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기타


배너

민주통합당, '김병관 낙마시키고 노무현 정권 방산비리 덮어라!'

국방과학연구소, 1992년 K2전차 파워팩 수입결정, 2003년 노무현 정권 때 국내개발로 급변경, ‘비리투성이’




<2009년 - 두산인프라코어 해군 납품 비리 기사, 해군 군함 발전기 납품비리 5년간 8억 빼돌려>



<2009년 - 두산인프라코어 국책연구비 수십억 횡령>


2010년 - 두산인프라코어 5년간 70억 횡령기사, K2 엔진 개발비로 굴삭기 엔진 개발

노무현 정권 때 K2 파워팩 국내개발로 급변경, '엉망진창 비리투성이'

최근 김병관 국방장관 내정자를 둘러싼 민주통합당의 이유를 알 수 없는 행태들이 도마에 오르고 있다. 민주통합당은 김병관 국방장관 내정자가 ‘양파’, ‘비리 백화점’ 이라며 인사청문회를 거부하고 있다.

그러나 속 사정은 1992년 K2 전차를 계획할 당시 파워팩은 국개 개발이 불가능하니, 해외 직도입 하기로 국방과학연구소와 국방부가 결정했다가 2003년 노무현 정권시절에 갑자기 국내 개발로 계획이 급히 변경되면서 '엉망진창 비리투성이'로 전락하였기에 이에 대한 책임을 민주통합당이 회피하기 위해서 김병만 국방장관 내정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거부하고 있다는 것이다.

엔진 제작을 맡은 두산인프라코어가 70억대 국고 횡령 사건에 휘말리는 등 비리투성이로 전락을 하였고, 아직까지 제대로 된 성과가 나오지 않아서 이에 대한 책임 추궁을 피하기 위해, 무기체계 전문가인 김병관 국방장관 내정자의 낙마를 주도하고 있다는 것이다.

엔진개발 맡은 두산인프라코어, '방산비리 상습범', '김관진 국방장관 알면서도 개발기한 연장시켜 줘'

엔진개발을 맡은 두산인프라코어는 2009년에도 5년여에 걸쳐 해군 납품비리 뿐만 아니라 국고 횡령 등 수십억원 규모의 비리를 저질렀으나, 김관진 국방장관 주도로 2010년 3월에 열린 제48차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10월까지 개발기한 연장을 결정한 바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게다가, 2010년 6월에는 70억대 공금횡령 비리가 다시 터져, 국민권익위원회가 부패혐의로 조사를 하였으며, 이를 대검찰청과 국방부에 이첩하였으나, 알 수 없는 이유로 ‘무혐의’ 처리 되었다. 이에 제보자는 국가기관이 자체 조사후에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대검찰청에 넘긴 사건이 ‘무혐의’ 처리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며 이의를 제기하는 등 크게 반발하여 사회적 이슈가 되기도 하였다.

군사전문가들은 보통 이런 황당한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는 방산업체에서 여·야를 막론하고 광범위하게 로비가 들어가기 때문에, 한 번 사건을 조사하면 고구마줄기처럼 나오기 시작할 것이라며 박근혜 정권이 헤이해진 군 기강을 다잡기 위해서는 방산비리 조사를 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민주통합당, 김병관 인사청문회 거부하는 이유는 '노무현 정권 때 방산비리 파헤칠까봐 두려워서'

민주통합당이 2월 21일 부대변인 성명서를 내면서 인사청문회 이전에 사퇴하라고 협박을 하는 것은 순조롭게 진행되던 K2 흑표 전차 개발 사업이 노무현 정권인 2003년 들어서 갑자기 흔들리기 시작하면서 엉망이 되어버렸기 때문에, 국방력 약화를 초래했다는 비난을 면할 수 없으며, 개발 업체가 5년에 걸쳐서 수십억을 횡령하였는데 만일 이 자금들이 민주통합당 의원들에게 전해졌다는 게 밝혀지게 되면, 현재의 민주통합당은 붕괴의 수순을 밟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극렬하게 저항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 김병관 국방장관 내정자는 노무현 정권 때 소위 줄서기를 하지 않아서 강제 전역 당할뻔 한 것을 미군이 한미연합사 부사령관으로 추천하면서 군 생활이 연장되었기 때문에, 김병관 내정자가 국방장관으로 임명되게 되면 방산비리에 대해서 철저하게 수사할 것을 두려워 하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전했다.

민주통합당 국방위원 진성준 의원, 언론에 나와 수시로 거짓말 하며 김병관 저격했으나, 인사청문회 개최가 대세

민주통합당 국방위원 진성준 의원이 언론에 나와서 수시로 거짓말까지 하면서 주장한 의혹들이 눈 녹이 녹아 사라져 막상 청문회에 올라가면 검증할 게 없을 것이라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는 상황에서 민주통합당의 김병관 국방장관 내정자에 대한 알 수 없는 인사청문회 거부는 민주통합당에 대한 비리 의혹만 키우고 있어, 민주통합당은 곤혹스런 상황에 처해진 상태이다. 민주통합당의 이유를 알 수 없는 인사청문회 거부가 언제까지 가능할지 향후 귀추가 주목된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