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이익과 관련한 언론보도는 아무리 신중에 신중을 기해도 부족함이 없다 할 것이다.
세계 선진국 여러 나라들을 예로 들지 않더라도 이웃나라 일본 언론만 보아도 무엇보다 국가이익에 반하는 보도는 철저하고도 자율적으로 통제하기로 이름이 나 있을 정도다.
21일자 C일보에 “인도네시아 특사단 숙소 잠입자는 ‘국정원 직원’”이라는 제하의 단독 보도된 머릿기사가 국민들을 놀라게 했다. C일보에 이어 많은 언론들이 이 기사를 대서특필하고 있다.
지난 16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 인도네시아 대통령 특사단 숙소에 잠입했던 3명은 국정원 직원이고, 이들이 국익차원에서 인도네시아 특사단의 협상전략 등을 파악하려 했던 것이라고 정부고위관계자가 말했다고 한다.
국정원 직원들이 정보업무를 수행하다가 자신들의 신원을 노출 시킨 것은 매우 큰 실수라고 할 수 있다.
원론적으로 세계 어느 나라라도 자국의 국가이익을 위하여 정보전을 펼치게 마련이다. 더욱이 지금 시대는 치열한 정보전만이 국가의 존망을 가른다는 말도 있을 정도다.
국정원 직원들이 무기구입협상과 관련한 정보를 취재하다가 이런 실수가 일어난 것은 매우 유감이다. 그런데 매우 얄밉게도 친북좌파들이 국정원 직원이 실수해서 노출된 이번 사건을 가지고 물 만난 고기처럼 정부와 국정원을 비난하고 있는 것은 지극히 한심하고 분통터질 일이다.
국익을 위해 정보전을 치르던 중 생긴 실수를 가지고 언론이 저널리즘 정신에 입각해서 대문짝만하게 쇼킹한 제목과 내용으로 사건보도 하는 것은 원론적으로 옳으나, 국익을 크게 저해하는 내용과 더불어 아직도 명확하게 사건의 전말이 밝혀지지 않는 상태에서 그렇게 언론에 과대(?)노출 시킨 것은 언론들 스스로가 깊게 성찰해볼 여지를 남긴다.
더욱이 이번기사를 낸 C일보는 보수정론을 표방하는 대표적 신문중의 하나다.
이와 같은 민감한 사건 즉, 국가이익과 관련한 정보전의 실수로 파생된 사건을 그렇게 크게 대서특필 했어야 옳았는지 한번쯤 반추해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정보당국은 국정원이 했다 안했다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도 했고, 외교안보고위 관계자도 “인도네시아 정부에서 모든 정보를 수집할 아무런 이유가 없다”면서 “국정원에서 그런 일을 했다고 할 수 없다”고 밝혔다고 한다.
지금은 향후파장을 최소화하는데 정부와 언론이 함께 국익을 위해 노력할 때다. 이와 같은 국익과 관련된 정보전과 같은 민감한 사안이 생겼을 때에는 언론은 보다 냉철하고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것 같다.
상대국정보를 캐기 위해서 어느 국가와도 정보교류 및 정보전은 일반화된 도식이다. 물론 이번처럼 노출된 실수를 저질렀다는 것은 큰문제다. 그러나 언론은 언론 나름대로 국익을 위한 사려 깊은 자세로 사안을 지켜볼 수 있는 여백이 있어야 하지 않겠나?
자유언론인협회장· 인터넷타임즈 발행인 양영태 (전 서울대 초빙교수, 치의학 박사)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