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는 변희재 미디어워치 대표고문이 2월 1일 12시, 광화문 미 대사관 앞에서 낭독할 기자회견문입니다. 본 기자회견문은 한국어 버전과 영어 버전으로 각각 작성되었습니다. 미국은 문재인과 친중파 무시하고 북한 핵시설 폭격하라 1945년8월15일 대한민국 광복 당시 태극기와 함께 올라간 국기는 미국의 성조기였다. 6.25전쟁 당시4만여명의 미국의 청년들의 목숨으로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를 지킬 수 있었고,미국의 원조와 지원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은 초고속 경제성장을 이룰 수 있었다. 다수의 대한민국 국민들은 이러한 미국에 대해 고마움을 알고 있고 있다.그래서 지난해 박근혜 대통령 사기 탄핵 반대 태극기 집회 때도,그 누가 시키지 않아도,다들 성조기를 들고 나왔던 것이다. 그러나 그 사기 탄핵 결과,문재인 정권이 등장하면서,대한민국 국민들의 뜻과 전혀 다른 메시지를 미국에 전달되고 있다.문재인 정권은 북한 김정은과 손잡고,미국을 멀리하며,중국에 다가가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미국 국민들은 처절한 배신감을 느낄 수도 있는 사안이다. 북한 김정은은 핵폭탄과 장거리 미사일로 미국 본토를 위협하고 있다.김정은이 들고 있는 핵폭탄은 김대중 정부시절5억불의 현찰이 김정
한국자유총연맹(총재 김경재)는 북한 김정은 정권이 평창 올림픽 개막 전날인 8일에 열병식을 강행한다고 밝힌 것과 관련, “이들이 정녕 최소한의 인간적 도리나 양식을 가진 집단인지 가늠하기가 어렵다”고 규탄했다. 한국자유총연맹은 30일 성명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며 “북한의 군사 열병식은 유엔과 올림픽의 인도주의 정신에 대한 정면 도전이며 반민족적·전근대적 야만 행위임을 지적한다”고 밝혔다. 자총은 “이에 세계의 양식 있는 기자들이 관례적으로 사회에 물의를 일으킨 당사자 앞에서 카메라를 내려놓는 시위를 해왔던 바, 언론 매체들은 적정 시기까지 열병식 관련 보도를 삼가는 ‘엠바고’를 통해 북한이 노리는 선전 효과를 최대한 차단해줄 것을 당부한다”고 요청했다. 이어 “우리는 북한이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된 시기에 무력시위를 함으로써 그 효과를 극대화해온 점에 주목한다”며 “따라서 북한이 매년 4월 25일에 해온 열병식을 한사코 금년 평창 올림픽 개막 하루 전으로 변경한 것은 전 세계가 지켜보는 가운데 군사력을 과시함으로써 핵보유국 지위를 ‘기정사실’로 얻고자 함이 명백하다”고 주장했다. 또 “이와 관련 ‘올림픽과 무관한 우연’이라 논평한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한국자유총연맹(총재 김경재, 이하 자총)은 지난 9일에 열린 남북고위급 회담과 관련 환영과 함께 군사대비태세에도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10일, 자총은“남북 화해를 위한 행보가 재개된 것을 환영한다”고 평가하면서도 “북한이 선의의 대화만으로 근본적인 변화를 기대할 수 없다는 점에서 전군 및 한미연합사의 경계 태세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당부한다”는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하고, “평창 동계올림픽이 북한의 핵보유국 묵인을 위한 이념·체제 선전의 장으로 전락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총은 “우리는 2015년 남북 차관급 회담 이후 3년 만에 재개된 남북대화를 환영하며 이산가족 상봉 등 시급한 인도주의적 사안이 우선 논의되기를 희망한다”면서 “그러나 2000년 이후 북한과 두 차례 정상회담 및 21회에 걸친 남북장관급 회담에도 불구하고 북핵, 인권을 포함한 북한문제 전반에서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했던 전례를 상기, 성급한 일희일비를 경계한다”고 밝혔다. 이어 “비핵화 의지를 천명하고 북측의 회담 TV 생중계 요구를 거절한 남측 협상단의 판단을 높이 평가한다”며 “향후 대화에서도 북측의 돌발적 언행과 파행을 위시한 ‘벼랑끝 협상전술’에 각별히
문재인 정권의 친중반일 행보가 노골화된 가운데 한국의 위안부 문제 배후에 중국의 책략이 있다며 한·미·일 사이를 갈라놓는 중국의 이간질 전략에 대한 경계심을 촉구하는 한 미국 저널리스트의 기고문이 새삼 회자되고 있다. 2017년 7월 26일(현지시각), 일본 산케이신문의 영문판 사이트인 ‘재팬포워드(Japan Foward)’는, ‘위안부 동상: 일본이 아닌 미국에 대한 전쟁(Comfort Woman Statues: A War Against the US, Not Japan)’ 제하로 마이클 욘(Michael Yon) 기명 칼럼을 게재했었다. 강경 반공우파 성향의 자유기고가인 마이클 욘은 미군 육군 특수부대 그린베레 출신으로 아프간전, 이라크전을 섭렵하면서 군인의 관점에서 기사를 써온 군사안보 관련 특종 전문 기자다. 마이클 욘은 당시 재팬포워드 칼럼에서 위안부 이슈가 한미일 동맹 분열을 노리는 중국의 전형적인 선동/정보 전쟁 전략이라고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했다. 중국의 정보 선전선동 전쟁 마이클 욘은 칼럼에서 “필자는 많은 전투를 경험했다. 하지만, 특별한 신기(神技)가 없어도 우린 북한과의 전쟁이 임박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밝히며 대북대중 강경파로서의
일본의 반공우파 매체인 산케이신문은 올해 4월, 일제시대 징용노동자 관련 한국 MBC 방송사의 사실왜곡 문제를 지적한 기사를 내보냈다. 산케이의 기사는 2017년 4월 12일자'[역사전쟁·제17부 새로운 거짓말 (중)] 군함도, 황당무계한 인상조작, 다른 탄광사진 사용…한국 방송사, 실수 인정(軍艦島、荒唐無稽な印象操作 別の炭鉱写真使用…韓国テレビ、誤り認める)'제하로 게재된 것이다. 이 기사는 앞서 징용노동과 관련 한국의 역사왜곡 문제를 비판한 이우연 박사의 연구내용을 소개한데 이은 관련 두 번째 기획 기사다. (관련기사 :日 산케이, “전시기 노무동원, 한일 임금차별 없었다” 한국인 이우연 박사의 논문 소개) MBC 의 하시마섬 관련 사진자료 왜곡 보도 산케이는 먼저 올해 2월 8일자로 MBC ‘이브닝뉴스’에서 방영된 ‘[이브닝 이슈] "모두 거짓" 日 산케이, 영화 '군함도' 비난’ 제하 보도부터 거론했다. 산케이는 “(해당뉴스는) 같은 날, 산케이신문이 올 여름 공개예정인 한국영화 ‘군함도’ (감독: 유승완)의 예고편을 소개하면서 조선인 소년들이 몸을 구부린 채 채굴작업을 하는 모습을 ‘사실과 다르다’고 보도한 내용에 대해서 반론을 하는 것이 목적이었다“고
한국 사진기자 2명이 중국 경호원에 집단 폭행을 당한 사건과 관련,한국자유총연맹(총재 김경재, 이하 자총)이“문재인 대통령 방중 일정의 총체적 부실을 지적하는 한편 수행 기자를 집단 폭행한 중국 경호원의 만행, 그리고 책임회피에 급급한 중 외교부의 처사를 규탄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자총은 15일 성명서를 통해 “우리는 10월 왕이 외교부장이 직접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을 공항 접견한 것과 달리 문 대통령에게는 차관보 쿵시안유를 내보내고 대통령의 국빈 만찬 전 두 번의 식사에 중국측 인사의 동석이 없었던 것은 이른바 ‘중국발 코리아 패싱’이라는 점에서 유감을 표한다”며 “방중 후 대통령을 제대로 보좌하지 못한 실무진을 문책할 것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중 경제·무역 파트너십 개막식장에서 문 대통령이 지근 거리에 있음에도 중국 경호원 10여 명이 한국 사진기자 두 명을 이유 없이 집단 구타해 그 가운데 한 명에게 중상(안와골절)을 입히고도 ‘한국측 책임하에 있던 일’이라 책임전가하고 사과 대신 ‘관심이 있다’며 발뺌하는 중국 외교부의 행태를 강력 규탄하며 이는 문명국가에서 국빈방문 가운데 있을 수 없는 초유의 사태임에 비추어 중국 측에 즉각 사과와
올해 4월, 일본의 반공우파 매체 산케이신문은 위안부 문제로 한국의 언론, 시민사회 등이 “거짓역사”를 만들어내고 이 문제를 조성하는 배후에는 북한이 있음도 지적하는 기사를 내보냈다. 산케이신문의 기사는 ‘[역사 전쟁 · 제 17 부 새로운 거짓말 (하)] 왜곡된 "불편한 진실" 위안부 권유, 조선인에서 일본인으로…"지킴이"에는 북한의 그림자도(【歴史戦・第17部新たな嘘(下)】 改変された「不都合な事実」 慰安婦勧誘、朝鮮人から日本人に… 「守り人」には北朝鮮の影も)’라는 제목으로 2017년 4월 13일자로 게재된 것이다. 이 기사는 앞서 징용노동 문제와 관련 한국의 역사왜곡 문제를 지적하는 한국인 이우연 박사의 논문을 소개한데 이은 연속 기획 기사 중 세번째 기사다. (관련기사 : 日 산케이, “전시기 노무동원, 한일 임금차별 없었다” 한국인 이우연 박사의 논문 소개) 나치의 유태인 혐오를 방불케하는 일본인 혐오 신문인 한겨레신문의 곡필 산케이는 먼저 기사 서두에서 “4월 4일 한국에 사는 위안부 중 최고령 여성이 노환으로 서울 시내의 모병원에서 타계했다. 이순덕(李順徳). 98세였다“면서 이순덕 씨의 부고부터 알렸다. 산케이에 따르면, “이순덕 씨는 입원하기 전까지
국제적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일본 최고 외교연구기관이 한일 징용노동 문제와 관련 탁월한 연구성과를 쌓아온 낙성대경제연구소 이우연 박사의 연구논문을 영역본으로 게재해 화제다. 지난 6일, 공익재단법인 ‘일본국제문제연구소(日本国際問題研究所, The Japan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약칭 JIIA)’는 ‘전시기 노무동원 한국인 석탄, 금속 노동자 : 임금과 민족간 격차에 대한 의문(Korean Coal and Metal Mineworkers Mobilized in Wartime Japan: The Question of Wages and Ethnicity Based Disparities)’ 제하 이우연 박사의 영어논문을 ‘명예의 전당(Resource Library)’ 코너에 공개했다. 이 박사의 해당 논문은 2016년에 국내 학술지 ‘경제사학’에 ‘戰時期(1937-1945) 일본으로 노무동원된 조선인 炭·鑛夫의 임금과 민족 간 격차’ 제하로 최초로 발표됐던 것이다. 일제시대 한일 탄광노동부간의 민족간 임금차별은 찾아볼 수 없음을 실증한 이 논문은 한국 학계보다 특히 일본 학계에 큰 관심을 불러모았다. (관련기사 : 日 산케이
‘제국의 위안부’ 저자 박유하 교수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명예를 훼손한 혐의로 항소심서 벌금 1,000만원의 유죄 판결을 받은 가운데, 국내 주요 인문학자들과 예술가들이 ‘제국의 위안부 소송 지원 모임’을 결성해 박 교수 무죄를 호소하는 일에 동참할 것을 간곡히 호소했다. 김우창 교수 등 국내외 지식인 98명으로 구성된 ‘제국의 위안부 소송 지원 모임’은 지난 7일 발족식을 갖고 취지문을 통해 “우리는 박유하 교수의 소송을 지원하고, 이를 위한 모금을 시작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제국의 위안부 소송 지원 모임’은 지원금 모금 배경에 대해 “역사와 정치의 어떤 문제들에 대해서는 다르게 생각할지라도, 그 생각을 말할 권리는 보호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 모금을 시작하는 우리의 기본적인 생각”이라며 “박 교수를 비롯한 한국의 학자와 문화인들이, ‘다른 의견을 말한다’는 이유로 범죄자의 사슬에 묶이는 일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많은 분들께서 관심 가져주시고 참여해 주시기를 간곡히 바란다”고 설명했다. 이어 박유하 교수의 항소심 재판을 맡은 서울 고등법원 재판부에 대해서 규탄의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모임은 “1심의 무죄 판결을 간단히 뒤집은 2심의 유죄 선고에
일제시대 징용노동 문제와 관련 좌파 시민단체들이 학적 사실도 왜곡해 대대적 반일운동을 전개하는 상황에서, 이를 묵과하는 한국 학계에 근래 한 일본 언론이 뼈아픈 비판을 가했던 사실이 뒤늦게 전해졌다. 일본의 우려 ‘日 노무동원을 나치 유대인 강제노동과 동일시하다니...’ 일본의 대표적인 반공·자유주의 매체인 산케이는 지난 4월 일제시대 노무동원·징용과 관련, 한국의 대표적인 실증주의 경제사학자인 낙성대경제연구소 이우연 연구원(박사)의 연구논문과 인터뷰를 상세히 보도했다. 산케이는 금년 4월 11일자 ‘[역사 전쟁 · 제 17 부 새로운 거짓말 (상)] 한국에서 인식되고있는 “노예” 이미지 배경에는 복잡한 임금계산법이... “『의도적인 민족 차별』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한국인 연구자가 결론(【歴史戦・第17部新たな嘘(上)】韓国で染みついた「奴隷」イメージ 背景に複雑な賃金計算法 「『意図的な民族差別』事実と異なる」韓国人研究者が結論)’ 기사를 통해, 한국에서 급속히 번지고 있는 ‘일제시대 징용노동’ 논란에 대해 다뤘다. 산케이는 첫 문장에서 “‘일본 통치하, 일본의 탄광 등에 동원된 조선인들은 열악한 환경에서 ‘노예’처럼 일했다. 급여는 없거나, 있어도 소액에 불과했다
위안부 문제에 대해 단지 다른 목소리를 냈다는 이유로 필화를 겪게 된 ‘제국의 위안부’ 저자 박유하 세종대 교수. 그를 돕고자 하는 국내외 지식인들이 본격적으로 연대체를 구성키로 했다. 김철 연세대 교수 등은 7일(목), 오전 10시 30분, 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제국의 위안부’ 소송지원모임을 발족하면서 박유하 교수에 대한 서울고법 2심 유죄 판결에 항의하고, 이어 박 교수에 대한 법률적 지원 의지를 천명키로 하는 행사를 가진다. 이번 소송지원모임에는 김우창 교수, 강신표 교수, 안병직 교수, 라종일 교수, 김영규 교수, 김철 교수, 윤해동 교수, 이강민 교수, 박상헌 교수 등 대한민국의 내로라하는 인문학, 한국학, 일본학의 대가들이 대거 이름을 올렸다. 아울러 강운구 사진가, 이제하 작가, 김원우 작가, 고종석 작가, 배수아 작가 등 주요 예술가들은 물론, 조용래 국민일보 편집인과 황영식 한국일보 주필 등 거물급 언론인들도 박유하 교수를 변호하겠다고 자청하고 나섰다. 해외 인사들은 더욱 묵직하다. 일본에서는 노벨상 수상작가 오에 겐자부로, 대표적 여성학자 우에노 치즈코 교수, 한국의 민주화투쟁을 지원해 온 와다 하루키 교수, 역사학자 나리 타류
반일민족주의를 비판하는 비주류 좌파 시민단체 ‘강제징용노동자상 건립을 반대하는 모임’(이하 강반모)이 징용노동자상 건립에 힘을 실어주고 있는 경남교육청에 비판적인 성명을 발표했다. 지난 1일에 발표된 강반모의 성명은 서두부터 “하나의 유령이 대한민국을 배회하고 있다. 동상이라는 토템 유령이..”이라면서, 이른바 징용노동자상 건립을 우상 만들기의 일환으로 파악, 강한 비판 의식을 내비쳤다. 이어 강반모는 경남교육청이 반대 토론자도 없이 관련 토론회를 개최한 ‘일제강제징용노동자상 경남건립추진위원회’(이하 경남추진위)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졸속으로 경남에 징용노동자상을 건립하려는 움직임을 규탄했다. 강반모는 “경남교육청의 노동자상 업무협약은 소녀상까지 포함하여 국가기관 및 지자체가 민간단체와 맺은 사례로는 처음”이라면서 “이후 각 도는 물론 시, 군 지방자치기관까지 앞 다퉈 노동자상과 소녀상을 합법적으로 설치하는데 큰 영향을 줄 개연성이 없지 않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강반모는 “(동상 건립 움직임이) 민족주의 포퓰리즘을 경쟁적으로 이용하려는 여야의 우민화 정치수단으로 전락할 수도 있다”는 점도 우려했다. 강반모는 이어서 “대한민국의 역사교과서와 국립일제강제동원
인권 변호를 빙자해 종북 활동을 해왔다고 비판받아온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약칭 ‘민변’)과 법무법인 ‘향법’이 본지를 상대로 명예훼손 민사소송을 제기해왔다. ‘민변’과 ‘향법’의 소장은 지난달 22일에 법원에 접수됐으며, 29일에 본지 사무실로 송달됐다. 소송 원고 측에는 민변과 향법뿐만이 아니라 그 소속 변호사들인 통진당 전 대표인 이정희 씨와 이정희 씨의 남편이자 통진당 전 최고위원인 심재환 씨 10여명 등도 포함됐다. 원고 측이 청구한 손해배상금액은 총 7,900만원이다(서울중앙지법 2017가단5221627 손해배상(기)). 이번 소송의 쟁점은 민변과 향법이 종북 단체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이하 ‘정대협’)을 대리해 애국매체와 애국인사를 공박해온 것과 관련, 본지 측이 민변과 향법의 과거 전력을 짚으며 이들 역시 종북이라고 문제를 제기한 것과 관계된다. 소장에서 향법 측 변호사들은 미디어워치가 자신들의 법무법인 홈페이지에 있는 프로필 사진들을 공개한 것조차 초상권 침해라고 시비했다. (관련기사 : 종북 단체 ‘정대협’ 대리하는 종북 로펌 ‘향법’) 민변은 소속 변호사들의 각종 종북 및 간첩 변호 활동으로 이미 악명이 높은 변호사모임이다. 향
호주의 한 동아시아 정치경제외교 전문지가 ‘제국의 위안부’ 저자 박유하 교수에 대한 유죄 판결로 인해 한국 민주주의의 퇴행이 우려된다는 내용의 칼럼을 게재했다. 호주 국립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이 발간하는 ‘이스트아시아포럼(The East Asia Forum, 이하 EAF)’ 온라인판은 지난 11월 22일, 도고 가즈히코(東郷和彦) 교토산업대학교 국제정치학과 교수의 기고문 ‘박유하와 한국 민주주의의 불편한 진실(Park Yuha and the uncomfortable realities of South Korean democracy)’을 공개했다. EAF 는 칼럼을 통해 “지난 10월 27일, 박유하 세종대 교수에 대한 고등법원 2심 명예훼손 유죄 판결은 동아시아 지역내 중대한 정치 현안 이슈로 부상했다”며 “금번 판결은 한일간 외교 문제 뿐만 아니라 한국 민주주의에 대해서도 심각한 회의감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고 진단했다. EAF 는 ‘제국의 위안부’의 내용과 관련해 “박유하 교수는 연구를 통해 위안부의 삶이 한국에서의 일상적인 통념과는 다른 미묘한 함의가 있음을 발견했다”면서 “책은 위안부가 일본 제국주의의 피해자라는 기존의 통념과는 상당한 거리를 둔다.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