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미 노병, 한국전 참전동료 유해찾기 애절한 사연

이달초 춘천 방문..총 11차례 한국방문 유해찾기

한국전에 참전했던 한 미군 노병의 동료 유해찾기 노력이 수십년째 계속되고 있다.

주인공은 올해 73세의 론 브라워드씨. 남캘리포니아 다우니타운 데이비스 출신인 그는 한국전 참전 후 고향에서 수드웍 양조장을 소유, 성공한 기업가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하와이에 본부를 두고 있는 미군 유해발굴전문부대인 전쟁포로-실종자확인 합동사령부(JPAC)에도 적을 두고 미군 유해찾기에 적잖은 도움을 주고 있다.

그러나 그의 마음은 늘 한국전에 같이 참전했다가 끝내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한 실종자들의 유해찾기에 가 있다. 이 때문에 브라워드씨에게 현충일이 따로 없다. 하루 하루가 전몰 장병들을 기리고 생각하는 현충일이다.

그는 이달 초에도 한국을 방문, 춘천에서 그리 멀지 않은 강변 계곡들을 둘러봤다. 모든게 바뀌었지만 한국전 당시의 기억들이 하나하나 되살아났다.

노병은 미 해병으로 한국전에 참전했다 이 곳 부근에서 사망한 동료 워런 래릭의 유해를 찾는 일에 골몰했다. 1951년 봄 칙칙한 어느 날 덩치가 크고 무뚝뚝했던 래릭을 마지막으로 본 기억이 문득 났다.

래릭은 기관총 사수로 당시 21세였고, 브라워드는 막 18세가 됐을 시기였다. 사실 그들은 동향 출신이고 래릭은 브라워드의 형과 절친한 친구였다. 래릭은 형의 친구였지만 군대에선 고락을 같이한 동료였던 셈이다.

당시 미 해군은 한국에서 거의 1년 가까이 전투를 치렀다. 그해 4월 중공군의 공격을 받았고, 17시간 치열한 전투를 벌이다 중과부적으로 밀리기 시작했다. 브라워드와 래릭은 부상했다.

그들은 관목이 우거진 산비탈을 따라 내려가 탱크 뒤로 몸을 숨겼으나 래릭은 등에 총격을 받고 즉사했고, 그의 사체는 영영 발견할 수 없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래릭은 아직도 57년 전 발발한 한국전의 실종자로 분류돼 있다. 1953년에 종료된 한국전에서 실종된 미군은 8천100명이 넘는다. 래릭의 부친도 생을 마감할 때까지 아들의 유해를 확인, 고향에 묻힐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버리지 않았다.

브라워드씨는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과 인터뷰에서 "당시 참전 미군의 75% 정도가 21세 이하의 젊은이들이었다"며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한 그들에 대해 생각하는 사람이 누군가는 있어야 할 것"이라며 한국전 참전용사들의 유해찾기가 그의 마지막 임무임을 다짐했다.

그는 지금까지 11번이나 한국을 방문했다. 때로는 미군 유해 발굴팀과 동행했고, 때로는 개인자격으로 방문했다.

한국의 전투 유적지를 찾아다니지 않을 때는 주로 고향 데이비스에 있는 자택의 과거 군기록물들을 뒤지는데 열정을 쏟고 있다.

그간 가족을 찾지 못하고 'X-13082'로 분류돼 있던 미군 유해가 1950년 한국에서 전사한 존 워드 해병 일병임을 확인하는데 결정적 기여를 했다. 특히 동료 래릭의 유해를 찾기 위해 미군측에 래릭 가족들의 DNA 자료를 이미 제출했다.

미군 사체 발굴 및 신원 확인은 어려운 작업이다. 어렵사리 유해를 발굴, 수습한 끝에 사체의 주인공을 찾는 성과를 간혹 올리기도 한다. 비근한 예는 1950년에 전사한 패스터 밸라논 주니어 육군병장이 56년만에 유해가 발견돼 지난달 미 알링턴 국립묘지에 안장된 일이다.

현재 태평양국립전몰화장소에는 신원을 확인하지 못한 860구의 유해가 있고, JPAC에도 500구의 사체가 신원을 확인하지 못한 상태로 방치돼 있다.

브라워드씨는 "래릭을 비롯해 아직 고향을 찾지 못한 동료 전사자들의 유해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면서 "나는 그들을 잊지 않았고, 그들을 고향으로 데려오는게 나의 책무"라고 힘주어 말했다.

(워싱턴=연합뉴스) cbr@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