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외국인 이주자들을 위한 무료 영어교습이 크게 부족한 상황에서 영어능력을 갖출 것을 요구하는 이민법 개혁안이 통과될 경우 영어교습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2일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미국에서 공적인 재정지원을 받는 영어교습 과정은 그렇지 않아도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1960년대 이후 영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이주자를 위한 영어교습(ESL)은 연방정부의 성인교육 프로그램이나 주 정부 및 시의 재정지원을 통해 이뤄져 왔고 통상 이주자들은 지역의 커뮤니티센터나 도서관, 비영리단체가 진행하는 수업에 참여해 무료로 영어를 배워왔다.
또한 종교기관들도 종종 무료 또는 거의 무료로 영어교습을 실시해왔다.
그러나 미국으로의 이주자들이 급증하면서 이 같은 무료 영어교습 시설은 초만원 상태다.
지난 2006 회계연도에 공적 지원을 받는 ESL에 등록한 학생은 110만명으로, 22개 도시에서 184개 ESL 과정을 제공하는 전미 라틴계 선거직공직자교육기금연합회가 지난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57%의 ESL 과정에 대기자 명단이 쌓여있다.
피닉스는 ESL 과정에 등록하려는 대기자가 1천명을 넘어 저녁 수업의 경우 18개월을 기다려야 하고 보스턴은 대기자가 1만6천725명에 달해 3년을 기다려야 하는 경우도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최근 몇년간 대학이나 랭귀지스쿨이 제공하는 ESL 과정이 늘어나고 있으나 이런 사설 교육기관은 한 학기 교습비가 수천달러까지 달해 새로운 이주자들 대부분에게는 그림의 떡이나 마찬가지다.
상당 수의 병원을 포함해 일부 고용주들은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내부 영어 교습과정을 제공하고도 있지만 미국 기업들의 대부분은 자신들의 근로자를 위한 영어 수업을 지원하지 않고 있어 정부와 함께 민간 분야가 ESL 수용능력 확대를 위해 나서야 한다는 주장도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반대론자들은 미국 정부가 외국인 이주자들을 위한 영어교습을 지원하지 말아야 주장하고 있다.
미국이민개혁연합(FAIR)의 아이어러 멜먼 대변인은 "이주자들의 영어능력 향상을 위해 정부가 돈을 지원해야 한다는 생각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영어교습 수요의 급증은 이민자 유입 속도를 늦출 필요가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뉴욕=연합뉴스) june@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