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부터 11월 4일까지 북한을 방문할 예정인 문성현 민주노동당 대표는 "민주노동당은 기본적으로 한반도 비핵화 핵에 대해 반대한다"며 "그 연장에서 핵실험에 대해서는 유감을 전달하기로 했고, 2차 핵실험에 대한 우려를 전달할 계획"이라고 29일 밝혔다.
문 대표는 이날 오전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방북을 통해 우리의 역할, 국민 기대하는바 역할을 해내기 위해 최선을 다 하겠다"며 이 같은 방북 계획을 밝혔다.
문 대표는 또 "북측 고위 관계자와의 만남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가 말한 북측 고위 인사는 북의 대외 국가수반인 김영남 상임위원장으로 알려졌다.
그는 "북 고위 인사와의 만남에서 핵문제에 대한 국민들의 우려와 함께 당내에도 유감이 아닌 반대 의견까지 있다는 것을 있는 그대로 전달하고, 이런 부분에 대한 북의 나름의 의견을 받아 남에 전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언론, 국정원, 검찰이 민노당을 과도하게 겨냥"
이날 기자간담회에서는 최근 간첩 의혹 사건으로 구속수감된 이정훈 전 중앙위원과 최기영 사무부총장에 대한 문 대표의 입장을 묻는 질문이 주를 이뤘다.
이와 관련 문 대표는 "어제(28일) 의원단과 최고위원회 연석회의를 통해 이 문제는 예정된 방북과는 연관이 없다고 결정했다"며 "돌발 상황이고 무엇 하나 밝혀진 것이 없다는 점에서 국정원이 어떤 의도를 가지고 이 사건을 만든 것이 아니냐는 판단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당내에서도 대책위원회를 구성해 대응방안을 논의 중"이라며 "언론과 국정원, 그리고 검찰이 민주노동당을 과도하게 겨냥한 측면이 있다"고 주장했다.
또 향후 대책에 대해서 문 대표는 "최 사무부총장이 실질 심사를 통해 구속이 확정된 만큼 재판과정을 통해 적극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 사건과 관련해 당 대책위위원장을 맡고 있는 이해삼 최고위원은 "최 사무부총장은 영장 실질심사과정에서 변호사를 통해 확인한 바는 아직 혐의가 입증된 것은 없다"며 "대책위는 실체적 진실을 규명하기 위해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최고위원은 "언론을 통해 민주노동당에 대한 악의적인 보도에 대해서도 적극 대처할 생각"이라며 "'간첩 사건'이라고 대대적으로 보도했지만, 최 사무부총장에 대한 영장 발부 사유는 (국가보안법 상의) '회합 통신'이었다"고 지적했다.
한편 30일 오전 9시 30분 국회정론관에서 방북 기자회견을 가진 후 서울을 출발 31일 중국 베이징을 경유해 평양에 들어가는 민주노동당 방북단은 김정일 국방위원장 및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과의 면담을 요청한 상태다.
문 대표는 "유감을 전달할 부분은 북에 유감을 전달하겠으며 북도 북대로 할말은 할 것"이라며, "미국에게도 할 말을 전달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방미단도 구성할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