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마카오당국-BDA 조직적 반발...북 자금송금 지연



마카오 방코델타아시아(BDA)가 미국의 돈세탁 은행 지정에 대해 법률 소송 수순에 착수함에 따라 BDA의 `몽니'가 북한자금 송금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

BDA는 16일 미 재무부에 보낸 청원서를 통해 미국이 구체적 사실이 결여된 의혹을 가진 채 정치적 동기에 의해 조치를 취했다고 주장하며 법적 대응 수순에 돌입했다.

이번 청원은 마카오 정부에서 파견돼 BDA 운영을 맡고 있는 경영관리위원회가 주관한 것으로 보여진다. 사실상 마카오 정부, 나아가 중국 정부의 입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BDA 대주주인 스탠리 아우(區宗傑) 회장도 이번주중 중국 정부와 교감하에 추가 청원을 낼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미국의 돈세탁은행 지정이 철회되지 않을 경우 본격적인 법률소송에 들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BDA는 돈세탁 은행 지정 이후 HSBC 등 국제 은행과의 거래가 직간접적으로 중단되는 등 영업상 타격이 현실화되자 마카오 당국과의 협조하에 조직적 저항을 하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실제로 현재 BDA 관련 자금의 해외송금이 전면 차단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콜린 매카스킬 대동신용은행 대외협상 대표는 "현재 문제는 BDA 자금을 송금받겠다는 은행을 찾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라며 700만달러 자금이체의 애로를 토로한 바 있다.

외국계 은행의 합법적 자금으로 분류되고 있는 대동신용은행 700만달러의 해외 송금조차 어려운 상황이라면 BDA가 당하고 있는 국제거래 불이익의 수위를 미뤄 짐작할 수 있다.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BDA는 도산할 가능성이 높다.

마카오 당국은 특히 BDA가 정치적 흥정의 희생물이 됐다는 속내를 숨기지 않고 있다.

에드먼드 호(何厚화<金+華>) 마카오 행정장관은 지난 12일 방문중이었던 말레이시아에서 "현재 BDA 사건은 단순한 금융사건이 아니라 중국-미국-북한간의 외교관계 문제"라며 "중국 정부와 적극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중국측도 BDA만 `억울하게 당했다'는 마카오 당국의 호소를 무시할 수 없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친강(秦剛)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최근 BDA 처리 원칙으로 북핵 6자회담의 원활한 진행 외에도 마카오의 금융 및 사회안정 유지를 들면서 "마카오 정부의 합리적이고 합법적인 입장과 이익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말한 바 있다.

이는 최근 BDA측이 북한자금 인출 지연을 무기로 삼아 미국에 BDA에 대한 돈세탁 은행 지정을 철회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는 설과도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마카오 당국과 BDA는 북한의 자금인출을 늦춰 미국이 강력하게 바라고 있는 북한 핵폐기 프로세스에 진입하지 못하도록 압박요인을 가중하면서 BDA 제재조치 철회를 미국에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이 과정에서 마카오측이 오랜 관계를 맺어온 북한에 돈인출을 늦춰줄 것을 요청했고 북한도 이를 양해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지 소식통은 "마카오측이 북한측의 양해하에 자금인출을 늦추면서 미국측에 BDA 제재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고 한다"며 "북한자금 문제 외에 BDA 자체 문제가 불거지면 북한의 자금인출이 늦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간단하게 풀릴 것 같았던 북한자금 반환 문제가 송금에 따른 기술적 난제 외에도 BDA 자체를 둘러싼 새로운 변수로 인해 또다시 수렁으로 빠져들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마카오=연합뉴스) jooho@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