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칼럼은, 일본의 유력 시사잡지 ‘겟칸세이론(月刊正論)’ 2023년 11월호에 게재된, 모라로지 연구소(モラロジー研究所) 교수이자 레이타쿠(麗澤) 대학 객원교수인 니시오카 쓰토무(西岡力)의 기고문 ‘위안부 거짓말을 상대로 한 투쟁 - 서울 집회의 의의(慰安婦の嘘との闘いソウル集会の意義)’를, 니시오카 쓰토무 교수의 허락을 얻어 완역게재한 것이다. (번역 : 요시다 켄지)
위안부 거짓말을 상대로 한 투쟁 - 서울 집회의 의의
(慰安婦の嘘との闘い ソウル集会の意義)
올해 9월 5일, 서울에서 위안부에 대한 강제연행, 그리고 ‘성노예설’을 부정하는 일본과 한국 양국의 학자, 활동가들이 모여 ‘제2회 위안부 문제 일한(日韓) 합동 심포지엄’을 열었다.
제1회 심포지엄이 지난해 11월 도쿄에서 열렸지만, 역사적 진실을 호소하는 우리들 입장의 일한(日韓) 합동 심포지엄이 한국땅에서 열린 것은 사상 처음이다. 서울의 중심부에 위치한 프레스센터에는 일본과 한국의 국기가 크게 그려진 현수막이 걸렸고, 개회식에서는 애국가 제창에 이어 기미가요 제창도 있었다. 약 백여 명의 청중은 대부분 한국인이었지만, 큰 소리로 기미가요를 제창을 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기립하여 일장기를 향해 서서 기미가요를 제창하던 와중, 필자는 그동안 일어난 여러 가지 사건들이 떠올랐다. 감개무량했다.
2005년 3월, 대한민국의 애국보훈 수호단체인 ‘국민행동본부’ 주최로 북조선의 군사적 도발에 항의하고, 인권침해를 규탄하는 대규모 집회가 기획된 적이 있었다. 필자는 그때 수만 명의 청중 앞에서 납북자 문제에 대해 연설을 의뢰받아 집회의 참가가 예정되어 있었다. 사전에 신문에서 공개된 의견 광고에도 필자의 이름이 올랐었다.
그러나 당일 집회장소인 서울시 광장에 가보니 주최자 중에 한 사람이 내게 “신문광고가 나간 후에 ‘위안부 강제연행을 부정하는 일본 극우에게 연설을 맡기는 것이냐’면서 다수의 항의 전화가 왔습니다. 테러 예고도 있었습니다. 죄송하지만 니시오카 씨의 연설은 이번에 취소해야겠습니다. 행사장에는 선생님께 테러를 저지르겠다고 공연히 주장한 사람들도 온 것 같습니다. 조심해주세요”라고 말했다.
그 몇 년 후에 북조선을 둘러싼 국제 정세를 주제로 한 학술 심포지엄에 초대받아 서울에 갔을 때도 같은 경험을 했다. 테러 예고가 있었기 때문에 예정되어 있던 필자의 발표를 취소한다는 통보를 받았다. 행사장에 가보니 한 노인이 필자의 사진을 크게 확대한 것을 들고 있었다. 그리고 “이 사람(니시오카)은 위안부 강제연행을 부정하는 극악무도한 사람이다”라고 하면서 필자를 ‘지명수배자’라고까지 부르며 입구 근처에 앉아 매복하고 있었다. 그런 쓰라린 사건이 반복된 장소, 바로 그곳이 금번 기미가요를 제창한 한국 프레스센터이고 또 바로 옆이 서울시청 앞 행사장이었다.
2006년 5월에는 이런 일도 있었다. ‘북조선에 의한 납치피해자 가족 연락회’(가족회)와 ‘북조선에 납치된 일본인 구출을 위한 전국협의회’(구출회) 주최로 납치 문제와 인권 문제 해결을 위한 일본과 한국의 연대 집회를 도쿄에서 열었다. 북조선에 납치된 피해자 가족과 한국의 지식인들, 그리고 국회의원 두 사람을 초청했다. 그런데 이번에는 한국의 좌파 신문과 방송이 떠들기 시작했다. 방일한 국회의원들에 대해서 “역사수정주의 극우 학자 니시오카의 초청으로 방일한 친일파”라고 비난하는 캠페인을 시작한 것이다.
그리고 그해에는 앞서 언급한 ‘국민행동본부’가 북조선을 향해 풍선을 이용한 대북 전단을 보내는 활동을 시작했었다. 이 사실을 알게 된 필자는 일본에서 북조선의 인권 문제에 관심이 있는 단체를 모아 연합체를 결성했다. 그리고 납치되어 귀국한 재일동포들의 인권상황의 진실 등을 북조선 주민들에게 알리고, 정보제공을 요청하는 전단지를 작성하고, 방한하여 함께 전단지를 날리는 활동에 참여하게 되었다. 국민행동본부는 “일부러 일본에서 와줬으니까“라며 필자를 위해 일장기까지 준비해 주었고, 휴전선 근처에서 일본과 한국, 미국 3국의 국기를 들고 ‘풍선 전단지’를 날렸다. 그런데 이 사실이 인터넷 등을 통해 보도되자 ”일본 극우에게 휴전선 근처에 일장기를 올리게 하는 것이냐“ 등의 비판이 나왔다. 국민행동본부에 대해서 연일 항의 시위가 이어졌다. 그중 일부는 일부러 일본을 방문해 도쿄 도내에 있는 구출회 사무실 앞까지 와서 ”극우 니시오카를 규탄한다“고 항의하는 활동까지 했다.
이러한 사건들이 모두 필자가 북조선 인권 문제라는 일본과 한국의 공통의 주제를 놓고 한국의 보수단체와 연대를 강화하려고 할 때마다 반복됐었다. 결코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주제가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격렬한 저항과 방해를 받았던 것이다.
필자는 3년 전부터 북조선 세습독재와 중국 일당독재에 맞서 싸우는 일본과 한국의 자유보수주의자들의 연대를 주창했고, 그 주제로 단독 저서 ‘한국분열(韓国分裂)’을 양국에서 출간하기도 했다. 그러나 필자는 위안부 문제에 관해서는 ”강제연행은 없었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었기에 그것이 방해의 구실, 표적이 되어 연대를 할 수 없는 상태가 이어졌다. 그래서 이번에 위안부를 주제로 한 심포지엄이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리고, 발표자로 필자가 초청되어 함께 기미가요까지 부를 수 있었다는 것은 필자로서는 상상도 할 수 없었던 일이다. 그야말로 매우 기쁜 일이었다.
심포지엄에서는 이영훈(전 서울대 교수), 존 마크 램자이어(하버드대 교수, 영상참가), 스기하라 세이시로(杉原誠四郎, 국제역사논전연구소 회장) 등의 축사에 이어, 일본 측에서 니시오카 쓰토무(西岡力, 필자), 야마모토 유미코(山本優美子, 동 연구소 소장), 마츠키 구니토시(松木國俊, 동 연구소 선임연구원)가 발제를 했다. 그리고 한국 측에서는 류석춘(전 연세대 교수), 이우연(낙성대경제연구소 연구위원), 김병헌(국사교과서연구소 소장)이 발표를 이어갔다.
‘반일 종족주의’가 분기점
심포지엄에 대해 보고할 것이 많지만, 먼저 이영훈 선생의 축사를 소개하고자 한다. 그동안 한국에서 위안부 문제에 대해 어떤 변화가 있었나. 지금 위안부 문제는 어떤 문제를 지니고 있는가. 그런 것을 잘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 축사의 주요 부분을 소개하겠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발생한 지 벌써 32년입니다. 그 사이 한국과 일본의 우호 관계는 이 문제로 인하여 심각한 손상을 입었습니다. 적지 않은 세월이 흘렀음에도 한국에서는 아직도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성립해 있지 않습니다.
아직도 대부분의 한국인은 아시아·태평양전쟁기(1937-1945)에 일본의 경찰이나 헌병이 조선의 여자들을, 심지어 어린 소녀들까지, 강제로 납치하거나 연행하여 위안부로 삼았다고 알고 있습니다. 위안부에 관한 중·고등학교 역사 교과서가 그렇게 가르치고 있습니다. 초등학교에서는 위안부에 관한 특별 학습이 시행되기도 했습니다.
그렇지만 이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솔직하게 지적하여 날조된 역사라고 하겠습니다. 몇몇 용기 있는 학자들이 이러한 사실을 지적했다가 큰 봉변을 당하거나 시련에 봉착하였습니다. 몇몇 사람은 옛 위안부나 그들을 지원하는 단체로부터 명예훼손의 혐의로 고소를 당하기도 했습니다. 몇 사람은 그가 종사한 대학으로부터 추방되기도 했습니다. 사회적으로 아주 매장된 사람도 있었습니다.
이 같은 지난 30년간의 역사를 돌아보면 이 나라에서 진정한 의미의 근대과학으로서 역사학은 아직 성립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나라의 역사학은 아직도 전근대의 종족적 적대 감정에 깊이 사로잡혀 있습니다. 역사학뿐 아니라 모든 인문·사회과학이 그러합니다.
또한 이 나라의 무책임한 언론은 그러한 종족주의 언설을 끊임없이 증폭하고 재생산해 왔습니다. 지난 2019년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역사에서 하나의 큰 분기점이었습니다. 저는 동료 연구자와 함께 출판한 ‘반일종족주의’라는 책에서 일본군 위안소는 당시 민간에서 제도적으로 영위되던 공창제가 전시기에 전선으로 이동한 것임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위안소의 위안부는 민간 공창제의 창기나 작부와 다를 바 없는 신분이었습니다. 위안부가 모집되는 방식이나 경로는 민간의 창기나 작부가 모집되는 그것과 조금도 다를 바 없었습니다. 우리들의 이 같은 주장은 한국 사회에 큰 파문을 일으켰습니다. 그 파문은 지금도 사라지지 않고 점점 널리 이 사회의 구석에까지 퍼져 나가고 있습니다.
이래 지난 4년간 양국의 우호관계를 저해해 온 위안부 운동은 크게 위축되었습니다. 운동 주체인 정의연(구 정대협)의 회계 부정 사건도 큰 원인이었지만, 그에 못지않게 우리 국민이 위안부 문제의 진상을 조금씩 알기 시작했다는 것도 중요한 원인이었습니다.
그렇지만 우리가 가야 할 길은 아직도 멀고 험합니다. 위안부에 관한 교과서의 엉터리 서술이 고쳐져야 합니다. 전국에서 세워진 위안부 소녀상은 모두 하루빨리 철거되어야 합니다.
양국 정부가 합의하여 설치한 화해치유재단은 지난 문재인 정부에 의해 해산되었습니다만, 하루빨리 복구되어야 합니다. 동 재단의 남은 기금은 위안부 문제로 크게 손상을 입은 양국 간의 우호 관계를 복구하고 치유하는 사업에 쓰여야 합니다.
그를 위해선 지난 32년간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크게 오도된 과정과 전후 사정에 관한 국정조사 차원의 진상 규명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 모든 일이 언제 이루어질지 우리는 알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우리는 희망을 가지고 나아가야 합니다. 저는 오늘의 이 학술 심포지움이 그러한 길을 떠나는 한국과 일본의 동지들에게 큰 힘과 약속이 되리라고 믿고 있습니다.
여기서 이영훈 선생님이 2019년을 분기점이라고 한 부분에 주목해보자. 2019년 12월, ‘반일 종족주의’의 공저자이자 이날 한국 측 발표자 중 한 명인 이우연 씨는, 구 재한일본대사관 옆에 새워진 위안부 동상 근처에서, 매주 수요일마다 열리는 정의연 시위와 같은 시간에 그 바로 옆에서 위안부 동상 철거를 촉구하고 있다. 그는 위안부 동상 철거, 정의연 해체를 요구하는 시위를 혼자서 시작했다. 초창기에는 얻어맞고 발길질을 당하고 밀가루를 뒤집어쓰기도 했지만, 심포지엄의 같은 발표자인 김병헌 씨 등이 합류하면서 올해 들어서는 동원 인원이 정의연을 능가하는 날도 많아졌다.
2019년말 또는 2020년초 쯤, 이우연 씨로부터 졸저 ‘날조된 징용공 문제(でっちあげの徴用工問題)’(한국어판 제목 ‘날조한, 징용공 없는 징용공 문제’(미디어워치 출판사))를 한국어로 번역 출판하고 싶다는 연락을 받았다. 나는 “미친 생각 아니냐. 그런 짓을 하면 일본 극우파의 앞잡이라고 소문나서 큰일난다”고 반대했다. 하지만 이 씨는 ”위안부 문제나 노동자 문제에서 일본 보수파는 오랜 기간 역사적 진실을 밝히며 좌파의 거짓말에 맞서 싸워왔다. 한국에서 투쟁을 하는 우리들은 일본의 투쟁에서 배울 필요가 있다. 물론 위험부담이 있겠지만, 그보다도 니시오카 씨의 책을 한국어로 번역해 얻을 수 있는 이익이 더 크기 때문에 각오하고 있다“고 답했다.
2020년에는 ‘날조된 징용공 문제’가, 2021년에는 이 책에 이어서 졸저 ‘알기쉬운 위안부 문제(よくわかる慰安婦問題)’(한국어판 제목 ‘한국 정부와 언론이 말하지 않는 위안부 문제의 진실’(미디어워치 출판사))도 이우연 씨가 번역해 한국에서 출간됐다. 2022년이 되자 역시 이우연 씨의 번역으로 하타 이쿠히코(秦郁彦) 씨의 명저 ‘위안부와 전쟁터의 성(慰安婦と戦場の性)’(같은 이름으로 미디어워치 출판사에서 출간)의 한국어판이 출간됐다.
재판공전의 이유
이야기를 다시 심포지엄으로 돌려보자. 이날 가장 놀라웠던 내용은 류석춘 전 연세대 교수의 ‘위안부 문제의 사법화, 역사 논쟁에서 법적 다툼으로’라는 발표였다. 류 전 교수는 이영훈 선생의 책 ‘반일 종족주의’의 내용에 입각하여 진행했던 위안부 관련 대학 강의가 생존 위안부 할머니들에 대한 명예훼손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2020년 11월 검찰에 의해 기소돼, 지난해 11월에 1년 6개월의 징역형을 구형받은 바 있다.
그런데 정작 판결이 내려져야 할 올해 3월에 공판이 열리자, 재판장은 다음 기일을 제시하지 않은 채 판결의 ‘공전(空転)’을 선언했다. 그 이유로, 1) 비슷한 사건으로 반드시 참고해야 할 박유하 교수 사건(저서 ‘제국의 위안부’가 위안부 명예훼손에 해당한다며 기소된 사건, 계류 중)에 대한 대법원 확정판결이 나오지 않았기 때문. 박 씨의 기소도 대법원에 계류된 지 3년째를 맞고 있다. 2) 사건을 기소한 검사가 당연히 제출해야 할 ‘위안부 강제연행의 증거’를 아직 제출하지 않았기 때문. 이 두 가지 점을 들었다.
류석춘 전 교수는 ‘반일 종족주의’를 비롯한 필자와 하타 이쿠히코 씨의 위안부 관련 서적의 한국어 번역본을 포함해 강제연행설을 부정하는 수많은 자료를 법원에 제출해왔다. 그런 노력의 결과, 검찰은 류 씨의 주장을 무너뜨릴 만한 강제연행 증거를 제출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애초에 기소를 하지 말았어야 했고, 당장 무죄 판결이 나와야 하는데, 검찰도 법원도 한국 사회에 팽배한 ‘반일정서’에 휘둘려 진실을 직시할 용기가 없는 것이다.
반일 세력의 지원
심포지엄에서 필자의 발제 주제는 ‘일본에서 시작된 위안부 문제’였다.
위안부 문제는 아사히신문과 다카키 겐이치 변호사 등 일본의 반일 세력이 불을 지핀 것임을 강조했다. 한국의 구 정대협과 유족회라는 양대 반일단체가 ‘일본발’의 이 거짓말을 한국에서 대대적으로 퍼뜨렸고, 그것이 한국의 신문과 TV를 통해 마치 ‘제2의 독립운동’인 것마냥 대대적으로 보도되어 퍼져나갔다고 말했다.
그리고 간과할 수 없는 것은 일본과 한국의 거짓말 세력이 북조선과 긴밀한 연계를 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예컨대, 정의연 전 이사장이자 국회의원인 윤미향과 이나영 현 정의연 이사장은, 재일조선인총연합회(조선총련)가 주최한 간도대지진 100주년 추도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방일했다. 윤 씨가 그동안 북조선에 순응하는 언행을 이어온 것은 분명하지만, 이번 조총련 행사에 참석한 것은 그들이 북조선과 연계되어 있다는 명백한 증거라고 지적했다.
또한 심포지엄에서 필자는 일본과 한국 양국에 거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을 하나 지적했다. 그것은 구 정대협을 만든 윤정옥 씨(이화여대 명예교수)가 사실 일본의 반일세력으로부터 막대한 지원을 받고 있었다는 것이다.
윤정옥 씨가 구 정대협을 결성하기까지의 흐름을 정리해본다.
이화여대 교수였던 윤 씨가 중심이 된 한국내 위안부 문제 관련 일본 정부의 책임 추궁 운동은 1990년에 시작됐다. 윤 씨는 같은 해 1월, 좌파 성향의 한겨레신문에 4회에 걸쳐 ‘‘정신대’ 원혼 서린 발자취 취재기’라는 제목의 기사를 연재한다. 윤 씨는 일본인과 재일조선인이 수많은 허위사실을 섞어 쓴 글을 이미 일본어로 읽고 있었다(센다 가코(千田夏光), 김일면(金一勉), 야마타니 데츠오(山谷哲夫), 요시다 세이지(吉田清治), 마쓰이 야요리(松井やより), 가와타 후미코(川田文子). 이를 참고해 윤 씨는 홋카이도, 오키나와, 태국, 파푸아뉴기니를 방문해 ‘증언자’를 만나 이야기를 듣고 신문에 연재했다.
윤 씨의 연재는 일본에서는 관계자들 사이에서 이미 알려진 내용이라 새로울 것이 없어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한국의 반일파에게 자극을 준 것으로 보인다.
윤정옥 씨는 여성운동단체들을 모아 같은 해 노태우 당시 대통령이 방일을 했을 때 일본 정부에 보상과 사과를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일본에서도 이러한 윤 씨의 움직임에 호응하는 움직임이 이어졌다.
1990년 6월 6일, 참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일본 사민당의 모토오카 쇼지(本岡昭次) 씨는 일본 정부에 위안부 실태조사를 촉구했다. 답변에 나선 시미즈 츠타오(清水傳雄) 노동성 직업안정국 국장은 위안부 문제에 대해 “조사할 수 없다”고 답변했다. 위안부가 국가총동원법에 따른 징용과는 무관하다고 말하면서도 “민간업자가 군과 함께 데리고 다녔다”는 등 경솔한 답변으로 문제를 더 복잡하게 만들었다.
한편 윤정옥 씨는 여성단체를 규합해 1990년 11월에 ‘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즉 구 정대협을 결성했다. 구 정대협이 이후 위안부 문제에서 일본과 한국의 정부가 한 발짝씩 양보해 다가갈 때마다 이를 깨뜨려 양국의 관계를 악화시켜온 것은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실은 윤정옥 씨가 초대 대표였던 구 정대협의 활동도 일본인의 지지를 받고 있었다. 윤 씨 스스로도 그 사실을 인정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한겨레신문 연재 마지막 회(1990년 1월 24일)에서 “양심적인 일본인의 도움으로 이 연재를 쓸 수 있었다”고 그녀는 회고하고 있다.
윤 씨는 “위안부나 징용부 생각을 하면 일본에 대한 원한이 하늘에 사무치지만, 일인 중에도 과거를 뉘우치는 양심을 가진 사람들이 많이 있음을 나는 안다. 그들의 도움으로 이만큼이나마 위안부들의 고통의 자취를 밟아볼 수 있었다”고 썼다.
말그대로 일본의 거짓 세력이 한국의 거짓 세력을 도와주면서 위안부 문제가 시작된 것이다. 이를 끝내기 위해서는 일본과 한국의 진실 세력이 손을 맞잡는 길 밖에 없다. 이번 심포지엄을 큰 진전이라고 생각한 필자는 끝으로 “함께 거짓과 싸우자”고 청중들에게 호소하며 필자의 차례를 끝맺었다.
심포지엄에서 토론을 마친 참가자들은 다음날에는 위안부 동상 옆에서 집회를 열었다. 같은 시간, 옆자리에서 열린 정의연의 집회에는 약 50여 명의 참가자가 있었는데, 우리의 집회에도 거의 같은 숫자의 인원이 참가했다.
그곳에서 우리는 ‘위안부 문제의 거짓말과 싸우는 일한(日韓) 진실세력 공동성명’를 발표했다. 사실 그 성명서는 필자가 일본어와 한국어로 쓴 것이었다. 그 성명은 일본과 한국의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현 상황의 과제가 거의 모두 응축되어 담긴 문장이었다. 성명서 전문을 게재한다(다음 쪽 참조). 일본과 한국 진실 세력의 연대가 드디어 굳건해져서 거짓에 뿌리를 둔 세력을 퇴치한다. 이러한 결의를 새롭게 다진 심포지엄이었다.
위안부 문제의 거짓말과 싸우는 일한(日韓) 진실 세력 공동 성명 (慰安婦のウソと戦う日韓真実勢力共同声明) 위안부는 일본군이 관리한 공창(公娼)이었다. 빈곤 때문에 부모님이 받은 전차금을 상환하기 위해 매춘에 종사한 여성들이었다. 그 시대를 살았던 일본인, 한국인은 그것을 잘 알고 있었다. 남노당 출신인 재일조선인 공산주의자는 이렇게 말했다. “나의 고향 제주도 마을에서는 일찍이 남편을 잃은 과부가 마을의 젊은 여성들을 데리고 중국으로 건너가 위안소를 운영해 많은 돈을 벌었다. 그래서 마을 사람들은 모두 자기 집안의 딸도 위안소에서 일하게 해달라고 그 여자에게 부탁했고, 다수가 돈벌이를 위해 위안부가 되었다.” 그래서 반일 정책을 추진한 이승만 정권도 일본과의 국교정상화협상에서 위안부에 대한 보상은 요구하지 않았다. 우리는 지난해 도쿄에서 그리고 어제 서울에서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일한(日韓) 합동 심포지엄’을 개최해 이상과 같은 역사적 진실을 확인했다. 그렇다면 왜 위안부는 공창이 아니라 일본군에 강제 연행되어 성적 봉사를 강요받은 성노예라는 거짓말이 확산되어 일한(日韓)관계를 악화시켜 왔는가. 그 원흉은 강제연행, 성노예설을 퍼뜨려 나간 일본과 한국의 거짓말 세력이다. 일본의 아사히신문이 직업적 거짓말쟁이인 요시다 세이지의 강제연행 허위증언을 반복적으로 크게 보도했다. 일본인 활동가가 한국에서 옛 위안부들을 찾아다니며 일본 정부를 상대로 재판을 일으켰다. 원고인 옛 위안부들은 강제연행되었다고는 말하지 않았는데, 그녀들의 증언을 날조한 것도 아사히신문이다. 그리고 정대협과 유족회라는 한국의 양대 반일단체가 일본발의 이 거짓말을 한국에서 대대적으로 확산시켰다. 그것을 한국의 신문, TV가 제2의 독립운동인 것처럼 크게 보도했다. 그리고 놓칠 수 없는 것은 일한(日韓)의 거짓말 세력이 북조선과 긴밀한 연계를 취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최근에 정의연의 전 이사장이자 국회의원인 윤미향과 현 정의연 이사장인 이나영이 도쿄에서 북조선의 앞잡이인 조총련의 행사에 참석한 것이 이를 상징하고 있다. 그런데 일본과 한국의 진실세력은 민족감정 등을 이유로 좀처럼 협력할 수 없었다. 일본에서는 지난 30년간 진실세력이 싸움을 이어가, 아사히신문이 요시다 세이지의 증언을 거짓말이라고 인정해 과거의 기사를 철회하기까지 이르렀다. 한국에서도 2019년부터 이곳 위안부상 바로 옆에서 “위안부는 매춘부”, “위안부상 철거”를 외치는 한국의 진실세력이 반격을 시작했다. 그리고 마침내 지난해와 올해 도쿄와 서울에서 일한(日韓)의 진실세력이 합동 심포지엄을 개최하기에 이르렀다. 여기서 우리는 선언한다. 일한(日韓)의 진실세력이 힘을 합쳐 일본, 한국, 북조선의 거짓말 세력의 음모와 공작을 폭로하고, 그들의 책임을 계속해서 추구할 것이다. 한국과 전 세계에 세워진 거짓말의 상징인 위안부상을 반드시 철거시킬 것이다. 2023년 9월 6일 일한(日韓)진실세력 일동 |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