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핵시설 폐쇄-6자회담 재개일정도 영향



(서울=연합뉴스) 이우탁 기자= "진짜 싸움은 이제부터다."

방코델타아시아(BDA) 문제가 사실상 최종 해결국면을 넘어서면서 북한의 핵시설 폐쇄를 둘러싼 관련국과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 당국자들은 북한의 '지연전술'을 우려하는 기색이다.

특히 IAEA가 18일 발표한 성명에서 영변 핵시설 폐쇄 절차 등을 논의할 실무대표단을 `북한의 요청에 따라' 내주에 북한에 보낸다고 발표하고 북한이 7월 하순에야 영변 핵시설 폐쇄를 마무리하겠다는 외신보도가 전해지자 긴장하는 모습까지 보였다.

러시아의 인테르팍스 통신이 인용한 북한 소식통의 발언이 북한 수뇌부의 뜻을 대변하고 있을 경우 7월 후반이나 돼야 영변 원자로의 폐쇄가 현실화되며 6자회담은 7월말께나 열릴 것으로 보인다.

이는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차관보나 한국의 당국자들이 차기 6자회담의 일정과 관련해 "7월초에는 열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 것과 사뭇 다른 얘기다.

한.미 양국은 핵시설 폐쇄에 많은 시간이 걸리지는 않을 것이라며 핵시설이 폐쇄된 뒤 6자회담을 개최하겠다는 입장을 누차 밝혀왔다. 그 예상 시기가 7월 초인 셈이다.

그러나 IAEA와 외신 등을 통해 흘러나온 북측의 이런 `지연' 움직임에 따라 한.미 양국은 북한이 핵시설을 폐쇄하는 시점에 5만t의 중유를 제공하기로 방침을 정하는 등 북한의 행동을 앞당기기 위한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는 후문이다.

하지만 북한 땅에 있는 영변 핵시설의 가동중단이나 폐쇄를 하기 위해서는 북한의 협조가 필수적인 만큼 일단 '용인할 수 있는 수준'의 상황 연기는 수용하기로 입장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송민순 외교통상부 장관이 국회 통외통위에 참석, IAEA 사찰단 방북 시점에 대해 "날짜를 정해서 말할 수는 없지만 (IAEA 실무대표단이) 협의하고 나왔다가 다시 들어가야 하니 7월 중.하순으로 보고 있다"고 말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된다.

하지만 한.미 양국은 북한이 7월 하순을 넘어 8월까지 초기조치 이행을 지연시키려 할 경우 이를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결의를 다지고 있다.

정부 당국자들은 7월 중.하순께 IAEA 사찰단이 들어가면 곧바로 폐쇄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IAEA와의 협의에 주력하겠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21일 방한하는 칼루바 치툼보 IAEA 안전조치국장과 우리 당국자들간 협의 내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임성남 북핵외교기획단장은 "치툼보 국장과 만나 2.13 합의에 명시된 조치가 신속히 이뤄지는 방향으로 IAEA와 북한이 협의하길 바란다는 뜻을 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북한과 이에 맞서는 한국과 미국의 전술싸움은 내주에 열리는 북한과 IAEA간 협의 결과를 지켜보면 향방을 가늠할 수 있을 것이라는게 외교가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이런 가운데 6자회담의 의장국 중국의 역할이 새삼 주목된다. 힐 차관보는 한국 도착에 앞서 베이징(北京)에서 우다웨이(武大偉) 외교부 부부장과 만나 차기 6자회담 재개일정 등을 협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의 구상과 함께 내주에 진행될 북한과 IAEA 협의 결과에 따라 핵시설 폐쇄 시점은 물론 차기 6자회담 개최일정도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한 외교소식통은 "BDA 문제가 해결된 이후 예상됐던 북한과 한국, 미국간 신경전이 본격화된 느낌"이라면서 "2.13합의 이행 초입단계에서 나타난 이런 양상이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이며 그만큼 험난한 여정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lwt@yna.co.kr

(끝)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