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파사회가 결사적으로 지키려 노력했던 영진위 조희문 위원장이 결국 문화부의 손에 의해 해임되었다. 우파사회는 조희문 위원장이 친노좌파가 독식해온 미디어센터와 독립영화전용관의 운영 주최를 개혁한 데서 친노세력의 보복이 시작되었다고 주장해왔다. 이들의 주장대로 결국 조희문 위원장이 해임되자마자 문화부 유인촌 장관은 미디어센터와 독립영화전용관을 영진위 직영체제로 운영하겠다는 안을 발표한다. 조희문 해임을 주도한 유병한 실장도 이를 거들고 있다. 조희문 위원장의 해임으로 결국 문화부의 우파 퇴출 작업이 가속화되고 있는 셈이다.
유 장관은 서울 와룡동 문화부 청사에서 가진 영화진흥위원들과의 간담회에서 "운영 주체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는 미디어텍과 씨네마텍을 아무래도 국가가 직접 운영해야 할 것 같다"며 "훨씬 고급화하고 전문인력을 투입해 더 좋게 만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유병한 문화콘텐츠산업실장은 "장관 발언 가운데 국가가 직접 운영한다는 것은 정부가 아니라 산하기관인 영진위가 운영한다는 뜻"이라고 부연했다. 심지어 유인촌 장관은 “영화계의 이념논쟁은 쓸데 없는 것이며 계속 그런 식으로 나오는 사람들은 제쳐놓고 영화산업의 진정한 발전을 위해 영진위가 할 일을 적극적으로 논의해 주길 바란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그러나 유 장관의 발언과 달리 문화부는 쓸데없는 이념논쟁을 일으키며 미디어센터와 독립영화전용관을 재 탈환하려는 정치세력의 말을 그대로 실천하고 있다. 문화부 입장에서는 형식적으로는 영진위 직영체제로 운영하여 중립성을 보장하겠다는 홍보를 하겠지만, 현실은 전혀 다르다.
영진위 독립영화관 직영체제, 친노 배급사에 완전히 장악할 것
영진위 직영 체제로 운영해봐야 독립영화의 배급사가 모조리 친노좌파이기 때문에 결국 영진위는 이들 배급사로부터 영화를 공급받게 된다. 실제로 성북구에서 직영으로 운영하는 제2 독립영화관은 자체 기획은 전무하고 친노 배급사로부터 영화를 공급받아 틀어주고 있다. 전국의 지자체 직영 독립영화관은 사실 상 모두 친노세력이 장악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조희문 위원장의 개혁 조치로 인해 유일하게 이념에 사로잡히지 않고 운영해왔던 (사)한국다양성영화협의회가 위탁운영하고 있는 광화문 독립영화관 역시 이 때문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 최공재 이사장은 “우리 영화관에 영화를 준 독립영화사들에 대해 지자체 직영 영화관을 잡고 있는 친노 배급사 쪽에서 협박을 가하고 있기 때문에 감독들이 압박을 받아 예정된 상영도 취소된 사례가 많다”며 현실을 설명했다.
영진위 직영 체제로 가게 되면 예산 편성부터 완전히 달라진다. 현재 광화문 독립영화전용관 운영은 위탁 체제로 연 2억원 정도만 지원하고, 그 이외의 비용은 자체 충당해야 한다. 이 때문에 위탁 운영자는 활발한 홍보활동을 통해 더 많은 관객을 끌어들이려 노력하게 된다. 그러나 직영체제로 가게 되면 일단 직원들의 신분 자체가 준 공무원으로 되어 비용은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문화부가 밝힌 대로 전문 인력을 충원하겠다는 발상도 곱게 보기 어렵다. 이미 지난 정권 10년 간 독립영화 시장을 장악해온 친노좌파 세력이 최공재 이사장 등 새롭게 출발한 청년 영화인들보다 우월한 조건에 있기 때문이다. 우파세력 척결에 앞장선 문화부의 최근 태도로 보자면 독립영화관은 퇴직 관료출신과 좌파 운동가 출신들로 채워질 가능성이 높다. 설사 그렇지 않다 하더라도 결국 배급사의 문제로 결과적으로 친노좌파가 장악하게 된다. 이 때문에 문화부가 직영 체제를 발표했을 때, 친노좌파 세력들은 침묵으로 이를 지지하고 있다.
문화부, 민주당과 역할분담하며 최공재 이사장 완전히 짓밟는 전략
문화부와 민주당은 철저한 역할 분담을 하여 최공재 이사장 측의 싹을 완전히 짓밟겠다는 전략도 구사하고 있다. 민주당의 최문순 의원은 지난 10월 19일 국회에서 열린 영화진흥위원회 국정감사 보도자료에서 좌파단체가 독점 운영하던 독립영화전용관을 정당한 공모절차를 거쳐 신규 운영자로 선정된 한국다양성영화협의회를 집중 공격했다. 그러나 그 내용은 대부분 허위사실이었다. 최문순 의원은 국감 이후에도 집요하게 한국다양성영화협의회를 물밑에서 공격하며, 사업권 박탈을 시도하고 있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