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열린우리당을 순차적으로 탈당한 후, 범여권 대통합을 강조하고 있는 정동영, 김근태 두 전직 당의장이 노무현 대통령과 각세우기에서 선회해 거리 좁히기에 나서고 있다. 민주당 등 일각에서 주장하고 있는 '친노 세력 배제론'을 정면으로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김 전 의장은 20일 CBS 라디오 ‘뉴스레이다’에 출연, “친노, 반노, 비노는 무의미하다”며 “참여정부와 노무현 대통령의 업적을 계승하고 어떻게 발전시킬 거냐는 정도의 문제지, 그런 구분은 무의미하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김 전 의장은 ‘친노로 분류되는 이해찬, 한명숙, 김두관 후보가 대통합 과정에 합류할 가능성에 대해 어떻게 보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하고, “대통합을 이루지 못하고 친노비노로 갈라지는 것이 불행”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손학규 전 지사에 대해서도 “노무현 대통령께서 말씀하시는 대로 아직 범여권후보라고 얘기할 수는 없다. 다만 반한나라당 후보인 것은 틀림없고, 민주세력 후보 중에 하나라는 주장은 인정할만한 근거가 조금 있다”면서 조심스러운 입장을 나타냈다.
김 전 의장은 노 대통령의 대선개입 여지와 관련 “당신의 정책과 정치노선에 부당하게 이의를 제기하는 것에 대해 지적하고 반박하기 위한 참여라고 생각한다”며 “국민들 입장에서 보면 조금 과도한 게 아니냐, 또 대선에서도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것 아니냐는 오해를 받고 있다는 점을 청와대와 대통령께서 유념해 주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통합과정에서 열린우리당은 배제하겠다'는 민주당 등을 겨냥해 “대통합의 최대 장애는 배제론”이라며 “근원지는 민주당”이라고 정면 비판했다. 그는 “민주당의 현 지도부가 우리당은 배제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김근태, 정동영, 천정배, 이런 특정한 인사들은 안 된다는 배제론에서 더 큰 배제론으로 오히려 옮겨 간 것”이라며 “분열이고, 명분이 없다”고 비판했다.
정동영 “나는 참여정부 주주…질책, 비판 떠안고 심판받겠다”
한편 정 전 의장은 21일 같은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친노, 반노의 구분은 무의미 하다’는 김 전 의장의 주장에 대해 “동의 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그는 “현직 대통령과의 친소관계를 기준으로 그룹핑을 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며 “오히려 이념과 정체성, 노선, 살아온 길을 기준으로 진보, 보수, 수구로 구분하는 것이 의미 있다”고 말했다.
정 전 의장은 “저는 국민의 정부 때 주주였고, 참여정부에도 주주였다”며 “기여한 부분과 이뤄낸 부분에 대한 평가 그리고 한계와 잘못된 부분에 대한 질책과 비판을 함께 떠안고 심판 받겠는 자세”라고 밝혔다. 참여정부의 공과 사를 평가받겠다는 입장이다.
그는 선관위가 노 대통령의 정치개입발언에 대해 선거법위반 판결을 내린 것에 대해 “선관위가 일일이 대통령의 정치적 의사표시에 대해서 간섭하고 개입하고 나서는 듯 한 태도도 역시 정치적으로 보인다”며 사실상 노 대통령의 손을 들어줬다.
정 전 의장은 “대통령의 정치적 의사표현을 지나치게 제약하는, 예를 들어 선관위가 일일이 대통령의 말마다 옳으니 그르니, 판단하는 것은 한나라당의 과도한 정치선전에 말리는 측면이 있고, 또 대통령직의 권위와 상징성을 선관위가 훼손하는 측면이 있다”며 “그런 의미까지 헤아려서 신중하고 무겁게 움직여야 한다”고 밝혔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