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역특례 비리 의혹을 수사중인 서울동부지검 형사6부(김회재 부장검사)는 28일 병역특례업체 일부가 병역특례자 정원(이른바 `TO')을 수천만원대에 거래해 온 정황을 포착, 수사 중이다.
검찰 관계자는 "이른바 TO를 거래하면서 수천만원대 이상의 금품이 업체간에 오고간 정황이 드러나 지난 주말에 압수수색을 실시했다"며 "확보된 자료를 통해 금품 거래 비리를 집중적으로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검찰이 지난 주말 계좌추적 영장 3건과 통신조회 영장 2건을 추가로 청구함에 따라 계좌추적 대상 업체는 18곳, 통신조회 대상은 68곳으로 각각 늘어났다.
검찰은 또 이날 중 계좌추적과 통신조회 영장을 3건씩 청구해 편법 부실 근무 실태와 금품비리 등을 캐는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검찰은 이날 6개업체 관련자 10여명을 소환 조사했으며 이로써 이날까지 소환조사를 마친 업체는 39곳에 이른다.
검찰은 압수수색 대상 업체와 임의제출 형식으로 자료를 확보한 곳 외에 1천여곳에 대해 공문을 보내 자료제출을 요구했으며 이중 760여곳으로부터 자료를 확보해 전수 조사를 진행중이다.
검찰 관계자는 "순차적으로 전수 조사를 진행하는 동시에 이번주 중에 우선 사법처리 대상인 4~5개업체의 혐의를 확인하는데 주력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병무청이 한나라당 공성진 의원에게 제출한 `병역사항 공개자 직계비속 중 산업기능요원 복무자 명단'(5월1일 기준)에 따르면 4급 이상 공직자 및 기초의원 아들 78명 중 40여명이 자신의 전공과 무관한 업체에 근무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축구선수 부정 편입으로 인해 대표가 입건된 I사에 정부부처 4급 공무원의 아들이 근무중이었으며 유명 게임업체 N사에 공직자 자제 4명이 대거 근무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관련, 검찰 관계자는 "4급 공무원 아들은 확인결과 문제가 없어 편입취소 통보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며 "한 업체에 많은 공직자 자제가 몰려 있다는 것은 비리 개입 여부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지난주 사전구속영장이 청구된 방송사 사외이사이자 전직 학교법인 이사장 박모(66)씨에 대한 영장실질심사가 이날 열릴 예정이다.
박씨는 검찰에서 "대표이사를 부하직원에 물려준 것이 아들의 채용과는 관련이 없다"고 관련 혐의를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연합뉴스) jsa@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