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의 복심으로 불리는 김두관 전 행자부 장관은 정계개편을 앞두고 노 대통령과 김대중 전 대통령(DJ)의 갈등이 점차 불거지고 있는 것과 관련,'‘대북송금특검’이 단초를 제공했다'는 주장에 대해 “갈등은 있겠지만, 그것이 지나치게 동교동과 청와대를 가르는 건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는 8일 SBS라디오 ‘백지연의 전망대’와의 인터뷰에서 “(DJ와 노 대통령이)12월 대선에서 정권재창출과 관련해 격론화 방식이라든지, 어떤 세력이 주도권을 가질 것인가라는 문제에 대해 약간의 견해차가 있고 여전히 지역주의가 문제가 되지만, 전반적으로 중요한 시점마다 의논하고, 협력해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 2003년 당시 ‘대북송금특검’을 수용한 이유에 대해 “국무회의에서도 상당히 논란이 있었지만, 의회권력을 장악하고 있던 한나라당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았을 경우, 정부 초창기부터 한나라당과 참여정부가 날카롭게 대립하는 것이 국제적 운영에 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생각에서 결정했다”고 밝혔다.
한편 그는 김근태 전 의장이 ‘대연정’, ‘대북송금특검’ 등을 언급하며 ‘창당 정신을 먼저 깬 것은 노 대통령’이라고 비판한 것에 대해 “타당성이 없다고 부정하고 싶진 않다”면서도 “대연정은 남북문제, 부동산 문제 등 정책적으로 풀어내기 힘든 상황과 조건을 반영해서 제안했던 것인데, 그 당시 열린우리당을 지지했던 참여당원이나 국민들이 동의하지 않은 면들이 있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라며 여운을 남겼다.
김 전 장관은 정계개편에서 ‘친노 세력이 영남을 기반으로 신당을 창당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돼는 것에 대해 “패권적 기회국주의가 강한 영남에서 대통령께서 부산시장에 출마해서 지역주의를 극복하려고 무척 일생동안 노력한 부분은 자타가 인정 하는 것”이라며 “‘영남개혁신당’이라는 것은 언론이 만들어낸 시나리오”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도 김 전 장관은 열린우리당 해체 움직임과 관련, "발전적 분화과정이며, 깨지는 것으로 봐도 무방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난 5.31지방선거 이후, 우리당이 정책과 노선 중심으로 분화되는 걸 기대했었다“며 “현실적으로 추동력이 없어서 하지를 못했지만, 그렇게 했더라면 지금 상황들이 훨씬 더 나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전 장관은 ‘이해찬-한명숙-유시민’ 등 친노 대선주자에 대해 “일단 6월 14일까지 정세균 당의장을 중심으로 해서 대통합신당을 마무리해야할 시점이라 누가 가장 강력한 후보라고 예단할 순 없다”면서 “당이 전면개편이 되고 전체적으로 대선국면으로 전환이 되면, ‘오픈프라이머리’방식으로 대선 후보를 선정하게 되지 않을까”라고 기대를 나타냈다.
그는 김한길 대표를 주축으로 하는 통합신당창당에 대해 “자기들 나름대로는 민주당과 또 다른 여타 세력들과 연대를 해서 정권 재창출하겠다고 출발을 했는데, 대통합신당을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이미 창당을 했기 때문에, 탈당하고 창당이 좀 조화스럽지 못한 것 같다”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이미 통합신당 자체가 새로운 기득권이라고 볼 수도 있기 때문에, 오히려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도 했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