국내 연구자 대부분은 일제말기 1939년 9월부터 1945년 8월 15일까지 약 6년 동안 일본으로 건너간 72만명의 조선인 근로자들이 모두 일본에 강제로 끌려가 ‘노예노동’을 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처럼 현재 국내 학계가 답습하고 있는 ‘강제연행’설, ‘강제노동’설은 북한을 조국으로 여기는 재일동포집단인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로부터 시작됐다. 이 연구위원에 따르면, 강제연행이라는 거짓말은 1965년 한일국교정상화로, 북한이 포위·고립되는 것을 우려했던 조총련계 조선대학의 교원, 박경식씨가 처음 선동한 것이다. 

이 연구위원은 “박경식의 1965년 발행한 책의 제목도 ‘조선인강제 연행의 기록’이라고 되어 있다”면서 “이 주장은 2018년 지금까지 가장 강력한 학계의 통설로 남아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지난 50년간 한국의 정부기관, 교육기관, 언론계, 문화계 이 사회 전반에 걸쳐 영향을 끼쳤고, 결국 한국인들의 일반적인 상식으로 자리잡았다”면서 “‘강제연행’이라는 역사왜곡은 한국의 반일민족주의를 만들어내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지적했다. 



“강제가 아닌 자발적 선택… 일본은 당시 조선인 청년들에게 ‘로망’이었다”

이우연 연구위원은 ‘강제연행’설, ‘강제노동’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이어나갔다. 이 연구위원은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바로 ‘강제징용’”이라고 전제하면서 "‘강제징용’이라는 개념은 성립할 수 없는 개념"이라고 비판했다. ‘징용(徵用)’ 이라는 단어에 이미 '강제'라는 함의가 담겨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연구위원은 자발적으로 건너간 조선인들과 징용된 조선인들을 구별해 판단해야한다는 점을 역설하기도 했다. 그는 “‘징용’은 1944년 9월부터 가장 길게 잡아 1945년 4월경까지 약 8개월 동안 단기간 동안 진행됐을 뿐이고, 징용이란 형태로 일본에 간 조선인은 약 10만명 정도”라고 지적했다. 

따라서 “징용 이전에는 1939년 9월부터 ‘모집’이 시작됐고, 1942년 2월부터는 ‘관알선’이라는 형태로 조선인 근로자가 일본으로 건너가게 됐다”고 이 연구위원은 설명했다. 그러면서 “‘모집’과 ‘관알선’에는 법률적 강제성이 없었기 때문에, 조선인은 응하지 않으면 그만이고 (일본이 이들을) 처벌할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일본에서의 노동은) 조선인들의 자발적인 선택에 맡겨졌다고 할 수 있다”며 “흥미롭게도 많은 조선인들은 밀항 브로커에게 고액의 금액을 주고 작은 배에 목숨을 의지한 채 일본으로 밀항하려고 했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위원은 “일본은 당시 조선인 청년들에게 하나의 ‘로망’이었다”면서 “일본으로 동원된 72만여명의 조선인중에 약 64%가 주로 탄광, 금속광산에 배치됐는데, 대부분 농촌출신이었던 그들은 땅밑으로 깊이 들어가는 광산노동을 두려워 할 수 밖에 없었고, 많은 조선인들은 보다 안전하고 좋은 직장을 찾아 도망가기도 했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위원은 “전쟁 중 노무동원은 시기로보나 인원으로 보나, 또 징용 후 도주 등을 감안하면 조선의 노무동원은 강제연행이라고 말할 수 없다는 것”이라며 “실제로 당시엔 ‘강제연행’, ‘강제징용’이라는 말조차 쓰이지 않았다”고 역설했다.


“전 국민 대상으로 반일민족주의 고취… 엉터리 같은 망상”

방송에서 이우연 연구위원은 한 장의 일본인 사진이 조선인 징용 노동자로 둔갑돼 퍼지고 있다는 사실을 고발하기도 했다. 문제의 사진은 1926년 9월 9일 일본의 아사히카와(旭川) 신문에 게재됐던 것으로, 훗카이도(北海道) 토목건설 현장에 감금된 채 강제노동에 시달리던 일본인들의 사진이다. 사진 속에 담긴 일본인들은 모두 갈비뼈만 앙상하게 남아있다. 

이러한 일본인의 사진이 현재 한국에선 ‘조선인 노동자’들이 얼마나 심한 고초를 겪었는지 보여주기 위해 사용하는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실제, 지난해 7월 성신여대 조경학과 서경덕 교수는 일본 정부의 부당한 행위를 알린다는 목적으로 미국 뉴욕 타임스퀘어 전광판에 해당 사진을 내걸었다. 또 부산에 위치한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에 있는 조선인 추도탑 뒤에도 이 사진이 붙어있다. 

심지어 이 사진은 국내 대부분의 한국사 교과서에도 실려있다. 특히 민노총, 한노총, 정대협 등이 주도하는 ‘일제하 강제징용 노동자상 설치 추진위원회’는 이 일본인 사진을 모델로 국내 곳곳에 ‘노동자상’ 설치를 추진중이다.

이 연구위원은 “우리는 미국에까지 가서 일본인들을 한국인이라고 광고하면서 우리가 일본인들에게 이렇게 당했다고 제3자에게 엉뚱한 선전을 한 모양이 돼버렸다”면서 “학교만 아니라 전 국민을 대상으로 반일민족주의를 고취하는 것 그것으로 무엇을 얻을 수 있는지, 참으로 엉터리 같은 망상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고 개탄했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