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대선주자인 박근혜(朴槿惠) 전 한나라당 대표는 1일 기자실 통폐합 등 최근 정부의 언론 정책과 관련, "정말 부끄럽다. 한마디로 나라의 수치"라며 "한나라당이 6월 국회에서 이의 폐지를 위해 열심히 한다고 한 만큼 지켜보고 안되면 정권을 교체해서라고 바로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전 대표는 1일 제주 롯데호텔에서 열린 편집.보도국장 세미나에 참석, "공기업 감사들이 이과수 폭포에 가서 혁신세미나를 하겠다며 혈세를 낭비한 사실이 브리핑으로 밝혀진 게 아니며 정부의 각종 예산낭비나 부패 사건들 역시 기자의 치열한 취재 없이는 역사의 어둠속에 묻혀버리고 말았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언론이 자율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두 가지 조건으로 "첫째 권력을 잡은 사람이 언론자유를 소중하게 생각하는 언론관이 철저히 있어야 하고 또 하나는 권력이 그런 유혹에 빠지지 않도록 시스템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과거 유신정권 시절 언론 자유가 침해된데 대해서는 "잘못됐다"고 인정했다.
다음은 박 전 대표와의 일문일답.
--집권해도 기자실 통폐합 조치를 되돌릴 수 없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제 언론관을 말씀드리면 그럴 일이 없을 거라고 믿을 거라 생각한다. 통폐합 문제는 한나라당이 6월 국회에서 열심히 한다고 했으니까 지켜보고 안되면 정권교체를 해서라도 바로잡아야 한다.
--유신정권때 언론 자유를 누렸는지 등 과거 정권의 언론인식이 어땠는지 평가를 분명히 해야 보다 나은 언론환경을 만들 수 있다고 보는데.
▲유신시절 언론(정책)에 대해 잘못된 것은 잘못됐다고 인정한다.
--집권하면 어느 정도 수준으로 기자들과 접촉할 것인가.
▲대통령이 돼서 이 문제는 중요하고 이해를 구해야 한다면 직접 브리핑할 수 있다고 본다. 정기적으로 현안이나 국정에 대해 대화를 나누고 국민이 궁금해하는 것에 대해 대화하는 것은 긍정적으로 생각한다.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해서 자꾸 이해를 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가는게 좋다고 생각한다.
--현재 대통령의 언론관도 문제가 있지만 아래 사람들이 그런 역할을 못해서라는 지적도 있다.
▲선인들의 말 중 털끝만한 차이가 크게 벌어질 수 있다는 게 있다. 처음에는 구별이 안 되지만 1년만 지나면 크게 벌어진다. 또 유유상종이라는 말이 있다. 내가 이런 언론관과 대북관을 가지고 있다면 그런 철학을 공유한 사람이 같이 일한다.
--공정거래위의 신문사 지국 조사 등에 대한 생각은.
▲정치에 들어오면서 꿈 꾼 것은 원칙과 상식이 통하는 선진국이다. 국민이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일을 정부가 권한을 남용하지 않도록 하겠다.
--신문의 방송 겸영을 허용하는 신문법 개정에 대한 입장은 어떤 것인가.
▲신문, 방송 겸업은 큰 시각에서 봐야 한다. 지금은 방송과 통신의 컨버젼스(융합) 시대다. 상당수 신문사가 인터넷으로 방송을 하고 있어 5년 후만 돼도 이런 논쟁 자체가 무의미한 시대가 오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런 논쟁보다는 컨버젼스 측면에서 새로운 대안을 만들어 갈지 생각 중이다.
--정부는 기자실 담합이라든지, 사무실 무단 출입 등을 지적하는데.
▲이런 것은 마이너한(사소한) 문제라고 생각한다. 이런 부작용 때문에 전체를 다, 제도 자체를 없애겠다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청와대는 최근의 사태에 대해 토론해보자고 한다. 과연 토론거리, 논쟁거리가 된다고 생각하는가.
▲언론의 자유는 헌법에도 보장이 돼있는데 모든 것을 다 토론에 붙여서 여론조사로 결정하겠다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여론조사로 할게 따로 있다. 나라의 기본적 일은 그렇게 하지 않는 게 바람직하다.
--신문법에 독소조항 있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세 신문의 점유율이 합해서 60%를 넘으면 안된다거나 한 신문사가 점유율이 30%를 넘으면 안되고 하는 것들은 잘못됐다. 제 3자가 고소하는 것도 상당한 독소조항이라고 생각한다.
--이명박 전 시장은 21세기 미디어위원회를 만든다는데.
▲기본적으로 쓸데 없는 위원회가 많다고 본다. 언론관련 특별기구를 만든다는 것은 생각하고 있지 않다. 있는 제도가 합리성을 가지고 잘 되도록 정비한다든가 더 많은 자율권을 준다든가 하는 것에 더 관심을 갖고 있다.
--특정신문에 정책광고를 주지 않고 언론사와 공동 주최해온 사업의 갑작스런 철회가 일어나고 있는데.
▲국민이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일을 정부가 권한을 남용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케이비에스 수신료 인상에 대해서는
▲국민적 공감대가 있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정부의 언론사 상대 소송을 없앨 생각은 없는가.
▲그런 남발은 있어서는 안되겠다고 생각한다. 권력기관이라면 다른 알릴 방법이 있는데, 그런 것은 지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대통령이 되면 언론사 세무조사를 할 것인가.
▲언론사, 신문사에 대해서만 세무조사를 한다는 것은 누가 봐도 어색한 일이다. 언론사건 어디건 원래 규정된 룰이 있는 만큼 법에 규정대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각을 한다. 공정거래위도 마찬가지다.
(제주=연합뉴스) south@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