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시가 지방선거를 불과 한달여 앞두고 느닷없이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을 홍보하는 홍보물을 광양읍 주요 아파트 게시판에 부착하자 국립공원 지정에 반대입장을 갖고 있는 백운산 고로쇠 약수협회 등 백운산 인근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광양시 e-편한세상 아파트에는 최근 광양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 당위성을 설명하는 홍보물이 부착됐다.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 추진위원회' 명의로 부착된 이 홍보물은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 15만인 서명운동' 이란 서명용지와 더불어 '백운산은 광양시민 모두의 것입니다' 라는 제목의 3장의 홍모물로,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의 당위성을 담고 있다.
구체적인 내용으론 ▲백운산이 국립공원으로 추진하게 된 배경▲ 백운산 약수 채취와 관련 인근 주민들의 우려에 대한 임장▲'백운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 이런 점이 좋아집니다' 라는 주제로,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을 추진하고자 하는 광양시의 입장이 담겨져 있다.
하지만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에 반대입장을 갖고 있는 지역주민들은 광양시의 이같은 홍보방침에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해당 아파트에 사는 한 주민은 "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문제는 환경부에서 이미 사실상 부결된 것으로 일단락 됐는데, 이제와서 광양시가 때늦은 홍보물을 부착하고 있다"며 광양시의 '뒷북행정'을 문제 삼았다.
또,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에 반대하는 주민들도 한 아파트에 사는 상황에서, 광양시가 아파트 게시판에 홍보물을 부착하려면 반대 측 입장도 같이 부착해야 정상 아니냐"며 "광양시에도 이런 문제점을 따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주민은 "이 홍보물이 아파트 게시판에 부착된 경위를 광양읍에 문의했더니, 광양시 환경정책과가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에 따른 홍보방침을 정하고 광양읍에 홍보물을 내려 보낸 것으로 답했다"고 전했다.
이와관련 광양시 환경정책과 김경철 담당과장은 홍보물 부착 경위를 묻는 본보에 " 서울대와 기획재정부가 백운산 무상양도 범위를 놓고 협상중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협상결과 무상양도가 되지 않은 땅에 대해 국립공원 지정을 추진하기 위한 것"이라며, "추진위가 서울대에 땅을 넘겨주지 않기 위한 '서울대 압박용'으로 생각하면 된다"고 밝혔다.
이에대해 서울대 광양 남부학술림 박종영 임장은 " 광양시가 백운산 서울대 무상양도 잔여부지를 갖고 국립공원을 추진한다는 게 상식적으로 말이 되는 얘기냐"며 "환경부는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문제에 대해 사실상 손을 뗀 상태이며, 양도범위에 관해 기획재정부의 최종 판단만 남은 상황"이라고 반박했다.
앞서 광양시는 지난 18일 섬진강권환경행정협의회 소속 영호남 9개 지자체의 협조를 얻어 서울대와 기획재정부, 환경부에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을 촉구하는 공문을 보내기도 했다.
이를 두고 반대 측 인사는 해당 지자체에 문의한 결과 "광양시를 제외한 나머지 지자체는 광양시의 요청에 따라 협조했을 뿐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에 대한 장·단점에 대해선 모른다"고 전했다.
한편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추진위원회가 5월 부터 매주 목요일 서울대 광양 남부학술림 앞에서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 찬성 집회를 예고한 사실이 알려지자 반대 측 주민들도 맞불집회를 계획 중이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