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폴리틱스워치 (정치/사회)


배너

유승민의 ‘변화’냐 이주영의 ‘안정’이냐, 표심의 향배는?

새누리당 원내대표 경선 후보 등록 30일 시작, 본격 경쟁 돌입

새누리당의 원내대표 경선 후보 등록이 오늘부터 시작된 가운데 차기 원내대표 경선 표심을 좌우할 변수는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율과 내년 총선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율이 30% 아래로까지 떨어지면서 총선을 의식해 변화와 개혁에 대한 요구가 표심으로 나타나지 않겠냐는 것이다.

이번 경선에서도 박근혜 대통령 의중이 누구에 있느냐는 ‘박심(朴心)’ 논란이 있지만 이런 변수들로 인해 이번에는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것도 여기에 기인한다.

차기 원내대표·정책위의장에 도전하고 있는 후보들은 이점을 의식해 이구동성으로 당청 관계 변화에 대한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다만 친박색이 강한 ‘이주영(경남 창원·마산·합포)-홍문종(경기 의정부을)’ 의원 측보다 탈계파 성격이 강한 ‘유승민(대구 동을)-원유철(경기 평택갑)’ 측의 목소리가 강한 편이다.

이런 차이는 복지증세 논란 등 현안에서 다른 시각으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 연말정산 논란으로 촉발된 증세 논쟁에 대해 이 의원은 “국민 부담이 늘어나는 것이고 경제에 주름살을 가져올 수 있다”며 “증세가 능사인지 면밀히 검토, 고민해야 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박 대통령의 ‘증세없는 복지’ 공약 기조를 유지하는 선에서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유 의원은 ‘증세없는 복지는 허구’라며 정부 기조에 대변화를 요구하는 입장이다.

유 의원은 “장기적으로 중부담·중복지 체제를 위해 증세 논의를 피할 수 없고, 복지개혁과 증세 논의를 동시에 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 지지율 하락과 더불어 갈수록 하락세인 여권 지지율 제고 방안에 대해선 서로가 ‘당·청 소통의 적임자’라고 나섰다.

이 의원은 “청와대와 대통령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당 리더십은 대립각을 세우기보다 갈등 없이 변화를 유도해내는 화합의 리더십”이라면서 “제가 원내대표가 돼서 여권 결집을 해야 힘을 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반해 유 의원의 정책위의장 러닝메이트인 원유철 의원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당·정·청이 삼위일체이며 어느 한쪽이 무너지면 같이 무너지는 공동운명체”라고 강조했다. 원 의원은 “당·청 간 다리를 불사를 것이 아니고 무지개 같은 소통의 다리를 놓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개헌 역시 이 의원은 “시기도 잘 살펴가며 실현해야 한다”는 유보적 입장이다. 반면 유 의원은 “개헌 논의는 자유롭게 할 수 있게 해 줘야 한다”면서도 “하지만 개헌을 전부라고 보고 가면 총선이 안 된다”고 선을 그었다.

양측은 30~31일 후보등록 마감 후 열릴 예정인 합동토론회 준비에도 힘을 쏟고 있다. 그동안 당·청 갈등을 불러온 각종 현안에 대해서는 유 의원 측이 다소 앞서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이호성 기자 lhsmedia@nate.com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