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열린우리당내 `2차 탈당파' 의원들이 대통합 시한이 만료되는 6월14일을 `D-데이'로 삼고 `거사'를 위한 본격 수순밟기에 들어갔다.

이들은 특히 탈당의 파괴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우리당의 양대 주주인 정동영(鄭東泳) 김근태(金槿泰) 전 의장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여가며 대대적인 세몰이에 나선 형국이다.

정대철 고문, 김덕규 의원 등을 중심으로 하는 우리당 통합파 의원 10여 명은 29일 오전 여의도 정 고문 사무실에 모여 대책을 논의했으며, 탈당계.신당창당추진위 가입원서 접수 및 서명작업에 착수하는 등 긴박하게 움직였다.

이들은 창당준비위원회(창준위)의 전단계인 창당추진위를 결성, 신당의 진로와 당령 마련, 발기인 모집 등의 작업을 진행해 나가기로 했다.

창당추진위에는 우리당, 민주당 의원들과 이미 우리당을 탈당한 의원들 및 시민사회세력을 폭넓게 참여시켜 탈당 후 제3지대 신당을 위한 전진기지를 구축한다는 복안이다. 늦어도 6월안으로는 창준위 단계를 거쳐 창당 작업을 어느 정도 마무리 해야 한다는 `시간표'에 따라 움직이고 있는 것.

우리당내 비례대표와 민주당 의원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창당추진위 단계에서는 당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우리당내 개혁그룹과도 공조를 유지하며 개혁그룹의 국민경선추진위 작업을 `투트랙'으로 진행한다는 게 이들의 구상이다.

이들은 30일 전체회의를 갖고 탈당 시기를 공식 결정하기로 한 상태로, 주변에서는 `이달 말 결사대 성격의 선도탈당→다음달 초 추가탈당→다음달 14일 직후 대규모 집단탈당'의 순차적 탈당 시나리오가 고개를 들고 있다.

탈당파의 한 핵심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창당추진위 작업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한자릿수 정도가 먼저 탈당할 가능성이 있다"며 "당안팎에서 많은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는 만큼, 본대오의 규모는 상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집단탈당 규모와 관련, 당 안팎에서는 20명 미만에서 많게는 40명 이상까지 관측이 엇갈리고 있다.

탈당 규모는 당내 양대 계파의 수장이자 노무현(盧武鉉) 대통령과의 논쟁을 통해 비노(非盧) 전선의 전면에 선 정동영, 김근태 전 의장의 가세 여부와도 무관치 않아 보인다. 현재 탈당파 그룹에는 양 계파 핵심 의원들이 합류한 상태이다.

정 전 의장은 사실상 결심을 굳힌 상태로 알려졌으며, 김 전 의장은 상대적으로 유보적 스탠스를 견지하고 있다.

정 전 의장 스스로 "결단을 준비해야 할 때로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며 탈당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한 바 있으며 정 전 의장측 핵심 의원도 "시기 문제가 남아있지만 결심은 서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김 전 의장측은 "6월14일까지는 지도부의 통합 작업을 지원한 뒤 그 이후에 대해서는 그 때 판단하겠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김 전 의장 역시 당해체를 주장해온 점을 감안할 때 결국 두 사람이 동반탈당하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우세하다. 5개월여 만에 이뤄진 지난 24일 양자회동에서도 거취에 대한 공감대가 어느 정도 형성되지 않았겠느냐는 분석도 나온다.

당 안팎에서는 창당주역이자 참여정부 장관, 당 의장 출신으로서의 현실적 부담감 때문에 두 사람이 선도탈당 보다는 6월14일 직후 집단탈당 흐름에 합류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번 집단탈당 흐름이 당해체에 준하는 빅뱅을 몰고 올지 아니면 찻잔 속의 태풍에 그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한 초선 의원은 "현 상황에 대한 부정적 인식만으로 탈당하는 것이라면 무리가 따를 수 있으며, 탈당 이후의 로드맵이 충분히 서지 않는다면 결행 규모도 미지수"라고 말했고, 개혁성향 의원도 "중요한 것은 탈당 자체가 아닌 판을 만드는 것"이라며 "새판짜기에 성공하지 못하면 파괴력이 크지 못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시민사회세력이 기존 정치권과의 즉각적인 결합을 경계하며 6월10일을 목표로 독자세력화를 모색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당 탈당파가 추진하는 창당추진위에 쉽게 들어올 지도 미지수이다. 이와 관련, 우리당 의원들이 중심이 되는 모양새가 유지된다면 민주당 의원들 역시 선뜻 발을 담그겠느냐는 시각도 제기되고 있다.

이들 탈당파는 결행 과정에서 친노그룹도 배제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나 친노쪽의 호응이 없을 경우 결국 범여권내 또다른 분화만 재촉할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서울=연합뉴스) hanksong@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