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남권 기자 = 한나라당 대통령후보 경선에 출마하는 홍준표, 원희룡, 고진화 의원 등 `3약(弱) 후보'들이 25일 "기탁금은 2억원을 넘어서는 안된다"고 한 목소리를 내고 나섰다.
당 안팎에서 경선 기탁금으로 3억원 안팎이 언급되는 상황에서 이명박(李明博) 전 서울시장이나 박근혜(朴槿惠) 전 대표측과 달리 `곳간' 사정이 여의치 않은 이들이 거액의 기탁금에 반대하고 나선 것.
홍준표 의원은 25일 보도자료를 내고 "3억원을 초과하는 기탁금은 대선이 있는 해에 3억원 이하의 정치후원금을 모금, 기부할 수 있도록 한 정치자금법의 취지에도 안 맞지만 자금이 없는 후보에게는 경선에 참여하지 말라거나 정치자금을 부정하게 모금하라는 것밖에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는 "국민의 자발적 참여를 전제로 한 자발적 유권자 등록제만이 투표율을 제고시키고 경선비용도 획기적으로 줄일 수가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원희룡 의원도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올해 합법적 후원금 모금액이 3억원인 상황에서 기탁금 외에 유인물 제작, 선거운동 사무실 운영에도 1억~2억원이 들어가는 만큼 기탁금은 2억원을 넘어서는 안된다"면서 "기탁금이 2억원을 넘을 경우, 합법적 자금조달 방법이 없는 만큼 경선에 참여할 수 없다"고 으름장을 놨다.
고진화 의원은 "터무니없이 많은 돈을 후보가 부담해야 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면서 "지난 대선과 마찬가지로 2억원 정도를 기탁금 상한선으로 하는 게 타당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박관용 경선관리위원장은 "당에서 어떻게 고려하고 있는지를 감안해 위원회에서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선거인단이 애초 4만명에서 23만1천여명으로 급증, 경선비용도 2002년에 비해 20억원 정도 많은 60억원 대로 급증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후보들의 기탁금 액수도 지난 대선 당시(2억원)보다 늘어난 2억5천만원이나 3억원 가량이 될 것이라는 추산이 나오고 있다.
한편 `빅2'인 이 전 시장과 박 전 대표측은 기탁금 문제와 관련, "기본적으로 당 경선관리위의 결정에 따른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south@yna.co.kr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