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4.25재보선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DJ)의 차남 김홍업 후보(민주당, 무안신안)와, 심대평 후보(국민중심당, 대전서을)의 당선을 두고 ‘범여권통합작업’이 가속화 될 것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 것과 관련, 청와대는 “지역주의 연합을 하자는 것으로 들린다”고 비판하고 나섰다.
청와대 정무팀는 26일 '상투적 정치해설, 그만합시다'라는 청와대브리핑 글에서 "이번 선거에서 관심을 끌었던 선거구 결과를 보면 '특별한 지역에서 특별한 후보가 당선된 선거'일 뿐이며, 그 특수한 사정을 국민 여론으로 거창하게 끌고 갈 일이 아니다"라며 의미를 축소시켰다.
그러면서 "이번 선거에서 지역 강세를 무시할 수 없다. 특별한 지역에서 특별한 후보가 당선된 것을 두고 '통합의 주도권' 운운한다면 지역주의 연합을 하자는 것으로 들린다"며 "그렇게 한국 정치가 거꾸로 가는 걸 ‘민심의 명령’이라고 과장하면, 국민들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는 DJ의 대리인이자, 분신인 홍업 씨가 여의도 정가 진출에 성공하면서 올 대선을 앞두고 ‘DJ 발(發) 정치발언’이 범여권통합에 큰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전망과 무관치 않다. 작년 말부터 DJ는 언론과의 인터뷰 등을 통해 ‘열-민 통합의 시기와 방법’을 언급하면서 범여권을 동요시켰다.
한편 이날 청와대브리핑의 글을 두고 '반(反)한나라당 전선'을 구축하고 있는 노무현 대통령과 DJ의 '주도권 잡기 경쟁이 본격화 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DJ의 실질적인 현실정치 개입이 시작될 경우, 그동안 범여권통합에 관여했던 고건 전 총리, 손학규 전 지사와 마찬가지로 노 대통령의 거센 비판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의 대세론이 꺾이고 있는 상황에서 이 두 세력의 충돌은 조만간 불거질 것으로 보인다. 열-민 통합에 대해 민주당은 “노무현 대통령과 참여정부의 실정에 책임져야할 세력과는 함께하지 않겠다”고 공언해왔고, 열린우리당 사수파도 마찬가지로 “민주당과 통합은 ‘도로민주당’, 지역주의 정당이라고 폄하하고 있는 상황이다.
국민대다수 "올 대선 노무현 보다 DJ가 영향력 행사할 것”
한편 올 12월 대선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DJ)이 노무현 대통령보다 더 큰 영향력을 끼칠 것이라는 조사가 발표됐다. 이번 조사는 민주당이 이번 재보선을 통해 호남의 맹주로 급부상하면서 범여권통합에서 주도권을 잡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나와 더욱 주목된다.
CBS-리얼미터가 26일 발표한 여론조사결과(전국 성인 남녀 500명 대상,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김 전 대통령이 범여권 후보 선출에 더 큰 영향을 줄 것이란 의견은 전체 응답의 45.4%로 절반에 가까운 수치를 차지했고, 노 대통령이 더 영향력을 가질 것이란 의견은 15.1% 낮은 30.3%였다.
지지정당별로는 특히 민주당 지지자들의 70.4%가 DJ의 영향력이 더 클 것이라는 의견을 나타내 가장 높았고, 국민중심당(63.3%>4.1%), 민주노동당(56.4%>18.8%)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열린우리당(45.4%>38.0%)과 한나라당(40.7%>32.4%) 지지층은 두 전 현직 대통령의 영향력에 대한 평가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지역별로는 전남·광주(66.1%>9.6%)와 전북(65.2%>15.5%) 응답자가 김 전 대통령을 더 많이 꼽았고, 이어 인천·경기(51.3%>28.7%) 대구·경북(48.6%>26.6%) 순이었다. 반면 노 대통령의 고향인 부산·경남(31.8%<35.8%) 지역에선 노 대통령이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라고 답했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