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가 “TV조선 등의 보도편성 비율이 지나치게 높다”며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해오고 있는 좌파진영 시민단체 등 주장에 대해 “일부 시민단체·정치인·교수 등이 방송법을 제대로 모른 채 종편을 상대로 일방적인 비판에 나서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며 반박 기사를 냈다.
조선일보는 3일 종편 출범 2년 기획기사 <"종편은 보도많아 문제"라는 비판, 法·취지 모르는 얘기>를 통해 “언론개혁시민연대 등 일부 시민단체는 올 들어 ‘종편의 보도편성 비율이 너무 높아, 현재의 모습은 종합 편성이 아니다’고 주장하고 있다”며 이와 같이 보도했다.
조선일보는 이어 “일부 온라인 매체들이 이런 입장을 확대 재생산했고, 이어 일부 민주당 국회의원과 일부 언론학과 교수들까지 합세했다”며 송종현 선문대 언론광고학부 교수가 지난달 방송통신심의위 주최의 토론회에서 “현재 종편 채널은 종합편성 채널이 아니라 ‘자유편성 채널’에 가깝다”고 주장했다고 언급했다.
실제로 언론노조 기관지 미디어오늘은 “종합편성채널의 보도프로그램 과다 편성이 심각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민주당 최민희 의원이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2013년 종편 편성 비율 세부 내역’ 등을 근거로 “종편이 주시청자인 고령층에 대한 여론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보도전문채널’ 행세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최민희 의원이 사무총장을 지냈던 단체인 민주언론시민연합(민언련)은 종편채널 중 유독 JTBC와 MBN을 제외하고 TV조선과 채널A만을 대상으로 시사토크 프로그램 모니터링 보고서를 내어 “친정부 성향 일색의 패널들이 노골적으로 정부를 홍보하거나 옹호하고 야권을 향해 비난을 쏟아내며 공정성 준수 의무를 내팽개치고 있다”고 비판한 적이 있다.
좌파진영은 종편의 영향력이 보도프로그램의 높은 편성 비율에서 나오고 이에 따라 여론에 끼치는 영향력이 크다고 판단해 이 부분을 집중 공격해오고 있다.
조선일보는 이에 대해 “하지만 이런 비판은 방송법의 편성 규제를 의도적으로 곡해한 주장이란 지적”이라며 “이런 논리는 일반인들이 '종합편성'이란 단어 뜻만 보고 골고루 편성·방송하는 게 종편이라고 착각하는 '용어의 함정'을 노린 의도적인 비판이란 것”이라고 보도했다.
조선일보는 이어 “방송의 프로그램은 크게 3분야로 나뉜다. 보도와 교양, 오락 분야다. 50년 전 처음 방송법에 편성 규제가 도입된 이래 6차례 개정이 있었지만, 일관된 원칙은 ‘보도·교양을 많이 하도록 촉진하고 오락의 과잉을 막자’는 것”이라며 “지상파들이 상업적인 이득을 위해 광고가 많이 붙는 오락 프로그램으로만 몰릴 경우 자칫 방송이 우민화(愚民化)의 도구로 전락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반박했다.
또한 “1963년 방송법 시행령은 '보도 10% 이상, 교양 20% 이상, 오락 20% 이상'으로 편성을 강하게 규제했다. '보도 10% 이상'이라는 하한선 규제는 2000년대 초반까지 이어지다가 규제 완화에 따라 없어졌다”면서 “그 대응책으로 오락 프로그램의 상한선 규제가 추가돼, 현행 방송법 시행령(50조 1항)은 '종편 채널은 오락 프로그램을 매월 전체 방송시간의 50% 이하로 편성할 것'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편성의 자율권을 최대한 인정하면서도 '오락 과잉 금지'라는 규제의 원칙을 이어간 것”이라고 지적했다.
조선일보는 그러면서 “방송업계 전문가들은 ‘일부의 주장대로 보도 편중이 문제라면, 국민의 수신료를 받고 광고 없이 운영되는 KBS1 채널이 가장 큰 문제를 안은 방송사라는 논리가 된다’고 지적했다”면서 “KBS 1채널은 교양(51.7%· 2011년 기준), 보도(32.2%), 오락(16.1%)으로, 교양 프로그램이 절반을 넘었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조선일보는 “문제는 이런 '보도 비율이 높아 문제'라는 비(非)논리적인 주장이 횡행하면서, 실제로 방송법을 위반한 '오락의 과잉 편성'이 묻히고 있다는 점”이라며 “지상파를 포함한 종편에서 오락 프로그램의 비율이 과도하게 높은 게 문제지, 방송법상 보도·교양 비율이 높다고 비판할 수는 없다”고 최성진 서울과학기술대 전자IT미디어공학과 교수의 발언을 전했다.
소훈영 기자 firewinezero@gmail.com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