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5 재.보선을 한달여 앞두고 한나라당 내에서 `충청 연대론'이 모락모락 피어나고 있다.
올 대선 승리를 위해서는 `캐스팅 보트'인 충청권 표심을 잡는 게 어느 때보다 중요한 만큼 우선 4.25 재.보선에서 국민중심당과의 연합공천, 또는 구(舊) 자민련계 인사의 공천 등을 통해 충청 민심을 끌어와야 하는 게 아니냐는 것이다.
여기에는 지난 두 번의 대선에서 `대세론'에 빠져 충청권 표심을 잡는데 실패해 패배를 자초했다는 자성도 자리잡고 있다.
이 같은 주장은 특히 열린우리당이 최근 전남 무안.신안, 경기 화성, 대전 서을 등 국회의원 보선지역에 `범여권 무소속 단일후보'를 내는 방안 등 다양한 형태의 선거공조 전략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더욱 세를 얻을 기미를 보이고 있다.
당장 당 지도부는 부인하고 있지만 대전 서을 보선에서는 국민중심당 후보로 출마를 선언한 심대평(沈大平) 국민중심당 공동대표와의 연합공천 당위론이 당내에서 계속 나오고 있다.
현재 당내에서는 대전시당 위원장인 이재선(李在善) 전 의원이 단독으로 공천을 신청했지만 `대의'를 위해서는 심 대표와 연합공천을 성사시켜야 한다는 것. 일각에서는 대선 이후 심 대표를 다른 공직으로 배려하고, 18대 총선 때는 이 전 의원에게 기회를 주는 식으로 `윈-윈'하자는 섣부른 방안까지 나오고 있다.
당 관계자는 "만약 여권이 심 대표와 연합공천을 하거나, 후보를 내지 않고 심 대표를 지원한 상황에서 한나라당 후보가 패한다면 향후 대선에 어떤 영향이 미칠 지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기 화성 보선에서 이태섭(李台燮) 전 자민련 의원이 한나라당 후보로 공천을 신청한 것도 `충청 연대론'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한 근거가 되고 있다.
이 전 의원이 김종필(金鍾泌.JP) 전 자민련 총재 시절 부총재를 역임하는 등 JP의 신뢰를 받은 인사인 만큼 공천을 통해 충청권에 영향력이 남아있는 JP에게 긍정적 `사인'을 줄 필요가 있는 게 아니냐는 얘기다.
일각에서는 강재섭(姜在涉) 대표가 지난 1월말 JP를 만난 자리에서 JP의 한나라당 대선후보 지지 요청 외에 이 전 의원의 공천과 관련한 `내밀한 얘기'가 오간 게 아니냐는 추측까지 나오고 있다.
당 핵심관계자는 "불모지격인 호남과 충청에 한나라당의 기치를 들어야 한다는 차원에서 대전 서을과 전남 무안.신안에 각각 국민중심당 및 민주당과 연합공천을 하고 화성에서도 JP를 고려해야 한다는 얘기가 있는 게 사실"이라며 "그런 측면에서 공천 작업의 어려움이 더 커지고 있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당 공천심사위는 금주부터 공천 심사에 속도를 높여 늦어도 이달 말까지는 후보를 확정지을 계획이다.
(서울=연합뉴스) south@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