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폴리틱스워치 (정치/사회)


배너

'생명의 땅 전남’ 공공디자인 기본계획 수립 본격 착수

전남의 특성과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품격 높은 공공시설물 디자인 제시

전라남도는 공공디자인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개선 관리를 위해 ‘전라남도 공공디자인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본격 착수 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착수한 용역은 전라남도에서 기본 구상안을 만들고 공공디자인 분야 전문가 38명으로부터 자문을 받아 용역추진 세부계획을 작성하였으며 한국산업대학교와 ㈜도시경관연구소율간 콘소시엄을 통해 2015년 4월까지 용역을 완료할 계획이며, 민간인 및 관계 전문가, 시군 공무원이 참석한 착수 보고회가 오늘 8월 22일 열린다고 했다.

기본계획 용역 내용을 살펴보면 전남을 내륙권, 해안권, 섬권역 등 3대 권역으로 설정하고 각 권역을 6개 지역(도시, 농촌, 어촌, 산촌, 농어촌, 특화지역)으로 나누어 기본 현황조사를 실시하고, 공공디자인 대상시설물을 공공공간, 공공건축, 공공시설물, 공공매채, 공공이미지, 공공디자인정책 등 6가지로 분류하여 전남도 및 산하 지자체가 개선 관리해야 할 대상들을 명확히 설정해 체계를 정립해 나갈 것이라 밝혔다.

권역 및 지역 단위로 공공디자인 대상시설 현황 조사를 통해 우리지역의 역사, 문화, 자연경관 등의 특징적인 아이덴티티를 담은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과 표준디자인을 개발해 도 산하기관 및 시․군 배포하여 “생명의 땅 전남”의 품격을 높일 계획이다.

아울러 고령자와 장애인 등 약자를 위한 유니버셜 디자인(Universal Design) 표준모델 및 범죄예방을 위한 환경설계 즉, 사람들을 범죄로부터 사전에 보호하기 위해 공공시설물에 대한 디자인을 적용해 안전한 생활환경을 조성하는 셉테드디자인 (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등 최근 대두되고 있는 공공디자인의 시대적 흐름을 최대한 우리도 실적에 맞게 적용할 방침이다.

특히 타 시․도 기본계획 용역과 비교되는 점은 우리지역이 가지고 있는 지역의 특화된 자원을 활용해 디자인 특화지역 조성 시범사업 계획 수립과 도 차원의 선도 사업을 발굴하여 단계별 사업계획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중앙부처 공모사업 및 국고보조사업을 통해 실행함으로써 지역 발전을 이끌어갈 토대를 마련한다고 했다.

박수옥 경관디자인과장은 금번에 실시되는 전라남도 공공디자인 기본계획 용역은 ‘전국 최초로 공공디자인 조례를 공포시행하는 등 공공디자인 분야의 선두주자로서 법제화되지 못한 공공디자인 대상시설을 최초로 명확히 분류하는 한편, 도차원의 선도 사업 발굴을 통한 지역발전의 토대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매우 뜻 깊은 일이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