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금융제재 해제문제를 통해 "적대국과 벌이는 핵협상의 실효성을 가려보고" 있으며, 북한의 요구는 미국이 방코 델타 아시아(BDA) 문제의 해결을 통해 "종전과 같이 자금을 자유롭게 송금할 수 있게 만들라는 것"이라고 조선신보가 13일 보도했다.
재일본 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로 북한의 대외 입장을 대변하는 것으로 알려진 조선신보는 '대미 핵협상의 실효성에 대한 검증'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조선(북한) 국내에서는 (대북 금융제재 해제를 위해) 미국이 제 할 바를 해야 한다는 여론이 고조되고 있지만 6자회담에서 확인된 시간표의 차질에 대해 초조감은 없다"며 "특히 경제부문에선 시간이 걸려도 금융제재 해제문제에서 끝까지 원칙을 관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고 전했다.
신문은 미국의 BDA 자금 제재 목적은 "조선의 국제적인 금융거래를 차단하는 데 있었다"며 "조선측도 금융제재 해제를 BDA에 있는 2천500만달러의 자금 반환에 국한된 문제로 보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신문은 "조선은 과거 수십년간 미국을 비롯한 적대국들의 봉쇄속에 경제를 건설해왔다"며 "누구나 제재로 인한 시련과 난관을 실감으로 간직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BDA 문제의 "핵심을 외면한 애매모호한 결착은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문은 "조선은 경제문제를 푸는 데 국가적 힘을 집중하고" 있는데 "미국의 금융제재가 여기에 장애를 조성하고 있다"고 말하고 이 때문에 "특히 경제계 인사들은 (BDA 문제에서) 완강한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문은 BDA에 대한 제재 이후 북한의 수출입 기업과 중공업 부문에서 겪고 있는 대외 송금과 자재.설비 수입의 어려움을 사례를 들어 설명했다.
신문은 "경제적 희생을 무릅쓰고 단행한 핵시험을 전폭 지지한 국내(조선) 여론은 지금 비핵화 과정의 시작에 즈음해 과거와 일선을 긋는 조치를 요구하고 있다"며 "미국이 대조선 적대시 정책을 포기하지 않는 한 핵무기는 포기할 수 없다"고 말하고 금융제재 해제 문제를 미국의 '적대시 정책'의 포기 여부에 대한 시금석으로 보고 있음을 시사했다.
(서울=연합뉴스) hanarmdri@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