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범여권, 결국 대통합은 없었다

소통합 신당, 제3지대 신당, 친노세력 세 갈래로 분화


무려 네 달여를 끌어온 범여권의 지지부진한 통합 논의가 서서히 정리되어 가고 있다. 민주당과 중도개혁통합신당의 소통합은 발표만을 앞두고 있고, 열린우리당은 시민사회진영과 제3지대에서 손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김대중 전 대통령(DJ)이 그토록 강조해왔던 ‘대통합’은 끝내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대선주자 없는 소통합 신당

민주당 박상천 대표는 조금도 뜻을 굽히지 않았다. 범여권 통합 협상을 지지부진하게 만든 이유였던 열린우리당과 당대당 통합 반대, 특정인사 배제론을 관철시키고야 말았다. 노무현 대통령과 열린우리당의 색채를 희석시키고자 했던 열린우리당과 중도개혁통합신당은 민생경제를 파탄시킨 국정실패 세력은 통합에서 제외하겠다는 박 대표의 원칙 앞에서 손 쓸 도리가 없었다.

민주당은 중도개혁통합신당과의 소통합으로 원내 교섭단체를 마련한 외형적인 이득 말고도, 민주당 중심의 명분을 일정부분 가져오는데 성공했다. 문제는 그동안 소통합에 반대해왔던 일부 현역의원들의 반발이다. 열린우리당과 시민사회진영이 만드는 제3지대 신당으로 이동할 개연성이 충분히 있다. 연일 대통합을 강조해오던 DJ의 뜻을 거스른 점도 마음에 걸린다. 당장 지지기반인 호남이 들썩일 수 있다.

애초부터 독자적인 정당 보다는 통합을 위한 징검다리 역할에 충실하고자 했던 중도개혁통합신당의 고민은 특정인사 배제론이 핵심이다. 박 대표가 과연 어느 정도의 인사까지를 배제할 것인지, 또 이를 김한길 대표가 받아들일지 여부가 막판까지 쟁점을 이룰 것으로 보인다.

소통합이 된다고 해도 당장 뚜렷한 대선주자가 없다는 것은 민주당과 중도개혁통합신당의 또 다른 아킬레스건이다. 그나마 지지율 한 자리를 기록하고 있는 범여권 대선주자들도 특정인사 배제론과 맞물려 영입이 쉽지 않아 보인다. 대선을 목전에 둔 상황에서 소통합 신당의 딜레마가 바로 여기에 있다. 또 다른 통합 협상을 통해 대선주자를 확보할 것인지, 일단 경선을 치루고 대선 막판에 이르러 후보단일화를 할 것인지 소통합 신당의 고민은 깊어질 수밖에 없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 열린우리당

범여권 통합 협상에서 열린우리당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 채 방황만을 거듭했다. 민주당을 달래보기도 하고, 구슬리기도 했지만 박 대표의 원칙 앞에서 무너지고 말았다. 정대철 상임고문을 중심으로 2차 집단탈당이 사전 예고된 상황이고, 친노 세력은 그들끼리 뭉칠 조짐을 보이고 있다. 100년 정당의 꿈은 사라지고, 언제 해체될지 모르는 모래알 정당으로 전락했다.

지난 2월 전당대회를 통해 4개월 시한부 통합 전권을 위임받은 정세균 지도부는 당장 6월 15일까지 가시적인 성과를 내놓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연일 DJ가 대통합을 외치고, 노 대통령도 대세를 거스르지 않겠다고 화답했지만 민주당과의 협상은 깨졌고, 대통합은 없었다. 남은 시간이 2주일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열린우리당은 시민사회진영에 구애를 보내고 있는 형편이다.

대상은 신당 창당을 준비하고 있는 통합과 번영을 위한 미래구상이다. 미래구상이 제3지대에 신당의 깃발을 꽂으면 열리우리당, 민주당, 중도개혁통합신당 등이 참여한다는 계획이다. 정 의장이 강조해오던 제3지대론이자, DJ가 말하는 대통합과도 어느 정도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문제는 얼마나 많은 세력이 이에 동참하는지 여부다. 더 이상 쪼개질 수 없을 정도로 분열된 열린우리당이 일사분란하게 모두 이에 참여할 것인지, 애물단지로 전락한 정동영-김근태-천정배 세력은 어떻게 움직일 것인지, 친노 세력은 어떤 결단을 내릴지에 이르기까지 무한 변수를 가지고 있다.

친노 세력, 결국 열린우리당에 남나

노 대통령이 대세를 거스르지 않겠다고 한만큼 친노 세력도 제3지대로 갈 것인지 여부를 고심하고 있다. 다만 열린우리당의 일부만 넘어간다거나, 창당정신을 훼손하면서까지 이동할 의사는 없어 보인다. 노 대통령이라는 확실한 구심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해찬 전 총리와 유시민 전 장관이 복귀한 만큼 무리수를 던질 바에는 그대로 열린우리당에 남을 확률이 높다.

친노 세력이 그대로 열린우리당에 남는다면 참여정부평가포럼과 함께 정치적 영향력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정국 캐스팅보트 역할을 하면서 오픈프라이머리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사실상 범여권 대선주자가 수면 아래에 있는 만큼 친노 세력과 반한나라당 세력을 집중시켜 후보단일화를 이룬다면 승산이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노 대통령과 이 전 총리, 유 전 장관의 입장이 묘하게 엇갈리고 있다는 점이다. 노 대통령은 대세를 거스르지 않겠다는 일반적인 입장인 반면, 이 전 총리는 동교동과의 관계로 인해 대통합 쪽에 무게 중심을 두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유 전 장관은 일절 말을 아끼고 있다. 세 사람이 어떤 결과를 도출해 낼지가 친노 세력의 운명을 가를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