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재 자유총연맹 총재의 "노무현 정권이 삼성의 8천억원 사재를 관리했다"는 19일 서울역 집회 때의 발언과 관련, 당시 총리를 역임한 이해찬 전 총리가 트위터에서 "서울역 집회 때 김경재 자유총연맹의 발언 영상이나 녹음을 찾고 있습니다"라고 긴급 공지를 올렸다.
노무현 대통령은 2006년 1월 4일 경제계 신년인사회에서 "올해는 걱정스러운 얘기도 좀 드리겠다. 다니면서 도와주십시오 하고 간곡히 부탁드리는 일도 좀 더 많아질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양극화 문제의 심각성을 지적하면서 “소득의 격차가 가장 핵심적인 격차”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의 재정 개입에 의한 재분배도 좀 부족하다고 생각하지만 함부로 손댈 수 있는 사회적 여건도 아니다”며 “이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기존의 생각을 뛰어넘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고 대통령과 정치권의 결단이 필요하다”며 기업들을 압박했다.
그러자 삼성은 바로 약 열흘 뒤 이해찬 총리의 친형 이해진을 삼성 사회봉사단 사장으로 임명한다. 재계 역사상 사회봉사 관련 사장이 임명된 건 처음이라, 당시 재계 전체가 뒤숭숭했다. 이해진 사장은 취임 일성으로 노대통령이 언급한 그대로 "삼성이 양극화 해소에 나설 것"이라 선언한다. 그리곤 약 3주 뒤 2006년 2월 7일, 에버랜드 전환사채 건으로 몰려있던 삼성은 이건희 회장 일가가 8천억원의 사재를 내놓겠다고 발표한다.
역시 바로 2주 뒤인 2월 20일 노무현 대통령은 삼성이 사회에 내놓겠다는 8천억원의 운영과 관련 "정부가 나서서 과정과 절차를 관리해 줄 필요가 있다"며 "예를 들어 빈곤세습과 교육기회의 양극화를 막기 위해 소외계층과 低(저)소득계층에 대한 지원에 사용되는 방향이라면 사회 분위기와도 맞을 것"고 강조했다. 사실상 삼성의 사재를 노대통령이 신년하례식에서 언급한 그대로 직접 용처까지 지정해주며 관리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바로 다음날인 21일 당시 변양균 기획예산처 장관은 "삼성의 사회 기금을 정부가 관리하게 되는가"라는 열린우리당 노웅래(盧雄來) 의원의 질문에 "방침이 결정된 것은 아니지만 정부가 교통정리를 할 필요가 있다면 우선 주무 부처를 정해야 한다"면서 노대통령의 뜻에 동조했다.
당시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헤럴드경제와의 인터뷰에서 “노 대통령이 언급한대로 청와대와 총리실이 출연금 처리를 민간에서 논의할 수 있도록하는 틀이나 조직체 구성을 지원하게 될 것”이라며 “‘논의틀’로는 사회적으로 명망있는 대표 몇분을 선임해 민간위원회 또는 팀(태스크포스)을 만드는 방안이 유력하다”고 밝혔다.
즉 노무현 정부에서는 이해찬 총리가 중심이 되어, 삼성 측 통로를 이해찬 총리의 친형인 이해진 사회봉사단 사장이 이건희 일가의 8천억원 관리를 맡게 된 셈이다.
그러나 당해 3월 15일 이해찬 전 총리는 주가조작으로 실형을 산 영남제분의 류원기 회장, 불법정치자금 혐의로 기소되어 벌금 3천만원을 확정된 K회장, P회장 등 부산의 비리 기업인들로부터 접대성 골프를 한 것이 적발되어, 낙마하고 만다.
그뒤 한명숙이 후임 총리로 들어왔고, 결국 8천억원 대의 삼성고른기회재단의 초대 이사장은 한명숙 총리와 연이 깊은 신인령 전 이화여대 총장이 맡게 되었다.
한편 자유총연맹은 김경재 총재의 연설 영상을 모두 녹화, 편집을 마치면 바로 공개할 예정이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