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전면전'이냐 '봉합'이냐, 이명박의 딜레마

이재오 1일 사퇴여부 결정, 최대 분수령


한나라당 강재섭 대표의 '당 쇄신안 수용여부'를 둘러싸고 이명박 전 시장 측은 강하게 반발하고 나선 가운데, 정작 이 전 시장 본인은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다. 그는 1일 공식일정을 돌연 취소하고 칩거에 들어간 모습이다.

강 대표의 당 쇄신안에 대해 이 전 시장 측이 문제 삼고 있는 부분은 대선후보 '경선 방식'을 언급하지 않았고, ‘네거티브 경선 전’을 막을 수 있는 대책도 빠져있다는 것이다. 또한 현 체제에 대한 '최소한의 재신임 절차'를 밟지 않은 것도 문제라고 비판하고 있다.

이명박 측 강경파들은 “당 쇄신안으로 잠재울 수 없다”며 ‘지도부 총사퇴론’으로 맞서고 있는 상황이다. 또 캠프 일각에서는 “강 대표가 친 박근혜라는 것이 여실히 드러났다. 경선관리 총 책임자가 박 대표의 측근인 이상, 경선이 공정하게 치러질 수 없다”며 승부수를 던지자는 입장.

한편 이 전 시장 측 이재오 최고위원이 1일 자신의 거취여부를 표명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일단 이 전 시장은 이를 만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이 최고의원과 이 전 시장은 향후 입장에 대해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4.25 재보선 참패로 강창희, 전여옥 최고위원, 전재희 정책위의장이 줄이어 사퇴했고, 김형오 원내대표까지 사퇴를 고려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 최고위원이 사퇴를 강행할 경우 한나라당 지도부는 사실상 와해될 것으로 보인다. 박 전 대표 측은 이날 이 최고위원을 향해 “당을 깨려고 해서는 안 된다”며 압박하고 나섰다.

또한 이 최고위원의 사퇴는 결국, '이명박 전면전 선포'로 비춰지는 만큼 당 분열은 최고조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한나라당 지도부가 붕괴되면서 이 전 시장이 당내 주도권을 장악하는 계기가 될 수 있지만, 당 분열을 촉발했다는 비난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 전 시장이 이번 기회를 계기로 당내 개혁을 선포하며 칼을 빼들고 나올 경우, 신선한 바람을 몰고 올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그러나 실패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이 전 시장이 현재 높은 지지율과 기득권을 버리고 낙마도 좋다는 마음가짐으로 임하지 않는 이상 성공은 어려울 것"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한편 이 전 시장의 '내부봉합 수순'으로 접어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렇게 될 경우, '강재섭 체제'가 더욱 고착화 되면서 당내 이 전 시장의 입지는 더욱 줄어들고, 반면 박 전 대표의 영향력은 한 층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본격적인 경선레이스를 앞두고 이 전 시장은 이래저래 고민에 빠진 모습이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