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아카데미워치 (학술/대학)


배너

인명진 목사 샌프란시스코 신학원 박사논문 표절 문제 해설 (II)

피표절문헌 ‘1970년대 노동현장과 증언’(1984)으로 정리해본 인명진 목사 박사논문 표절 문제



(8) 2차 문헌 표절, 번역표절

아래는 인명진(1986)의 14페이지 부분, NCCK(1984)의 63페이지 부분, 김성진(1982)의 63페이지 부분에 있는 도표다.



인명진(1986) 11페이지에 있는 도표는 마치 김성진(1982)에서 가져온 도표인 것처럼 출처표시가 되어 있다.

하지만, 인명진(1986)에서의 도표는 실제로는 김성진(1982)의 도표가 아니다. 해당 도표는 NCCK(1984)에서 김성진(1982)의 도표를 새로이 인용·가공한 것을 그대로 가져다 쓴 것이다.

특히, 1차 문헌인 김성진(1982)의 도표에서는 162.6 으로 표기된 부분이 있으나, 2차 문헌인 NCCK(1984)의 도표에서는 163.6 으로 오기한 바, 오기한 163.6 을 인명진(1986)이 버젓이 쓰고 있다. 김성진(1982)의 도표를 직접 보지 않고, NCCK(1984)의 도표만 보고서 베끼다가 이같은 오류를 범한 것이다.

여기서 인명진(1986)은 출처표시를 김상진(1982)으로 제시했지만, 실제 관련 해설 부분은 NCCK(1984)의 것을 그대로 번역해 옮기는 식으로 표절을 했음도 드러난다.

Despite a considerable degree of confusion and disputes this period displayed the most liberal and active labour movement than any other time in its history. In addition the number of trade unions and the menbers of union increased dramatically during this period as illustrated in the table below

(상당한 정도의 혼란과 분쟁이 있었음에도/ 이기간은 보여주었다/ 자장 자유롭고 활동적인 노동운동을/ 다른 어느 때 보다도/ 노동운동 역사에 있어서/. 또한 노동조합과 노조원의 수는 극적으로 증가했다./ 이 기간동안/ 아래의 표에 설명되어 있듯이/) 



(9) 직접인용 미처리 번역표절

아래는 인명진(1986)의 15페이지 부분, NCCK(1984)의 43페이지 부분이다.



인명진(1986)의 내용은 기본적으로 NCCK(1984)로부터 가져왔다. 상단 부위는 출처표시조차 없이 NCCK(1984)의 내용을 번역만 해서 그대로 옮긴 번역표절이며, 하단 부위는 출처표시(각주 17)는 하였으나, 1:1로 완전히 동일한 내용을 그대로 옮겼음에도 불구하고 인용부호(“”), 혹은 들여쓰기를 하지 않은 직접인용 미처리 번역표절이다. 

Eventually the Second Republic was a stage on which the conservative power who wanted to limit the April Revolution to a mere change of power in the Government and the student power who wanted to make the April Revolution the starting point of modern democracy were in ceaseless conflict, resulting in no constructive development.

(결국 제2공화국은 단계였다/ 보수세력과/ 4월 혁명을 정권의 단순한 변화로 한정짓기를 원하는/  학생세력은/ 4월 혁명을 현대 민주주의의 출발점으로 삼기를 원했던/ 끊임없이 충돌하는 단계/ 어떠한 건설적 발전도 결과적으로 없었던/) 

Such drifting of situation without any change seemed 'disorder'to the public. Eventually some military power led a military coup which changed the politics and economy of Korea dramatically. 

(어떠한 변화도 없는 이러한 상황의 변화는 사람들에게 보였다/ ‘무질서’로/ 결국 군부세력은 쿠데타를 이끌었다/ 한국의 정치, 경제를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10) 번역표절

아래는 인명진(1986)의 15페이지, 16페이지 부분, NCCK(1984)의 45페이지 부분이다.



인명진(1986)의 내용은 기본적으로 NCCK(1984)로부터 가져왔음을 알 수 있다. 제한적으로 출처표시(각주17)를 했지만, 각주 번호를 지나쳐서 인용 후에도 계속 NCCK(1984)에 있는 내용을 베껴서 이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Furthermore the policies such as 'development first', 'Reunification last' and economic development were closely related to the international situation, that is, a 'New Cold War' structure called 'competition in peaceful co-existence' between USA and USSR. This 5. 16 Military Government did not initiate the modernzation policy based on the determination to non-align with any superpowers engaged in Cold War and to establish a nationalism but it rather focused its policy on adapting to the new changes in the 

(게다가 ‘선성장, 후통일’과 경제개발과 같은 정책은 밀접히 관련이 있었다/ 국제 정세와/ 즉 ‘신냉전’ 구조/ 미국과 소련 간의 ‘평화공존 경쟁’ 이라 불리는/. 이 5.16 군사 정부는 현대화정책을 주도하지 않았다/ 냉전시대에 있어서 어떠한 강대국으로부터도 동맹을 맺지 않고 해나가겠다는 것과/ 민족주의를 수립하기 위한 결정에 기반한/ 군사정부는 오히려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는 정책에 초점을 맞추었다./) 

structure of international politics. In other words, this 5. 16 Military Government showed little effort to overcome the division and even less concern to alleviate a teni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rather it proposed a policy to overpower the north with its economic development. They allowed enormous national defence expenditure which made the provision of national capital for modernization very difficult. As a result, the Government promoted the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foreign capital. Particularly the grant-type aid, public and private loans fellowing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with Japan has later become the first stepping stone of economic pojlicy which began to settle in Korea from the second half of the 1960s has become the primary condition which prescribed the future Korean economy. 

(국제정치의 구조 / 다시 말하면 이 5. 16 군사정부는 거의 노력을 보여주지 않았다/ 분단을 극복하려는/ 심지어 남북간의 긴장을 감소시키려는 어떠한 관심도 보여주지 않았다/ 오히려 경제적 발전을 통해서 북쪽보다 힘을 키우려는 정책을 제시했다./ 군사정부는 막대한 군사비용을 허용했다/ 근대화를 위한 국가 자본을 확보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그 결과 정부는 촉진했다/ 경제개발을/ 외국자본의 도입을 통한/ 특히 보조금 형태의 원조와 공적, 사적 대출은 / 일본과의 관계 정상화 이후의/ 후에 경제정책의 시금석이 되었는데./ 1960대 후반기부터 한국에 정착하기 시작한/ 이러한 외자도입은 기본 조건이 되었다/ 그 이후의 한국경제를 규정하는/)



(11) 번역표절

아래는 인명진(1986)의 16페이지, 17페이지 부분, NCCK(1984)의 48페이지 부분이다.



인명진(1986)의 내용은 기본적으로 NCCK(1984)로부터 가져온 것이다. 제한적으로 출처표시(각주 18)를 했지만, 각주 번호를 지나쳐서 인용 후에도 계속 NCCK(1984)에 있는 내용을 베껴서 이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역시 번역표절이다.

This economic development plan adopted low-wage and low crop-price policy as its basis. The idea of low wage policy can be summarised in 'development first', 'distribution last', In an effort to promote economic development policy with a rapid inflow of foreign capital in a situation where for 20 years after the independence the Korean economy was dependent on foreign aid,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nd expand small and insigificant national enterprises to a larger and internationally competitive industries. Furthermore, at an international level the only factor which Korea can compete was a cheap labour. Hence in order to accomplish export-drive policy and to enlarge the scale of industry the low wage policy had to be strongly enforced. The same line of policy as the low-wage policy is the low price policy for crops. 

(이 경제개발 계획은 채택하였다/ 저임금 및 저가 농산품 정책을/ 기본적으로/. 저임금 정책의 개념은 요약될 수 있다/ ‘선성장, 후분배’로/. 경제개발 정책을 추진하는 노력에 있어서/ 빠른 외자도입을 가지고/ 독립 후 20년 동안 한국경제는 외국원조에 의존한 상황 하에서/ 경제정책에 있어서 필수적이었던 것은/ 작고 중요치 않은 국영기업을 더 크게 하고 국제 경쟁력있는 기업으로 발전시키고 확장하는 것이었다./ 더욱이 국제적 차원에서 유일한 요소라 한다면/ 한국이 경쟁력 있는/ 값싼 노동력이었다./ 게다가 수출주도정책을 환수하고 산업의 규모를 크게하기 위해 저임금 정책이 강력이 집행되어야 했다./ 저임금 정책과 동일한 정책선상에 있는 것이 저가 농산물 정책이다/.) 



(12) 2차 문헌 표절(재인용표절), 직접인용 미처리 번역표절 

아래는 인명진(1986)의 17페이지 부분과 NCCK(1984)의 48페이지 부분이다.



인명진(1986)은 여기서 FKTU 자료를 출처(각주 19)로 제시하고 있으나 실제 출처는 NCCK(1984)일 공산이 크다. 내용은 FKTU 자료에 대한 NCCK(1984)에 있는 설명과 동일하다. 단정할 수는 없으나 이 부분도 NCCK(1984)의 문장과 도표를 베껴옮긴 것으로 인명진(1986)이 작성되었을 혐의가 짙다. 참고로, FKTU는 한국노동조합총연맹(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의 약자다. 이 부분은  출처표시는 되어있으나, 완전히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 인용부호(“”) 혹은 들여쓰기가 되어 있지 않은 직접인용 미처리 번역표절이다. 

The fact that this low crop price policy has reduced the income of farmers and the rural population is apparent in the number of employment in the farming and fishing sector which has decreased 11. 8% from 63.1% to 51.3% in 1963 and 1969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percentage of income has decreased from 44.2% in 1963 to 28.7% in 1969 which meant the decrease in the comparative income from 0.67 to 0.56.

(사실/ 이 저가 농산물 정책이 농민들의 소득과 농촌인구를 감소시켰다는 / 분명히 나타난다/ 농어촌 부문에 있어서 고용률 감소로/ 1963년과 1969년에 각각 63.1%에서 51.3%로 11.8%감소/ 또한 소득의 비율은 감소했다/ 1963년에 44.2%에서 1969년에 28.7%로/ (타부문과의)비교소득이 0.67%에서 0.56%로 감소함을 의미하는/)



(13) 번역표절

아래는 인명진(1986)의 17페이지 부분과 NCCK(1984)의 49페이지 부분이다.



아래는 인명진(1986)의 영문 내용을 한국어 내용으로 옮긴 것이다. 인명진(1986)의 내용은 기본적으로 NCCK(1984)로부터 가져온 것임에도 출처표시가 이뤄지지 않았다.

Such labour reserve to promote low wage system coincided with the adoption of oppressive attitude toward the labour movement by 5.16 Military Government and Park Administration of the Third Republic. The 5.16 Military Government declared the Energency Decree on January 18, 1974, claiming the existence of potential social disorder, under which the Government arrested several hundreds trade union leaders. 

(그러한 산업 예비군은/ 저임금 체계를 촉진하기 위한/ 억압적인 태도의 채택과 일치한다/ 노동운동에 대한/ 5.16 군사정부와 제3공화국의 박정희 정부에 의한/. 5.16 군사정부는 선언했다/ 긴급조치 법령을/ 1월 18일 1974년/ 잠재적  사회 무질서의 현존을 주장하면서/ 정부는 수백 명의 노조 간부들을 체포하면서)



(14) 2차 문헌 표절(재인용표절) 혐의

아래는 인명진(1986)의 18페이지 부분과 NCCK(1984)의 52페이지 부분이다.



인명진(1986)의 내용은 기본적으로 NCCK(1984)로부터 가져온 것이다. 인명진(1986)에서는 출처를 김성진(1982)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NCCK(1984)에 있는 문장과 표를 통해서 인명진(1986)이 작성되었을 혐의가 짙다. 

unions were reorganized under the instruction of the Government. As a result, the activities of trade unions decreased greatly and the menbership of the trade union which reached 320,000 during the Second Republic in 1960 has decreased to 100,000. This number was slowly increased to 320,000 in 1966. Therefore it took 6 years to reach the level that was achieved in 1960. However, if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workers are considered, the total percentage of member of the organization in the 1960s cannot exceed the numbers in 1960 alone.

(노동조합은 재편되었다/ 정부의 지도에 의해/ 그 결과 노조의 활동이 크게 줄어들었고/ 노조원는/ 1960년 제2공화국 시기에 320,000에 달했던/ 줄어들었다/ 100,000으로/. 1966년에 320,000까지 서서히 증가했던 노조원 수는/. 그러므로 6년이 걸린 셈이다/1960년에 도달했던 수준에 이르는데/ 그러나 노동자의 수가 빠르게 증가한 것을 고려한다면 1960년대 노조수의 전체 퍼센트지는 1960년 한해의 노조수보다 넘지 않는 것이다./)



(15) 직접인용 미처리 번역표절

아래는 인명진(1986)의 19페이지 부분과 NCCK(1984)의 63페이지 부분이다.



인명진(1986)의 내용과 NCCK(1984)의 내용은 완전히 동일하다. 인명진(1986)에서 각주 22 로 출처표시는 하였으나 완전히 동일한 내용이므로 인용부호(“”)를 붙이거나 들여쓰기와 같은 직접인용처리가 이뤄졌어야 한다. 아니면 간접인용으로서의, 직역을 넘어선 말바꿔쓰기나 재구성 번역을 해야 했음에도 이를 하지 않은, 직접인용 미처리 번역표절이다.

The Park Administration have enacted the 'Foreign Capital Inducement Act' in 1966 which granted special privileges to foraign capital or foreign investment in Korea. When the Government found the level of foreign capital investment and collaboration unsatisfactory with grant of legal privileges, it established Kumi Industrial Complex in 1969 and Masan Free Export Zone in 1979 and advertised cheap and abundant labour to foreign capitals. Furthermore, as a step to insure continued provision of cheap labour the Park Administration enacted a special law 'Special Temporary Act Governing the Trade Union and Labour Dispute Arbitration in Foreign-Capital Invested Industries', on January 1st, 1970. 

(박정희 정부는 시행했다/. ‘외국인 투자 촉진법’을/ 1966년에/ 한국에 대한 외국 자본 혹은 외국투자에 대해 특권을 부여하는/. 정부가 외국자본의 투자와 합작 수준이 만족스럽지 않은 것을 알았을 때, 정부는 설립했다/ 1969년 구미산업공단과 1979년 마산자유무역지대를/ 그리고 싸고 풍부한 노동력을 외국자본들에게 알려주었다./ 더욱이 저렴한 노동력의 지속적인 공급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박정희 정부는 시행했다/ 특별법 ‘외국인 투자기업의 노동조합과 노동분쟁 규정에 관한 임시 특례법’을 / 1970년 1월 1일에/.)



(16) 직접인용 미처리 번역표절

아래는 인명진(1986)의 22페이지 부분과 NCCK(1984)의 440페이지 부분이다.



인명진(1986)의 내용과 NCCK(1984)의 내용은 완전 동일하다. 비록 출처표시(주 29)는 하였으나, 1:1로 완전 동일한 내용이므로 인용부호(“”)를 붙이거나 들여쓰기와 같은 직접인용 처리가 이뤄졌어야 한다. 아니면 간접인용으로서의, 직역을 넘어선 말바꿔쓰기, 재구성 번역을 해야 했음에도 이를 하지 않았다. 본문에서 8개 사업장은 82개 사업장의 오기이다. 

At the end of 1972 the unpaid wages owing to 20,000 workers from 8 factories reached 370 million Won. This tended to decrease until 1975 followed by a gradual increase from 1976 onwards. This amount increased dramatically to 1.1 billion Won in 1977, 13.6 billion Won in May 1979 and to a enormous amount of 34.9 billion Won in October the same year.

(1972년 말 8개 공장 2만 명의 근로자들의 미지급 임금은 3억 7000만원에 이른다./ 이것은 1975년까지 줄고/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1976년 이후로/ 이 금액은 극적으로 증가하였다/ 1977년에 11억원, 1979년 5월엔 136억 원, 그리고 같은해 10월 349억 원으로 엄청난 양으로/) 



(17) 번역표절

아래는 인명진(1986)의 24페이지 부분과 NCCK(1984)의 447페이지 부분이다.



인명진(1986)의 내용은 기본적으로 NCCK(1984)로부터 가져온 것이다.  NCCK(1984)에 대한 출처표시(각주 33) 하긴 했으나, 각주 번호를 지나친 후에도 옮긴 내용을 계속 이어가고 있다. 

But since from 1977 onwards the FKTU did not even release numerical statements giving details of annual collective agreements, contracts, details of unpaid wages, the occurrence of capital and labour disputes and the occurrence of strikes. 

(그러나 1977년 이후로 한국노총은 발표하지 않았다. 세부적인 수치들을/ 연례 단체협약, 계약, 미지급 세부 사항들, 자본 및 노동 분쟁 발생, 파업의 발생 등에 대한./)



(18) 번역표절

아래는 인명진(1986)의 67페이지 부분과 NCCK(1984)의 455페이지 부분이다.


인명진(1986)의 내용은 NCCK(1984)에서 거의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 이 경우 출처표시와 함께 거의 동일한 내용이므로 인용부호(“”)를 통해 직접인용 처리까지 해줬어야 한다. 논란의 여지가 없는 번역표절이다.

This declaration of workers' rights condemns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demands the guarantee of three fundamental workers' rights and the eight working hour day and adherence to the 'Labour Standard Act', condemns the corrupted trade unions, calls for the introduction of a minimum wage system and repeal of the starvation wages and condemns the deferral of workers' rights to promote foreign capital investment. This declaration demands an overall reform in the labour structures of that time. 

(이 노동자 권리선언은 규탄한다/ 인권침해를/ 요구한다/ 노동 3권과 하루 8시간 노동제와 노동기준법의 준수를/ 비난한다/  부패한 노동조합을/ 요구한다/ 최저인금제의 도입과 기아임금의 폐지를/ 비난한다/ 외국자본 투자 촉진을 위한 노동자의 권리를 유보함을/. 이 선언은 요구하다/ 전반적인 개혁을/ 그 당시 노동구조에 대한/.)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