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논문’ 하버드 로스쿨 램자이어 교수의 학적 소신을 지켜주려는 한일 지식인들의 연대 활동이 이어지고 있다.
5일, 레이타쿠(麗澤)대학 객원교수이자 국가기본문제연구소(国家基本問題研究所, 이하 ‘국기연’) 기획위원인 니시오카 쓰토무(西岡力)는 국기연 ‘이번주 직언(今週の直言)’ 코너에서 램자이어 교수 논란을 다뤘다.
학술적 논의를 하려면 논문이 일단 계속 공개돼 있어야
학술적인 상호비판은 무엇을 요구하는가. 그것은 일단 상대의 인격을 존중해야하고, 또한 논의를 학술적인 내용으로 좁혀야 함은 물론, 비판도 어디까지나 개인이 책임을 갖고 당당히 이루어지는 것 등이다. 그렇지만 지금 나오고 있는 램자이어 논문에 대한 비판에는 이것이 부족하다는 것이 니시오카 교수의 설명이다.
니시오카 교수가 문제시하는 것은 특히 논문철회 요구다. 니시오카 교수는 “학술적 논의를 하려면 우선 상대방의 논문이 계속 공개돼 있어야 한다”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학자들이 숫자의 힘으로 논문 철회를 요구하는 서명 활동을 하고 있다”고 개탄했다.
그는 “(이러한 상황은) 학문의 발전을 저해한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비판할 것이 있다면 학자답게 자신의 이름으로 발표하면 된다. 다수결로 진리를 결정할 수는 없다”고 단언했다.
위안부는 신문 광고로 공공연히 모집된 존재, 계약은 너무 당연해
니시오카 교수는 “램자이어 논문은 위안부가 성노예가 아니라 계약에 근거한 공창이라는 것을 전제로 계약의 내용을 이론적으로 분석한 것으로, 이에 대한 비판은 계약서의 존재를 증명하지 못한다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서 “하지만 종이(서류)에 의한 계약서가 없는 계약이 다수 있을 수 있다. 아니, 당시 일본과 조선에서는 구두 계약이 주류였다“고 지적했다.
그는 “당시 조선에서의 위안부 모집 신문 광고나 위안소 카운터의 수기를 보면 업체로부터 위안부 본인이나 부모가 고액의 선급금을 받았으며, 당사자가 그 빚을 갚으면 위안부는 폐업하고 귀국한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상환을 마친 뒤에 혹은 상환을 하면서도 고국의 가족에 엄청난 송금을 했던 위안부가 있다는 것도 예금 통장과 수기 등에서 드러나고 있다”고 소개했다.
고액의 송금과 예금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위안부 문옥주 씨다. 문 씨의 경우는 2만 6000엔을 예금하고 5000엔씩을 송금했다. 당시 1000엔이면 조선에서는 집을 한 채 살 수 있었다는 것이 니시오카 교수의 설명이다.
램자이어 논문도 학계에서 한 학설로서 존재 가치가 있어
위안부 성노예설은 일본에서는 하타 이쿠히코(秦郁彦) 교수의 ‘위안부와 전쟁터의 성(慰安婦と戦場の性)’, 한국에서는 이영훈 교수의 ‘반일 종족주의’와 같은 책을 통해 반박되고 있다. 일본 정부도 공식적으로 성노예설은 부정하고 있다.
니시오카 교수는 “위안부 성노예설은 학계의 정설도 아니며, 램자이어 논문도 학계에서 한 학설로서 존재 가치가 충분히 있다”면서 “요구되는 것은 학술토론이지 논문철회나 인신공격이 아니다”라고 일갈하며 글을 마무리 했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