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한 경준위 내일 활동시한...합의 물건너가나

경준위 시한연장 문제..유불리 따라 판이



한나라당 경선준비위원회(위원장 김수한)의 활동 시한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9일까지도 경선룰에 대한 대선주자 캠프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어 시한내 합의도출이 물건너갈 조짐이다.

대선주자측 대리인들이 직접 참여한 협의체에서 합의안 도출이 무산된데다, 경준위가 마련한 중재안에 대해서도 각 주자측이 사실상 거부입장을 보임에 따라 극적 합의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런 상태에서 어쨌든 합의를 이끌어내야 한다는 차원에서 경준위의 활동시한 연장론이 당 일각에서 제기되고는 있으나 "연장해도 마찬가지일 것"이라는 회의론이 팽배하다.

이 전 시장의 경준위 대리인인 박형준(朴亨埈) 의원은 9일 "박 전 대표측이 시기에 대해 겉으로는 6월을 내세우면서도 경준위에서는 9월을 주장하는 `이중 전략'을 버리지 않으면 시한을 연장해도 합의가 어렵다"며 "경준위 논의가 길어지면 길어질 수록 당내 잡음만 커진다"라고 말해 시한연장에 부정적 입장을 보였다.

이 전 시장측은 마지노선으로 경선 시기의 경우는 7월말, 경선방식은 20만명을 제시하고 있지만 합의가 안될 경우 현행 방식도 감수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경준위 무용론까지 제기했던 박 전 대표측은 시한연장에 긍정적이다. 시간을 더 확보하게 되면 자신들이 지적하고 있는 경준위의 문제점이 공론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이 전 시장측을 압박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서다.

대리인인 김재원(金在原) 의원은 "시한을 연장하게 되면 결국 특정 주자의 대리인들만 모였다는 의혹이 나오는 경준위의 문제점과 무능이 부각될 것이고, 그러면 당내 모임이나 당원들이 별도의 중재안을 만들어 경준위를 압박하는 형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당원과 국민이 원하는 바를 생각하지 않는다면 경준위원들도 그에 합당한 정치적 책임을 져야할 것이고, 그러면 특정 후보 입장에서도 타격을 입을 것"이라며 이 전 시장측을 겨냥했다.

박 전 대표측은 원론적으로는 경선시기와 선거인단 모두 현행(6월, 4만명)대로 가야한다는 입장이지만, 속내는 `9월, 20만명' 안에 더 적극적이라는 분석도 있다.

손학규(孫鶴圭) 전 경기지사측도 활동시한을 연장해서라도 합의안을 도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현행대로 갈 경우 `중대 결심'을 할 수 밖에 없다고 공언한 만큼 `여권행 도모를 위한 명분쌓기'라는 오해의 소지를 없애기 위해서라도 끝까지 합의안 도출을 촉구하는 모양새다.

대리인인 정문헌(鄭文憲) 의원은 "경준위가 당원들이 공감하는 합의안을 만들 때까지 논의를 계속해야 한다"며 "양대 후보가 결심을 해줘야 하는 사안"이라고 촉구했다.

정 의원은 기존의 `9월, 100만명' 입장에서 한발짝 물러나 여론조사 비율을 20% 유지할 경우 선거인단 규모를 40만명으로 조정할 수 있다는 입장을 경준위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원희룡(元喜龍) 의원측은 "현 상태로라면 경준위 활동시한을 연기해도 아무 소용이 없다는 생각"이라며 "기존 당헌대로 간다면 `박-이' 두 사람간 정치적 야합이라고 비판하고 국민의 뜻을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경선준비위 간사인 김성조(金晟祚) 의원은 주요당직자 회의에서 "협상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후보자측이 시기와 (국민참여) 폭을 크게 넓혀주길 부탁드린다"면서 "이 전 시장측도 시기는 얼마든지 연장할 수 있다고 발표해주길 부탁드리고, 박 전 대표측도 적어도 행정적으로 통제 가능한 최대 규모까지 받아들일 용의가 있다고 말했으면 한다"고 촉구했다.

경준위는 이날 오후 다시 회의를 열어 중재안 도출을 모색할 예정이다.




(서울=연합뉴스) south@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