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자유통일강대국코리아 (역사/외교)


배너

[독립검증위원회] 일본 아사히신문 ‘위안부 보도’에 대한 검증보고서 (총론)

‘강제연행’과 ‘성노예’라는 허위 날조로써 만들어진 정치적 프로파간다, ‘반일좌익’ 아사히신문 위안부 보도 (1/5)



본 검증보고서는, 2014년 아사히(朝日)신문의 자체적인 검증과 아사히 측이 의뢰한 ‘제3자위원회’를 통한 자사 위안부 문제 오보에 대한 검증, 철회 사건에 이어서, 2015년 아사히신문 위안부 문제 오보의 문제점을 독립적으로 보다 상세히 조사, 확인한다는 목적으로 일본 보수 논단의 대표적인 관련 전문가인 나카니시 테루마사(中西輝政) 교토대 명예교수, 니시오카 쓰토무(西岡力) 레이타쿠대 객원교수, 시마다 요이치(島田 洋一) 후쿠이현립대 교수 등 ‘독립검증위원회’가 작성·공개한 것이다.

본 ‘독립검증위원회’ 검증보고서는, 1990년대부터 30여 년에 걸쳐서 이뤄진 아사히신문의 위안부 문제 조작 보도의 문제점을 면밀히 검증해 밝히고 있을 뿐만이 아니라, 이 기간 동안의 해당 위안부 문제 조작 보도가 일본내 여론은 물론이거니와 한국 여론과 미국 여론, 또 국제사회(기구)의 여론에도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까지도 세세히 드러내고 있다. 검증위원들이 개별 챕터를 따로 집필·편집한 관계로 일부 주제와 소재가 계속 반복되는 감은 있으나, 소위 강제연행설과 성노예설로 회자되는 위안부 문제의 모든 쟁점들이 조목조목 반박되어 있는 등, 이 분야에서는 가히 종합백과사전과도 같은 위상을 갖고 있는 것이 본 검증보고서라고 하겠다.

본 검증보고서의 원문(일본어판)은 일본 역사인식문제연구회(歴史認識問題研究会)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아래 번역은 이우연 낙성대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이 수고해주셨으며 한국어판은 일본어판 마지막 수정요망사항을 본분에 모두 반영하였다. 사진과 캡션은 모두 미디어워치 편집부가 작성한 것이다.



아사히신문의 ‘위안부 보도’에 대한 독립검증위원회
(朝日新聞「慰安婦報道」に対する独立検証委員会)

보고서
(報告書)


위원장 나카니시 테루마사(中西輝政)
부위원장 니시오카 쓰토무(西岡力)
위원 아라키 노부코(荒木信子)
동(同) 시마다 요이치(島田洋一)
동(同) 다카하시 시로(高橋史朗)
사무국장 카츠오카 칸지(勝岡寛次)


헤이세이(平成) 27년(2015년) 2월 19일


아사히(朝日)신문 ‘위안부 보도’에 대한 독립 검증위원회 보고


목차


제1부 총론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와 아사히의 책임


제2부 아사히의 위안부 보도를 검증한다

    제1장 검증 동기는 자기 변호

    제2장 1992년 1월 11일·12일을 정점으로 하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

    제3장 아사히 오사카 본사의 편향된 역사인식

    제4장 요시다 세이지의 허위증언에 대한 보도

       자료 요시다 세이지 증언에 관한 아사히신문 취소기사(18개)·미취소기사(1개) 일람

    제5장 ‘여자정신대의 이름으로 연행’ 오보

       자료 위안부와 정신대를 혼동한 아사히신문 기사 목록

    제6장 재판 이해관계 기자에 의한 위안부 경력 오보

    제7장 운동과 일체화된 위안부 보도


제3부 아사히신문의 위안부 보도가 대외적으로 초래한 영향

    제1장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가 미국 신문에 미친 영향

    제2장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가 한국 신문에 미친 영향

    제3장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가 유엔에 미친 영향

    제4장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의 북미에서의 실제 피해


맺음말


부록 청취조사 대상자 명단

 


집필 분담
제1부, 제2부 제1장·제2장·제4장·제5장·제6장: 니시오카 쓰토무
제2부, 제3장·제4장자료·제5장자료·제7장, 제3부 제3장: 카츠오카 칸지
제3부 제1장: 시마다 요이치
제3부 제2장: 아라키 노부코
제3부 제4장: 다카하시 시로
맺음말: 나카니시 테루마사


제1부 총론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와 아사히의 책임
(第1部 総論 「92 年 1 月強制連行プロパガンダ」と朝日の責任)

- 니시오카 쓰토무(西岡力) (집필 담당) - 

머리말(はじめに)

아사히(朝日)신문은 2014년 8월 5일과 6일자에서 자사의 위안부 보도를 검증하는 특집(이하, 검증특집)을 게재했다. 너무 늦은 것이지만, 잘못을 인정하고 정정한다면 나쁜 일은 아니다. 그러나 그 검증은 자사의 위안부 보도에 대한 그간의 비판을 반박하며 변명하려는 목적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게다가 사죄의 말이 없었던 것이나,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를 둘러싼 오보 문제와도 맞물려, 전에 없이 아사히에 대한 비판이 높아졌다. 그래서 아사히신문 사장이 다시 한번 사죄회견을 열어, ‘제3자위원회’라는 조직에 검증을 의뢰하게 되었다. 

7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제3자위원회’는 같은 해 12월 22일, 보고서를 공표했다. 이 보고서가 아사히의 검증상 문제점을 어느 정도 지적하고 있는 점은 평가할 만하다. 그러나 아사히의 위안부 보도가 이상해진 배경에 대한 분석이 없었으며, 게다가 국제사회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부분에서는 위원회로서의 견해를 정리하지 못했고, 각 위원의 서로 다른 견해가 병기되었다는 점 등 불충분한 것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우리는 지난해 12월에 이하의 멤버로 아사히신문 ‘위안부 보도’에 대한 독립 검증위원회(朝日新聞「慰安婦報道」に対する独立検証委員会, 이하, 독립검증위원회)를 새로 발족시켰다. 

나카니시 테루마사(中西輝政), 교토대 명예교수(위원장)
니시오카 쓰토무(西岡力), 도쿄기독교대학 교수(부위원장)
아라키 노부코(荒木信子), 한국연구자
시마다 요이치(島田洋一), 후쿠이(福井)현립 대학 교수
다카하시 시로(高橋史朗), 메이세이(明星)대학 교수
카츠오카 칸지(勝岡寛次), 메이세이(明星)대학 전후 교육사 연구 센터(사무국장)


덧붙여 위원회의 운영에 관해서는 일본정책연구센터(日本政策研究センター, 이토 테츠오(伊藤哲夫) 대표)의 다대한 지원을 받았다. 

독립검증위원회는 ① 아사히 및 ‘제3자위원회’ 검증의 문제점, ② 아사히의 ‘위안부 보도’가 대외적으로 초래한 영향에 대해 검증을 실시해 왔다. 


검증의 틀(検証の枠組み)

우선 검증의 틀부터 설명한다. 우리 독립검증위원회 멤버의 대부분은 아사히의 위안부 보도에서 많은 사실 오인이 포함되었고, 그 결과 일본과 선인(先人)들의 명예가 현저히 훼손됐다고 인식하고 1992년부터 아사히를 비판해왔다. 아사히의 위안부 보도에 대한 비판은 같은 전국 일간지인 산케이(産経)신문과 요미우리(読売)신문에 의해서도 1997년경부터 이루어져왔다(예를 들어 산케이 1997년 4월 1일자 사설 ‘파탄난 아사히의 위안부 보도 ‘강제연행’ 사라졌는가?(破綻した朝日の慰安婦報道 「強制連行」は消えたのか)’, 요미우리 1997년 4월 13일자 사설 ‘헌법 시행 50년 아직도 남아 있는 “일본성악설(日本性惡說)”의 굴레(憲法施行50年 まだ残る“日本性悪説”の呪縛)’). 

아사히의 검증특집은, 그러한 비판에 대해서 자신들의 보도가 기본적으로 올바르다고 변명, 정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행해졌다. 그 점은 본 보고서 제2부 제1장에서 상세히 지적한다. 또 ‘제3자위원회’의 멤버로 그동안 아사히의 위안부 보도를 비판해왔던 사람이 포함되지 않았었다. 진정한 의미에서 ‘제3자’라면 아사히의 자기변호와 아사히 비판, 양쪽의 주장을 균형 있게 들어보고 판단을 내려야 할 것이다. 그런데 ‘제3자위원회’는 아사히를 비판해온 측의 전문가는 위원에 포함시키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청문조사 대상으로도 역시 포함시키지 않았다. 이래서야 진정한 의미의 ‘제3자’라고 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 이하의 검증은 그간 아사히의 위안부 보도를 비판해왔던 전문가 입장에서 이루어진 것임을 먼저 밝혀둔다.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92 年 1 月強制連行プロパガンダ」)’

우리 독립검증위원회는 아사히 위안부 보도의 가장 큰 문제점이 어디에 있다고 보는지 우리의 인식을 먼저 제시한다. 아사히는 1980년대부터 위안부 문제로 일본을 규탄하는 보도를 시작하고, 1991년부터 1992년 1월까지 요시다 세이지(吉田淸治) 증언, 여자정신대 제도, 위안부 증언, “군 개입” 문서 등에 대해서 갖가지 허위 보도를 하고, 결과적으로 “일본군이 여자정신대의 이름으로 조선 여성을 위안부로 만들기 위해서 강제연행했다”는 사실무근의 프로파간다를 안팎으로 확산시켰다. 

우리는 이것을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라고 이름 붙였다. 아사히의 가장 큰 문제는 이 프로파간다를 2014년 8월 단계까지 명확하게 취소, 정정하지 않고 방치한 채, 문제의 본질은 광의의 강제성, 여성의 인권이라는 등의 궤변을 늘어놓으며 일본과 선인들의 명예를 계속 훼손해 온 것이다. 이하에서 그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개관한다. 

92년 1월 12일자 사설로 프로파간다 완성(92 年 1 月 12 日付け社説でプロパガンダ完成)

아사히는 92년 1월 12일자 사설 ‘역사에 눈을 감지 않을 것이다(歴史から目をそむけまい)’에서 “‘정신대’의 이름으로 권유 혹은 강제연행되어 중국으로부터 아시아, 태평양의 각지에서 병사 등을 상대하게 되었다는 조선인 위안부(「挺身隊(ていしんたい)」の名で勧誘または強制連行され、中国からアジア、太平洋の各地で兵士などの相手をさせられたといわれる朝鮮人慰安婦)”라고 썼다. 

중앙일간지 가운데 사설에서 이러한 허위를 쓴 것은 아사히가 유일했다. 이 사설 하루 전인 1월 11일에 아사히는 1면 머리기사에서 군(軍) 관련 자료가 발견됐다고 크게 보도했다. 여기에서 거론된 자료는 국내에서 민간업체가 위안부 모집할 때, 유괴와 똑같은 일을 하지 못하도록 통제를 강화한다는 내용이며, 조선인 위안부 강제연행을 증명하는 자료가 아니었다. 그러나 아사히는 같은 기사 속 용어해설을 통해 “태평양전쟁이 벌어지고서 주로 조선인 여성을 정신대라는 이름으로 강제연행했다. 그 인원은 8만이라고도 하고 20만이라고도 한다(太平洋戦争に入ると、主として朝鮮人女性を挺身隊の名で強制連行した。その人数は八万とも二十万ともいわれる)”고 쓰고, 이튿날 사설과 함께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를 완성했다. 



예를 들어 저명한 시대소설작가인 사와다 후지코(沢田ふじ子) 씨는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에 ‘인도에 대한 죄(人道に対する罪)’라고 칭하는 감정적인, 짧은 감상문을 기고하여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 그대로의 인식을 나타내고 있다. 사와다 씨는 교토에 거주하므로, 91년에 아사히 오사카 본사의 위안부 캠페인을 읽고 있었을 것이다. 

조선반도에서 ‘여자정신대’ 등의 이름 아래, 전쟁터로 내몰린 세 사람의 위안부가…보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도쿄 지방법원에 제출하였다.
 
전쟁 중 일본이 조선반도에서 강제로 연행한 여성은 10만 명 또는 20만 명이라고도 하며, 열두 살에 연행된 여자아이도 있었다. 그녀들의 육체적, 정신적 고통을, 같은 여성으로서 나는 잘 알고 있다.(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 1991년 12월 21일자 석간). 


프로파간다를 뒷받침한 허위보도 요시다 위증(プロパガンダを支えた虚偽報道・吉田偽証)

이 프로파간다를 뒷받침하는 허위 보도에 대해서는 본 보고서 제2부, 제3부에서 자세하게 분석하되, 여기에서는 그 개요를 기술한다. 

요시다 세이지 증언에 대해서, 아사히는 32년 만에 허위라고 인정해 취소했다. 아사히가 취소한 것은 18편의 기사다(당초에는 16편이었지만, ‘제3자위원회’의 지적을 받아 2개를 추가했다). 아사히가 최초로 요시다를 거론한 것은 80년 3월 7일자 가와사키 요코하마 동부판(川崎横浜東部版)이었다. 거기에서는 위안부 사냥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있다. 그 후 1982년 9월 2일자 오사카 본사판에서, 오사카 시내에서 개최된 집회에서 요시다가 “조선인 위안부를 황군 위문 여자정신대라는 이름으로 전쟁터에 내보냈습니다(朝鮮人慰安婦は皇軍慰問女子挺身隊という名で戦場に送り出しました)”라고 말했다고 보도됐다.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의 원형이 여기에 있다. 

이후 1983년 3개, 84년(오사카 본사판), 86년, 90년(오사카 본사판), 그리고 간헐적으로 요시다 기사가 나왔다. 하지만 그것들의 중심은 노동자 연행이었으며, 82년과 83년에 요시다가 펴낸 저서에 담긴 제주도에서의 위안부 사냥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워낙 엉뚱한 내용이라서 사실관계에 자신이 없었던 것은 아닐까. 

그런데 91년에 요시다의 ‘위안부 사냥’을 자세히 다루는 기사가 2개 실렸다. 후술하는 오사카 본사 기획 ‘여자들의 태평양전쟁(女たちの太平洋戦争)’의 기사다. 92년 1월에 논설위원 칼럼이 위안부 사냥을 거론하고, 같은 논설위원이 그 해 3월에 요시다의 증언에 의문을 제기하는 독자의 투서를 꾸짖는 칼럼까지 써서, 아사히로서는 요시다의 위안부 사냥에 대해 완전히 보증수표를 써주었다. 91년 오사카 본사 보도와 92년 1월의 논설위원 칼럼은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를 지탱하는 기둥이 되었다. 

‘정신대 이름으로 연행’ 오보(「挺身隊の名で連行」誤報)

다음으로 ‘여자정신대의 이름으로 위안부 연행’이라는 오보를 검토한다. 독립검증위원회 카츠오카 칸지 위원의 조사에 의하면, 아사히는 적어도 33개의 기사로 이 오보를 게재했다(본 보고서 제5장 첨부 자료 참조). 최초는 1982년 9월 2일자, 전게(前揭)의 요시다의 강연회 기사다. 이후 83년 1개, 84년 1개, 88년 1개, 89년 1개, 91년 12개, 92년 13개, 95년 2개, 97년 1개이다. 이 33편 중 약 절반인 16편은 데이터베이스에 기사의 취지가 기재되어 있지 않다. 아사히와 제3자위원회 검증의 안이함의 표현이다. 

특히 용어해설 기사가 3개 있었던 일은 간과할 수 없다. 독자는 용어해설을 바탕으로 기사나 사설을 읽는다. 그런 의미에서 오보의 책임은 무겁다. 

처음은 1983년 12월 24일자 ‘메모(メモ)’라는 제목의 해설이다. 

대한적십자사 등의 조사에서는, 1939년부터 45년 패전까지 일본이 “징용”, “모집” 명목으로 강제연행을 한 한국ㆍ조선인은 72만 여명. 그중 ‘여자정신대’의 이름으로 전선에 보낸 위안부는 5~7만 명에 이른다고 한다. 이 중 약 3분의 1이 패전 때까지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사할린에는 4만 3천여 명의 한국ㆍ조선인들이 잔류하고 있으며, 한국으로의 귀국을 ‘무국적’ 상태로 기다리고 있는 자들이 2천 수 백명에 이른다고 한다.


이 기사는 요시다 세이지(吉田清治)가 방한해 사죄비를 세웠음을 서울발로 전하는 기사에 붙어 있었다. 

다음이 1991년 12월 10일자 ‘종군위안부(従軍慰安婦, 단어(ことば))’라는 해설이다. 

제 2차대전 직전부터 여자정신대 등의 이름으로 전선에 동원돼 위안소에서 일본 군인을 상대로 매춘을 하게 되었던 여성들의 속칭. 공식적인 조사는 없지만, 10만 명이라고도 하고 20만 명이라고도 한다. 

일본의 조선반도 식민지배 중 태반이 조선인 여성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 정부는 “국가총동원법에 따른 업무와는 관계가 없다. 민간업체가 데리고 다닌 것 같다”고 하면서 관여를 부인하고 있으나 최근 한국 등의 위안부, 군인들이 “위안소는 군 관리 하에 있었다”고 증언, 일본의 책임을 추궁하고 있다. 

옛 위안부 세 사람이 전 군인·군속 서른두 사람과 함께 이번 달 6일, 일본 정부를 상대로 한 사람당 2천만 엔의 보상을 요구하는 첫 소송을 도쿄 지법에 냈다. 이들은 “나치 전범을 재판한 뉘른베르크 재판과 마찬가지로 국제관습법상의 인도에 대한 죄에 해당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세 번째가 1992년 1월 11일의 ‘종군위안부(従軍慰安婦, 용어(用語))’다. 

1930년대 중국에서 일본군 병사에 의한 강간사건이 많이 발생했기 때문에 반일감정과 성병을 막기 위해 위안소를 설치했다. 전직 군인이나 군의관 등의 증언에 의하면, 개설 당초부터 약 80%가 조선인 여성이었다고 한다. 태평양전쟁이 벌어지고서 주로 조선인 여성을 정신대라는 이름으로 강제연행을 했다. 그 인원은 8만이라고도 하고 20만이라고도 한다.


이 두 번째와 세 번째 용어해설이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를 뒷받침하는 또 다른 기둥이었음을 알 수 있다. 

옛 위안부에 대한 경력 오보(元慰安婦経歴誤報)

마지막으로 위안부에 관한 우에무라 다카시(植村隆) 기자의 기사에 대해서 살펴보자. 91년 8월 11일자 기사에서는, “‘여자정신대’의 이름으로 전쟁터에 연행돼 일본 군인을 대상으로 매춘을 강요당한 ‘조선인 종군위안부’ 중 한 명이 서울 시내에 생존한다(「女子挺身隊」の名で戦場に連行され、日本軍人相手に売春行為を強いられた「朝鮮人従軍慰安婦」のうち、一人がソウル市内に生存していることがわかり)”라고 쓰고, 이름을 걸고 나선 이가 마치 요시다 세이지가 주장한 “여자정신대로 연행”된 바로 그 피해자인 것처럼 허위 경력을 덧붙였다. 게다가 그녀(김학순)는 빈곤의 결과로 어머니에 의해 기생집으로 팔려가 기생집 주인이 위안소로 데려갔다고 재판의 소장, 회견 등에서 반복적으로 말했지만, 소장 제출 후인 91년 12월 25일자 기사에서는 정작 그 중요한 사실은 쓰지 않아 그녀가 강제연행의 피해자인 것처럼 이미지를 조성했다. 


우에무라 기자는 위안부들이 일으킨 재판의 이해관계자였다. 그는 일본에서 제소한 한국 운동단체 간부의 딸과 결혼했다. 지면을 이용해 자신의 장모가 제기한 재판에 유리하게 보도한 것이 아니냐는 의심을 받고 있다. 

아사히 오보의 배경(朝日の誤報の背景)

다음으로, 왜 아사히가 이상에서 본 것과 같이 많은 오보를 집중해서 행했는가. 그 이유에 대해 생각해보자. 아사히는 2014년 8월의 검증특집에서 요시다 세이지 증언 기사를 허위라고 취소하고 위안부와 여자정신대를 혼동한 것을 정정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이 적으면서 연구가 진척되지 않은 것이나 자료가 적었던 것 등을 이유로 들었을 뿐이었다. 또 보강 취재가 불충분했다고는 인정했지만, “비슷한 오류는 당시, 국내의 다른 언론이나 한국 언론의 기사에도 있었다”고 하며 특별히 아사히에 책임이 있다고는 인정하지 않았다. 

90년대 초에는 연구가 진척되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위안부 증언이나, 많지 않은 자료를 바탕으로 기사를 썼습니다. 그렇게 해서 보도한 기사의 일부에 사실관계상 오류가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위안부 문제의 전체상을 모르는 단계에서 일어난 실수이지만, 보강 취재가 불충분했던 점은 반성합니다. 비슷한 오류는 당시 국내 다른 언론이나 한국 언론 기사에도 있었습니다.(스기우라 노부유키(杉浦信之) 서명기사 ‘위안부 문제의 본질 직시를(慰安婦問題の本質直視を)’ 아사히신문 2014년 8월 5일자)

  

그러나 앞서 언급했듯이 사설에서 여자정신대라는 이름으로 강제연행을 했다는 허위기사를 쓴 곳은 아사히가 유일하다. 뿐만 아니라 요시다 세이지 증언을 가장 먼저 거론하고, 1991년에 위안부 캠페인 중 두 차례나 크게 다룬 것도 아사히였다. 1991년부터 92년 1월 문제의 사설에 이르기까지, 위안부에 관한 기사를 국내에서 가장 많이 게재한 것도 아사히였다. 아사히 캠페인에 이끌려 일본 내 다른 신문도 위안부 보도를 이어갔다. 

데이터베이스에서 “위안부”로 검색하여 나오는 기사 수를 정리하면 1980년대 후반부터 고노담화가 나온 1993년까지 신문의 위안부 보도는 다음 표와 같다. ‘@nifty비즈니스(@nifty ビジネス)’의 신문·잡지 기사 횡단 검색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했다. 

표 일본 매스컴의 위안부 보도


데이터베이스로 검색할 수 있는 1985년부터 89년까지의 기간을 보면, 전체 42편 중 아사히가 31편으로 전체의 4분 3을 차지하고 있다. 90년도에 아사히는 위안부 보도를 늘려 1년간 23편을 게재했다. 91년도가 되어 대 캠페인을 벌여 그해 150편의 기사를 냈다. 92년도부터 각사가 아사히를 뒤쫓듯이, 한꺼번에 많은 위안부 보도를 시작한 양적인 흐름이 표에서 잘 나타난다. 

아사히의 91년 150개의 기사 가운데, 오사카 본사(간사이(関西) 지방판을 포함한다)가 60개가 있었다. 이는 같은 해 아사히 기사의 40%, 전국지 등 전체의 25%를 차지한다. 오사카 본사에는 외신부나 정치부는 없다. 그런데도 위안부 보도를 이렇게 많이 한 것은 의도적인 캠페인이었다고 해도 좋겠다. 또한 60편 중 절반이 넘는 35편은 오사카 본사가 기획한 ‘여자들의 태평양전쟁’의 기사였다. 

오사카 본사의 전 군인들에 대한 편견(大阪本社の元軍人らへの偏見)

아사히신문에서 위안부 운동을 주도한 것은 오사카 본사였다(편집자주 : 아사히신문은 도쿄, 오사카, 나고야, 세이부에 각각 본사를 두고 있다). 1991년 오사카 본사는 아사히방송과 손잡고 ‘여자들의 태평양전쟁(女たちの太平洋戦争)’이라는 대형 기획을 했다. 전쟁을 겪은 여성들로부터 수기를 모집해 연일 이를 게재했다. 이 기획에서 오사카 본사판은 91년에 2차례, 요시다 세이지의 위안부 “노예사냥” 증언을 자세히 보도했다(‘종군위안부 목검을 휘두르며 억지로 동원(従軍慰安婦 木剣をふるい無理やり動員)’, 5월 22일자. ‘종군위안부 가해자가 다시 증언, 젖먹이로부터 엄마 떼어놨다(従軍慰安婦加害者から再び証言 乳飲み子から母引き裂いた)’, 10월 10일자). 이 2개 모두 이노우에 히로마사(井上裕雅) 편집위원의 서명기사다. 또 우에무라 기자가 이름을 걸고 나선 위안부 여성들의 경력을 쓴 문제 기사 2개 중 한 개(12월 25일자)가 이 기획 기사였다. 

본 보고서 2부에서 자세히 분석한 것처럼 이 대형 기획은 전 군인들에 대한 상당히 편향된 인식 아래 이뤄졌다. 그 기획의 책임자가, 오사카 본사 기획보도실장 기타바타케 키요야스(北畠清泰) 씨였다. 여기서 기타바타케 씨의 생각을 소개하고, 그 편향된 인식을 확인해 둔다. 그는 기획연재 마지막 회(12월 31일자)에서 군인들이 여성의 성을 유린할 수 있었던 일을 그리워하고 있다며 이렇게 썼다. 

대전쟁(大戰) 당시의 비정상성을 남몰래 그리워하고 있는 사람이 이 사회의 어딘가에 몸을 숨기고 있지 않은가. 

일반 사회의 계층 질서는 통하지 않는 군대였기에 남을 거리낌 없이 구타할 수 있었던 자. 평시의 윤리가 무시되는 전시였기에 여성의 성을 유린할 수 있었던 자. 통상적인 권리가 무시되는 비상시일수록 잘 처신해 포식의 특권을 얻은 자. 

그런 이들이 있고 그들은 전시에 대해 향수를 느끼며 계속 입을 다물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런 편협한 인식이 있기 때문에, 본 보고서에서 자세히 비판하는 요시다 세이지 증언과 위안부에 관한 우에무라 다카시 기사 등을 아사히의 이 기획에서 크게 보도한 것이다. 또 아기를 안은 어머니를 연행해 강간했다는 황당한 요시다 증언을 사실로 믿었던 것이다. 기타바타케 씨 등의 입장에서 보면, 많은 전 군인들은 요시다 세이지와 같은 범죄를 저지르고도 그것을 남몰래 그리워하며 침묵하고 있는 악인인 것이다. 

기타바타케 논설위원이 맡은 역할(北畠論説委員の果たした役割)

기타바타케 씨는 이 기획이 끝난 직후에 논설위원이 되어 오사카 본사뿐 아니라 아사히 전체의 위안부 보도를 잘못된 방향으로 이끄는 역할을 했다. 앞서 본 92년 1월 12일 문제의 사설은 기타바타케 씨가 썼을 가능성이 있다. 1월 11일 ‘군(軍) 관여 자료’ 기사를 담당했던 데스크는 역시 오사카 본사에서 도쿄로 막 넘어왔다는 증언도 있다. 

기타바타케 씨는 1992년 1월 23일에, 요시다 세이지 씨를 칭찬하는 칼럼을 썼다. 이것이 가장 먼저 도쿄 본사판에 게재된 요시다 세이지의 위안부 ‘노예사냥’ 증언 기사이다. 이 칼럼에 대해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다’라는 내용의 전 군인들의 투서가 다수 도착했다. 기타바타케 씨는 그들 독자의 충고에 대해서, “알고 싶지 않은, 믿고 싶지 않은 사실이 있다. 그런 생각과 싸우지 않으면, 역사를 쓸 수 없다(知りたくない、信じたくないことがある。その思いと格闘しないことには、歴史は残せない)”고 꾸짖는 칼럼을 썼다. 



프로파간다 비판과 논의 바꿔치기 충돌(プロパガンダ批判と議論のすりかえ)

이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에 대하여 일본 국내에서는 1992년부터 사실에 기초한 비판이 개시되었다. 아사히는 1993년, 정부 조사에서 강제연행을 나타내는 자료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듣고서도 프로파간다를 고집하면서 “조선반도에서 근로자의 강제연행이 있었는데 위안부에 대해서만큼은 강제가 없었다고 생각하는 것은 부자연스러운 일이다. 패전 시에 소각된 문서가 적지 않았을 것이고, 문서에 ‘강제징용’ 사실을 명기하는 것은 피했다고 생각된다(朝鮮半島からの労働者の強制連行があったのに、慰安婦についてだけは、強制がなかったと考えるのは不自然だろう。敗戦時に焼却された文書は少なくないはずだし、文書に「強制徴用」の事実を明記するのは避けたことも考えられる)”(1993년 3월 20일자 사설)고 강변했다. 

1996년경부터 비판은 고조됐고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다. 그 결과, 아사히는 1997년 3월 31일자 특집기사에서 ‘협의의 강제(狭義の強制)’와 ‘광의의 강제(広義の強制)’라는 개념을 갖고 나와 ‘군에 의한 강제연행’은 문제의 본질이 아니다, “모집이나 이송, 관리 등을 통해서 전체적으로 강제가 있었다(募集や移送、管理などを通じて全体として強制があった)”는 것은 분명하다는 주장으로 돌아섰다. 그래서 아사히는 자신들이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를 내외에 강력히 발신해온 책임에서 도망쳤고, 군에 의한 강제연행의 근거로 한국 정부나 유엔의 보고서에서 인용된 요시다 세이지 증언기사도 취소하지 않았다. 

국제사회에 계속 확산된 프로파간다(国際社会に拡散し続けたプロパガンダ)

일본 국내에서는 1997년 이후 군에 의한 강제연행론이 거의 논파됐지만, 아사히가 자사 프로파간다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일본 외무성도 사실에 대한 심도있는 반론을 피하자 국제사회에서는 오히려 그 후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가 계속 확산되면서 현재도 일본과 선인들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다. 

아사히는 2014년 8월에 행한 검증특집에서도, 자사의 보도 일부에 잘못이 있던 것은 인정했지만, 그 이유로 당시 연구의 지연이나 증언자가 거짓말을 하고 있던 것을 들면서, 문제의 본질은 “위안부로서 자유를 빼앗기고 여성으로서의 존엄이 짓밟힌 것(慰安婦として自由を奪われ、女性としての尊厳を踏みにじられたこと)”이기 때문에, 자사의 보도는 기본적으로는 옳았다고 주장했다. 

제3자위원회는 다음과 같이, 1997년 시점에서의 아사히가 “‘협의의 강제성’을 대대적으로 보도해 온 것에 대해서는 인정하지 않고, ‘강제성’에 대해 ‘협의의 강제성’으로 한정하는 사고방식을 남의 일처럼 비판하였고, 고노담화에 의거하여 ‘광의의 강제성’의 존재를 강조하는 논조는 … ‘논의 바꿔치기’다”라고 혹독하게 지적하였다. 

그러나 제3자위원회의 지적을 받고 이뤄진 와타나베 마사타카(渡辺雅隆) 사장의 회견에서 기자들이 아사히 보도에서 ‘논의 바꿔치기’가 있었음을 인정하느냐고 거듭 질문했지만 “바꿔치기라는 비판은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습니다”라고 반복하였을 뿐, 명확한 대답을 피했다. 제3자위원회도 ‘논의 바꿔치기’의 책임을 따로 더 추궁하지 않았다. 

아사히 검증특집도 ‘논의 바꿔치기’(朝日検証特集も「議論のすりかえ」)

오히려 2014년 8월 5일자 검증특집에서 아사히는 1면에 스기우라 노부유키(杉浦信之) 편집담당 임원의 서명기사를 실었다. 제목은 ‘위안부 문제의 본질 직시를(慰安婦問題の本質直視を)’이었다. 이하와 같이, 다시 본질론을 꺼내, ‘논의 바꿔치기’를 한 것이다. 

전시 중 일본군 병사들의 성(性) 상대를 강요당한 여성이 있었다는 사실을 지울 수는 없습니다. 위안부로 자유를 박탈당하고 여성으로서의 존엄을 유린당한 것이 문제의 본질입니다. 

90년대 보스니아 내전 당시 민병대에 의한 강간사건이 국제 사회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전쟁 당시 여성에 대한 성폭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 하는 것은 지금은 국제적으로 여성 인권 문제라는 맥락에서 파악되고 있습니다. 위안부 문제는 이런 현대적인 주제에도 이어지는 것입니다.

  

신문에 대해 독자가 요구하는 것은 본질론이 아니라 사실을 바로 전달하는 것이다. 그런데 아사히는 사실관계 오류를 논의하는 비판자들은 문제의 본질을 모른다고 둘러대는 것이다. 여기서 놓칠 수 없는 것은, 스기우라 노부유키의 기사가 위안부 문제를 “보스니아 내전 당시 민병들의 강간사건”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위안부 제도는 민족 청소를 외치고 행해진 보스니아에서의 강간과는 전혀 다르다. 그것을 같은 맥락에서 논하다니 아사히는 과연 어디까지 일본의 명예를 훼손하려는 것인가. 

그런데 제3자위원회는 이 스기우라 노부유키의 기사를 평가하는 대목에서는 ‘논의 바꿔치기’라는 비판을 일절 하지 않고 있다. 오히려 스기우라 노부유키의 기사가 전하고자 한 것은 “아사히신문의 진정성”이었음에도 그 논리 구성이 부족하여 비판을 받는다고 하는 등, 스기우라 노부유키의 기사를 일정하게 평가하기까지 했다. 아사히로서는 너무나도 안이한 검증이 아닐 수 없다. 

악화되는 국제 여론과 아사히의 책임(悪化する国際世論と朝日の責任)

본 보고서에서 자세히 검토하는 바와 같이, 한국 신문이나 미국 신문 등은 아사히의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 이후 위안부 문제를 대대적으로 보도하게 됐다. 그 내용은 바로 아사히가 당시 강조했던 프로파간다에 따른 것이다. 1997년에 아사히가 ‘광의의 강제성’이라는 개념을 들고 나와 사실상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의 오보를 인정한 뒤에도 한국 신문, 미국 신문은 92년 1월에 완성된, 사실에 반하는 고정 관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마침내 미국 각지에 세워진 위안부 동상 등에 대한 설명과 미국의 역사 교과서에도 프로파간다의 내용이 그대로 반영되었고, 그래서 많은 재미일본인이 정신적 고통을 받는 데 이르도록 사태는 악화되고 있다. 이것도 본 보고서 제3부에서 자세히 논한다. 또한 유엔의 쿠마라스와미 보고서, 미국 의회 결의, 한국의 헌법재판소 위헌 결정 등도 모두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아사히의 검증특집도, 제3자위원회의 보고도,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가 얼마나 악영향을 미쳐 왔는지 직시하지 않고 있다. 제3자위원회가 아사히의 ‘논의 뒤집기’를 강력히 비판했으니 아사히야말로 국제사회에 프로파간다가 사실이 아니었음을 알릴 의무가 있다고 따져야 할텐데도, 제3자위원회는 전혀 그렇게 하지 않았다. 오히려 제3자위원회 보고는 프로파간다에 대해 사실에 근거한 반론을 하려는 민간의 노력을 사태를 악화시킨 원인이라도 되는 것처럼 주장하며 아사히를 두둔했다. 이 점이야말로 제3자위원회 보고의 큰 결점이다. 



미국 주요 3개 신문 분석으로 밝혀진 제3자위원회 보고의 결함(米国主要3紙分析でわかった第三者委員会報告の欠陥)

본 보고서 제3부에서 자세히 논했지만 ‘독립검증위원회’는 아사히의 위안부 보도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미국의 주요 3개 신문(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로스앤젤레스타임스, 1980년~2014년)의 위안부 관계 기사 약 520개와 한국의 주요 7개 신문(‘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국일보’, ‘서울신문’, ‘경향신문’, ‘한겨레’ 1991년 8월 1일 ~ 1992년 1월 31일)의 위안부 관계 기사 541개를 모아 통독했다. 제3자위원회’의 보고는 기사의 수적 분석만 하고, 내용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중대한 결함이 있지만, 본  ‘독립검증위원회’ 보고서에서는 기사 내용까지 심도 있게 분석했다. 

미국 신문 분석 결과, 아사히와 제3자위원회가 인정하지 않는 이하의 중요한 사실이 판명되었다. 

①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는 틀림없이 미국 신문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왜냐하면 미국의 주요 3개 신문이 위안부에 관해 대량의 기사를 쓰게 된 것은 모두 그 직후이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미국 주요 3개 신문은 아사히가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를 내세우기 이전에는 위안부 문제를 거의 무시하고 거론하지 않았다. 

② 아사히신문이 요시다 증언을 반복해서 다루고, 또한 그 허위성을 인식한 이후에도 취소하지 않은 영향에 대해 ‘제3자위원회’ 보고에서 하야시 카오리(林香里) 씨는 키워드 검색에서 ‘Seiji Yoshida’로 검색한 결과로부터 “요시다 세이지 씨는 각국 주요 신문에서는 극히 한정적으로만 언급된다고 할 수 있다”고 말하였지만, ‘요시다 세이지’라는 이름을 언급하지 않아도 분명히 그 증언에 의거했거나 또는 그를 참조했다고 생각되는 기사는 많이 존재하며, 일찍 요시다 증언을 취소했다면 그 악영향을 막을 수 있었을 것이다. 요시다 증언에 영향을 받은 기사는 최근까지도 찾아볼 수 있다(‘뉴욕타임스’. 1996년 5월 13일, 15일자 / ‘워싱턴포스트’ 2014년 5월 31일자). 

③ 1993년 8월 4일의 고노담화가 일본이 위안부 강제연행과 성노예화를 공식 인정했다고 하는 형태로 미국 신문에서 보도되었다. 

④ 미국 신문은 위안부 강제연행·성노예화라는 오해를 전제로, 아베 신조 등 일본 정치인의 북조선의 일본인 납치 문제에 대한 대처를 위선적이라고 비판했다. 아사히의 위안부 보도는 납북자 문제에도 악영향을 미쳤다. 

⑤ 제3자위원회 보고에서 하타노 스미오(波多野澄雄) 씨는 일본의 유지(有志, 지식인들)가 워싱턴포스트에 낸 의견 광고가 (역풍을 불러일으켜) 미 하원 위안부 결의안에 “참여 의원을 급증시킨 최대 요인”이었다고 주장했지만, 그 논거는 매우 약하다. 이번에 조사한 3개 신문에는 의견 광고에 대한 의회의 반발을 보도한 듯한 기사는 찾아볼 수 없다. 하타노 스미오 씨, 하야시 카오리 씨는 아베 신조 씨와 일본 우익의 언행이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해외의 일본 비판을 높이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지만, 그 근거는 박약하다. 

⑥ 위안부를 “아베 정권에서는 전쟁 이전 시기에 일본에 정착했던 공창제가 전쟁터로 옮겨간 경우”로 간주하는 것에 반해, “구미(서구) 보도의 논조는 대부분 위안부 문제를 보편적ㆍ인도주의적 ‘여성의 인권 문제’라는 관점에서 규정하고 있다”고 하야시 카오리 씨는 주장했다. 하지만 위안부 문제를 다룬 미국 세 신문 기사 중에서 이를 “일본에만 있었던 것이 아니라 유럽, 미국, 아시아 등에 광범위하게 존재했던 근대 국가의 문제”로 다루고 있는 내용은 하나도 없다. 위안부 제도를 ‘일본 특유의 시스템(uniquely Japanese system)’으로서 다루는 기사가 대부분이었다. 

주요 한국 신문 분석에서 드러난 아사히의 책임(主要韓国紙分析で明らかになった朝日の責任)

또, 한국 신문 분석 결과, 역시 이하의 사실이 판명되었다. 

①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는 한국에도 영향을 미쳤다. 한국에서는 위안부 문제가 일본에서 제기됐다고 포착하고 있다. 한국 신문이 위안부 문제를 집중 거론하는 것은 92년 1월부터다. 1월 11일자 아사히의 ‘군 관여’ 자료 발견 기사와 그로 인해 촉발되어 한국 신문이 같은 해 1월 14일, “12살 초등생까지 위안부로 삼았다”는 오보를 낸 것이 계기가 되었다. 

② 92년 1월 당시 한국 신문은 ‘강제연행’의 근거로 요시다 세이지 증언, 김학순 증언 등을 들었다. 

③ 한국에서 위안부 문제의 근거로 여겨지는 사항은 아직도 살아 있다. 2012년 8월 30일 조선일보 사설도 아사히가 보도한 군 관련 자료와 요시다 증언을 강제연행의 근거로 들었다. 

④ 아사히가 대대적으로 보도하면서 2014년까지 취소하지 않았던 요시다 세이지 씨 등의 많은 ‘증언’은 한국인에게 위안부에 대해서 일정한 이미지를 만들었고 위안부 강제연행을 뒷받침하는 주요 근거가 되었다. 

⑤ 한국 국정 역사 교과서가 위안부를 두고 “정신대의 이름으로 연행되었다”고 사실에 반하는 기술을 한 것은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 5년 후인 1997년부터였다. 중학 교과서는 2002년에 위안부와 정신대를 동일시하는 오류가 수정됐지만, 고교 검정 교과서에서는 아직도 사실에 반하는 기술이 많다. 

⑥ 2011년 한국 정부가 위안부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는 외교 협상을 하지 않는 것이 헌법 위반이라는 한국 헌법재판소 결정은 “일제에 의해 강제동원되어 성적 학대를 받고 위안부로서의 생활을 강요당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결정문)라는 인식에 의한 것이다.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가 만들어낸 강제연행, 성노예의 이미지가 위헌 결정의 전제였다. 

확산되는 미국에서의 피해(広がる北米での被害)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는 미국과 한국의 주요 언론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다. 아직도 이 프로파간다를 사실로 생각하는 사람이 다수 있다. 그 결과 미국 각지에 설치된 위안부 기림비의 비문이나 미국의 역사 교과서에도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가 영향을 주고 많은 재미일본인이 정신적 고통을 받으면서 사태가 악화되고, 미국에서 구체적인 피해를 입은 일본인이 개별 원고가 되어 아사히신문의 ‘종군위안부’ 오보 소송을 제기했다.
 
미국의 위안부 기림비(碑)·상(像)은 주로 한국계 주민에 의해서 그 설립 운동이 2009년경부터 시작되면서 2015년 2월 현재 8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1. 2010년 10월 23일
   뉴저지 주 버겐 카운티 팰리세이즈 파크의 공립 도서관 옆 비

2. 2012년 6월 16일
   뉴욕 주 낫소 카운티 아이젠하워 공원 비
※ 2014년에 2와 같은 장소에 또 두 개의 위안부 기림비가 증축

3. 2012년 12 월 1일
   캘리포니아 주 오렌지 카운티 가든글로브 비

4. 2013년 5월 8일
   뉴저지 주 버겐 카운티 해켄색 시 법원 옆 비

5. 2013년 7월 30일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글렌데일 시 중앙도서관 옆 공원 상

6. 2014년 5월 30일
   버지니아 주 페어팩스 카운티청 부지 내 비

7. 2014년 8월 4일
   뉴저지 주 유니언 시티 비

8. 2014년 8월 16일
   미시간 주 디트로이트 시티 사우스필드 한인문화회관 앞마당 상


위안부 비문에 공통된 키워드는 ‘일제의 강제연행(유괴)’, ‘위안부 20만명 이상’, ‘성노예’이지만, 이는 모두 역사적 사실에 반하는 ‘날조’이며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의 영향이 짙게 반영되어 있다. 

아사히는 미국 각 지역의 기림비·상 설치의 동향에 대해서 항의하는 일본계 사람을 소개하는 한편, 전시 중에 강제수용의 쓰라린 기억을 보유한 일부 일본인들(편집자주 : 태평양전쟁 당시에 미국은 백악관 행정명령 9066호를 통해 자국에 거주하는 10만 여명에 달하는 일본계 미국인을 이유불문하고 이들 대부분을 강제수용소에 가뒀다.)이 “같은 전쟁 피해자”로서 호의를 갖고 있다고 기림비·상 설치에 공감하는 기사를 게재하고,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를 계속 확산시키고 있다.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의 영향은 미국 역사 교과서에도 미치고 있다. 고교용 세계사 교과서 ‘전통과의 조우(Traditions & Encounters : A Global Perspective on the Past)’(맥그로힐(McGraw-Hill)社)는 위안부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놀라운 기술을 하고 있다.

일본군은 ‘위안소’ 내지 ‘위안시설’로 불리는 군용 성매매 업소에서 일을 시키기 위해 최대 20만 명에 이르는 14세부터 20세 사이의 여성을 강제로 모집하고, 징집하고, 제압하였다. 일본군은 천황이 부대에 보낸 선물이라며 이들 여성을 제공했다. 조선, 대만 및 만주 등과 같은 일본의 식민지와 필리핀 및 기타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일본 점령지 출신이다. 여성 대부분은 조선 및 중국 출신이다. 

일단 이 제국의 매춘 서비스에 강제 편입되면 ‘위안부’들로 하여금 하루에 20명에서 30명의 남자를 상대하게 했다. 전투지역에 배치되면서 이들 여성은 종종 군인들과 같은 위험에 직면해 상당수가 전쟁 희생자가 됐다. 다른 사람들도 도망치려 하거나 성병에 걸린 경우에는 일본 병사에 의해 살해됐다. 전쟁의 종결에 즈음하여 이 활동을 무마하느라 다수의 위안부가 살해되었다.


일본 외무성은 맥그로힐사와 집필자들에게 교과서 기술 시정을 요구했으나 거부당했다. 게다가 미국 역사학자 19명이 공동성명을 발표하고 일본 정부를 비판했다. 

재미국 일본인 자녀에 대한 괴롭힘이 6, 7세부터 고교생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확산되고 있다. 캘리포니아주, 뉴저지주만 해도 10건 이상 보고된 바 있다. 



독립검증위원회 보고의 결론(独立検証委員会報告の結論)

총론의 마지막에, 본 보고서의 결론을 미리 정리해 둔다. 

 1. 아사히는 위안부 문제를 80년대 이후 보도하기 시작했고 91년에 오사카 본사를 중심으로 대 캠페인을 벌였다. 일본의 다른 언론들은 아사히에 이끌려가는 형태로 점차 캠페인에 동참했다. 

  2. 여기에는 위안부 사냥 허위 증언, 여자정신대 제도에 대한 오보, 위안부 경력 왜곡, 자료 발견 기사에 대한 이미지 조작 등 많은 사실 오인이 포함되어 있었다. 재판 이해관계자에게 관련 기사를 쓰게 한 언론윤리상의 문제도 있었다. 

  3. 사실 오인이 다량 발생한 이유는, 아사히가 말하는 연구의 부족 때문만은 아니다. 아사히가 2차 대전 이전의 일본군에 대해 매우 편향된 시각을 갖고 있었던 점이 크게 작용했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이러한 편향된 시각은 오사카 본사가 91년에 행한 연재기획으로 확산되어 92년 1월 이후에는 도쿄 본사도 그에 동조했다. 

  4. 그 결과 1992년 1월 12일을 전후하여 “일본군이 여자정신대의 이름으로 조선 여성을 위안부로 만들기 위해서 강제연행을 했다”고 하는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가 완성됐다. 한국 신문, 미국 신문은 그 프로파간다에 올라타고 92년 1월부터 위안부 강제연행을 정력적으로 보도했다. 한국 신문은 그 해 1월 14일에 “12살 초등생까지 위안부로 삼았다”라는 오보를 내고 한국 내에서 프로파간다를 정착시켰다. 

  5. 일본 국내에서는 1992년 이후 아사히 비판이 개시되고, 96년경부터 산케이(産經), 요미우리(讀賣)도 아사히 비판에 참가하여 대논쟁이 벌어졌다. 그 결과 아사히의 프로파간다가 사실이 아님이 증명되었다. 그런데, 아사히는 97년 3월에 본질은 강제연행이 아니라는 ‘광의의 강제성론’을 펴면서 자사가 92년 프로파간다를 퍼뜨린 책임을 회피했다. 

  6. 아사히가 2014년에 이르기까지 사실 오인 기사의 취소와 정정을 하지 않은 것, 그리고 외무성이 사실에 입각하여 반론을 하지 않은 것 등으로 인해 한국,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에서는 아직도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가 사실인 것처럼 확산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각지에 위안부 기림비·상이 설치되고 역사 교과서에도 프로파간다가 그대로 기술되어 있다. 한국 신문들은 최근까지도 요시다 세이지의 증언을 강제연행의 증거로 꼽은 바 있다. 

  7. 아사히는 2014년 8월 검증특집에서도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를 국내외에 퍼뜨린 책임을 인정하지 않았다. 또, 제3자위원회도 프로파간다가 지금도 세계로 퍼져, 일본의 명예를 손상시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사히의 책임을 회피시켜주는 논의로 시종일관했다. 아사히와 제3자위원회 위원은 위안부 문제가 국제적으로 여성인권 문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강조하였지만, 미국 주요 신문에서는 그런 시각은 일체 없고, 위안부 제도를 ‘일본 특유의 시스템(uniquely Japanese system)’으로 다루는 기사가 대부분이었다. 

  8. 다만 제3자위원회는 아사히에 의한 97년 ‘광의의 강제성’ 논란은 ‘논의 바꿔치기’라고 핵심을 언급하는 비판을 했다. 이는 아사히를 비판하는 우리 전문가의 의견과 일치하는 비판이다. 그러나 아사히는 그 비판을 무겁게 받아들인다면서도 실제로는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9. 우리 독립검증위원회는 아사히에 대해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와 97년 ‘논의의 바꿔치기’가 어떤 방식으로 만들어졌는지, 기자, 데스크, 담당부장, 사장들의 책임을 실명을 들어 명확히 하길 요구한다. 또 아직도 국제사회에 만연해 있는 프로파간다를 없애기 위해 아사히가 응분의 부담을 질 것을 요구한다. 

  10. 일본 정부에 대해서도 국제사회에 확산되고 있는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정중한 반론을 조직적이고 계속적으로 실시할 것을 요구한다. 이를 위해 정부 내에 전문 부서를 설치하고 민간 전문가의 의견을 집약하기 위한 전문가 회의를 설치할 것을 요구한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