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이해찬 "올해 북미수교 실질적 진전 이뤄야"



이해찬(李海瓚) 전 총리는 10일 "미국의 전문가들이 조지 부시 대통령에 대해 재임기간중 북미수교를 권고하는 등 분위기가 성숙되고 있는 만큼 올해안에 북미 수교를 위한 실질적 진전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주관으로 열리는 6.10 항쟁 20주년 기념 국제 심포지엄에 참석키 위해 이날 로스앤젤레스에 도착한 이 전 총리는 JJ그랜드호텔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올해를 중시하는 것은 BDA 문제가 해결되면 실행 단계에 들어가면서 북핵 및 북미수교에 이르기까지 여러가지가 전면적, 포괄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게 미국 정부의 입장이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이 전 총리는 "이 좋은 조건에서 실행하지 못하면 오히려 역으로 작용할 수도 있는 상황이며 내년에 구체화되더라도 올해에 실질적 진전을 이루는게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전 총리는 종전 선언 문제와 관련, "부시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하노이에서 노무현 대통령과 만났을때 `남북 정상과 내가 함께 종전선언을 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구두로 언급한 적이 있었다"면서 "중국을 포함한 4개 당사국이 종전선언을 하고 평화협정을 맺는 수순이 될 것이며 이를 위한 4개 당사국간 입장의 합의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방미가 오는 9월 APEC(아태경제협력체)에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초청해 4개국 정상회담을 추진하려는 사전 조율이 아니냐는 질문과 관련, "열린우리당 동북아평화위원장 자격으로 워싱턴을 방문하는 것이어서 미 당국과 조율할 입장이 아니다"며 "다만 최근 평양과 중국, 일본을 다녀왔기에 때문에 미 정부에 대한 그쪽의 기대 사항 등을 전달하고 미국이 한반도 평화안보체제, 동북아 다자안보체제를 어떻게 실현하려는지 핵심 당국자로부터 들어야 할 필요가 있어 조율 차원이 아니고 심층적인 대화를 위한 것이다"고 설명했다.

4개국 정상회담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에 그는 "그동안 국내외 심포지엄에서 여러차례 밝혔듯이 동북아 평화체제와 한반도를 둘러싼 4개 당사국 관계는 동심원적 상호 중첩되는 관계"라며 "근본은 한반도 평화체제가 남북 문제를 풀어나가는 관건이라는 것이며 이런 한반도의 평화체제 속에서 6자회담이나, 양자회담도 필요한 관계가 형성된다"고 밝혔다.

이밖에 이 전 총리는 대권 출마를 결심할 때가 아니냐는 질문에는 "오늘 이 자리는 심포지엄을 위한 기자회견이라"면서 답을 피했다.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isjang@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