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비운의 대통령' 최규하 역사속에 지다

7개월 최단명 재임...신군부 정권 이면사 등 끝내 가슴속에 묻어

*사진설명 :지난 79년 12월 21일 제10대 대통령 취임식에서 선서하는 최규하 대통령. ⓒ연합
22일 서거한 최규하(崔圭夏) 전 대통령은 대한민국 헌정 사상 대통령 직위가 최단명으로 끝난 `비운의 대통령'이었다.

79년 10.26 사태로 박정희(朴正熙) 전 대통령이 서거하면서 갑작스레 대통령직에 올랐지만 이듬해 5.18 사태로 대변되는 신군부의 집권으로 7개월여 만에 하야, 혼란한 정국 속에서 한국 정치사의 중앙무대 뒤로 쓸쓸하게 퇴장해야 했다.

아호가 현석(玄石)인 최 전 대통령은 1919년 7월16일 강원도 원주에서 태어났다. 경성제1고보를 졸업한 뒤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 도쿄 고등사범학교 영문과를 마친 뒤 만주국립대대동학원을 졸업했다.

최 전 대통령은 해방되던 해인 45년 서울대 사범대 교수로 취임했으나 이듬해 중앙식량행정처 기획과장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관직생활에 첫 발을 디딘 뒤 51년 농림부 농지관리국장 서리를 거쳐 외무부 통상국장으로 발탁되면서 전문 외교관의 길을 걷기 시작한다.

그는 52년 주일대표부 총영사, 59년 주일대표부 공사 및 외무부 차관, 63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외교담당고문, 64년 말레이시아 대사를 거쳐 67년 외무부 장관에 기용되는 등 `승승장구'했다. 71년 대통령 외교담당 특별보좌관에 취임해 72년 11월과 73년 3월 두 차례에 걸쳐 남북조절위원회 위원 자격으로 평양에 다녀오기도 했다.

그는 70년 한국외국어대학에서 명예문학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국제회의 참석만도 67년 22차 유엔총회 수석대표를 비롯, 30여회에 이를 정도로 외교관으로서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최 전 대통령은 유신체제의 서슬이 시퍼렇던 4공화국 시절인 75년말 국무총리 서리를 거쳐 이듬해 국무총리로 임명돼 79년까지 4년간 국무총리직을 수행했다.

79년 10.26 사태로 박 전 대통령이 갑자기 세상을 뜨면서 대통령권한대행에 오른 뒤 같은 해 12월6일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간선으로 대통령에 피선됐으며 전두환(全斗煥) 당시 합동수사본부장이 주도한 신군부의 12.12 사태 직후인 같은 달 21일 제10대 대통령에 취임하게 된다.

그러나 이듬해인 80년 전두환 당시 보안사령관 겸 중앙정보부장 서리가 중심이 돼 5.18 사태가 터지는 등 혼돈의 회오리가 계속되면서 최 전 대통령은 신군부의 위세에 눌려 결국 그해 8월15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특별성명을 발표한 뒤 대통령직을 사임해야 했다.

4공화국과 5공화국 사이의 진공상태에서 대통령직에 올랐다 결국 신군부에 떼밀려 대통령으로서의 정상적인 권한과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다 8개월이 채 안되는 대통령직을 마감하게 된 것.

실제로 대통령 의전일지 등에 따르면 신군부가 5.17 비상계염령을 전국으로 확대한 이후 같은달 31일까지 최 전 대통령이 공식행사에 참석하거나 각료, 군관계자 또는 민간인을 면담한 기록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 등 신군부의 그늘에 가린 그의 한계는 자료상으로도 입증된 바 있다.

또 96년 공개된 미국측의 12.12 사태 및 5.18 광주 민주화운동 관련 비밀문건에 의하면 최 전 대통령은 미국측으로부터 대통령 선출 직전 약 1년만 재임할 것을 요구받기도 했으며, 재임 후 개헌을 추진했지만 곧 이은 퇴진으로 성사되지는 못했다.

김영삼(金泳三) 전 대통령은 99년 회고록에서 최 전 대통령에 대해 "헛된 욕심과 좁은 시야에 갇혀 민주화를 지연시켰다"는 부정적 평가를 내리기도 했다.

최 전 대통령은 81년 4월부터 88년까지 국정자문회의 의장으로 활동했으며 91∼93년 민족사바로찾기국민회의 의장을 역임했다.

70년 일등수교 훈장, 71년 수교훈장 광화대장, 79년 무궁화대훈장, 80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등 국내훈장과 타이정부로부터 받은 백상최고 기사대장 등 10여종의 외국훈장을 받았다.

역대 대통령 서거는 이승만(李承晩) 초대 대통령(1∼3대.65년), 박정희 전 대통령(5∼9대.79년), 윤보선(尹潽善) 전 대통령(4대.90년)에 이어 4번째이다.

그는 하와이 망명생활 중 쓸쓸히 생을 마감한 이승만 전 대통령이나 부하의 총탄에 숨을 거둔 박정희 전 대통령과는 달리 천수를 누렸지만 현대사의 격랑 속에서 `최단명 대통령'이라는 기록을 남기고 역사의 뒤안길로 홀홀이 사라졌다. 격동의 시기, 신군부와의 악연도 속시원히 밝히지 않은 채다.

(서울=연합뉴스)
hanksong@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