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NYT "한국 암울한 과거사 진상규명..속도는 느려"



한국이 암울했던 과거사의 진상규명에 나서고 있지만 그 속도가 느리고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보수진영의 반발 등 정치적 논란도 불러 일으키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1일 보도했다.

신문은 폭풍으로 인한 어선의 표류로 북한에 억류됐다가 돌아온 뒤 간첩 혐의로 15년을 복역한 이상철씨(보광 스님)가 자신의 진상을 규명받지 못한 채 지난달 25일 타계한 사연을 소개하며 이같이 다뤘다.

신문에 따르면 어민이었던 이씨는 1971년 9월 자신을 포함해 21명이 탄 어선이 폭풍을 만나 북한 영해로 들어가는 바람에 억류됐다 11개월만에 풀려나 한국으로 돌아와 북한 영해에 들어갔다는 이유로 집행유예 1년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이씨는 이로부터 12년 뒤인 1983년 국군보안사령부에 끌려가 43일간 고문을 당하며 간첩혐의에 대한 조사를 받았다.

조사관들은 이씨를 며칠 간 잠도 재우지 않고 젖은 수건으로 코와 눈을 덮은 채 겨자나 고춧가루를 섞은 물을 입에 붓는 등 고문을 했다.

이씨는 타계하기 전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전기고문도 당한 사실을 소개하며 "조선소를 그려보라고 해서 그리면 간첩활동 목적으로 정보를 취득했다고 하고, 동네에 경찰서가 어디에 있고 경찰이 몇명이나 되는지를 물어봐서 대답하면 북한을 위해 정보를 모았다고 조사관들이 얘기했다"고 말했다.

이씨는 15년을 복역한 뒤 1998년에 풀려났지만 그 사이 부인과는 이혼을 했고 자식들도 다시 보지 못했다. 2년 뒤 스님이 된 그는 57세를 일기로 지난달 타계했다.

신문은 이같은 이씨의 사연을 소개하고 이씨의 죽음은 노무현 대통령 정부가 하고 있는 과거사의 진상규명이 느리게 진행되고 있고, 한국의 과거사가 정치적 지뢰밭으로 남아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문은 진실ㆍ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가 지난해 11월 고문과 조작된 증거에 의해 이뤄진 과거의 간첩사건을 법원이 재심할 것을 권고한 것과 1975년 인혁당 사건으로 사형이 선고돼 숨진 8명에게 법원이 지난 1월 재심에서 무죄를 선고한 것 등도 소개했다.

신문은 그러나 과거사 진상규명이 대선을 앞두고 정치적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면서 한나라당 대권주자인 박근혜 전대표가 이와 관련해 "나에 대한 정치공세"라고 지난 1월 기자들에게 말했다는 것도 전했다.




(뉴욕=연합뉴스) june@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